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04/LHIJ.2014.5.2.081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in Steel Framed Modular House  

Chun, Young-Soo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Bang, Jong-Dae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Kim, Gap-Deug (포항산업과학연구원)
Yoo, Song-Lee (한국토지주택공사 품질시험센터)
Publication Information
Land and Housing Review / v.5, no.2, 2014 , pp. 81-8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various attempts to secure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n the dry floor system of steel framed modular house that lately attracted domestic attention. Test results show that in the condition of using dry floor system of D31(D32), the light-weight impact noise performance records the top level in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grading system. the heavy-weight floor impact noise performance meets the minimum sound level limit in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grading system that enacted regulation on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Keywords
Dry Floor System; Light-Weight Impact Sound Source; Heavy-Weight Impact Sound Source; Steel Framed House Modula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2002), 건물 및 건물 부재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평가방법-제1부 : 표준 경량충격원에 대한 차단성능(KS F 2863-1).
2 김일호, 이규동(2009), "무량판구조 공동주택의 중량충격음 특성 연구",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9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161-162.
3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2007), 건물 및 건물 부재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평가방법-제1부 : 표준 중량충격원에 대한 차단성능(KS F 2863-2).
4 연준오, 김경우, 최현중, 양관섭, 김경호(2013), "건식이중바닥 구조의 중량충격음에 대한 실험적 평가", 한국소음진동공학회지, 23(1) : 34-40.
5 정영, 유승엽, 김민배, 전진용(2005), "공동주택의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제진재의 활용",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96-99.
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우송대학교, 이에스연구소, 시스템건축 (2007), 자원순환형 철골조 유닛모듈라 주택개발 연구(2004 건설핵심기술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국토교통부.
7 한국표준협회(2001),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현장측정방법-제1부 : 표준 경량충격원에 의한 방법(KS F 2810-1).
8 한국표준협회(2001),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현장측정방법-제2부 : 표준 중량충격원에 의한 방법(KS F 2810-2).
9 황재승, 문대호, 박홍근, 홍성걸, 홍건호(2009), "공동주택 모델링을 통한 중량충격음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소음진동공학회지, 19(2) : 162-168.   과학기술학회마을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