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바구미과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산 바구미과(科)(딱정벌레목(目)) 9미기록종(種)에 대한 보고 (Newly Recorded Species of the Family Curculionidae in Korea (Coleoptera; Curculrionidae))

  • 박상욱;홍기정;신상철;최광식;최원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17-126
    • /
    • 2008
  • 본 연구를 통해 바구미과의 Pimelocerus elongates (Roelofs, 1873), Phylaitis maculiventris Voss, 1958, Egiona picta (Roelofs, 1875), Cryptorhynchus electus (Roelofs, 1875), Rhadinopus confinis Voss, 1958, R. sulcatostriatus (Roelofs, 1875), Deiradocranus setosus (Morimoto, 1962), Rhadinomerus annulipes (Roelofs, 1875), R. maebarai Chujo et Voss, 1960 등 9종을 한국에서 처음 보고하며, 분포가 불분명했던 Shirahoshizo hiurai Morimoto는 한국에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특징에 대한 기술과 형태 사진을 제시하였다.

쌀바구미좀벌(Lariophagus distinguendus Foerster) (벌목 : 금좀벌과)의 선호 쌀바구미 (Sitophilus oryzae(L.)) (딱정벌레목 : 바구미과) 충태 및 피기생 충태와 성비와의 관계 (Host Preference of Lariophagus distinguendus Foerster (Hyminoptera : Pteromaidae) for the Instars of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L.)) (Coleoptera : Curculionidae) and Sex Ratio of the Parasitoid in Relation to the Host)

  • 유춘권;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8-31
    • /
    • 1989
  • 쌀바구미좀벌은 쌀바구미의 3영유충과 4영유충에 생난, 기생하였으며, 4영유충에 대해 현저한 선호성을 보였다. 기주가 4영유충일 때의 성비가 3영유충일 때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서 생난시 암컷에 의해 인식되는 기주의 크기에 따라 좀벌의 성비가 조걸됨을 암시하였다.

  • PDF

A terminology for the taxonomy of Weevil larvae (Coleoptera : Curculionoidea)

  • Lee, Chan-Young;Morimoto, Katsur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6권1호
    • /
    • pp.29-44
    • /
    • 1989
  • 바구미 상과(上科) 갑충(甲蟲)은 세계적(世界的)으로 6만종(萬種)의 기록(記錄)이 있는 동물계(動物界) 최대(最大)의 분류군(分類群)으로서 특히 바구미과(科), 소나무좀과(科)는 임목(林木)의 천공성(穿孔性) 해충(害蟲)으로서 중요시(重要時)되고 있다. 이들 유충(幼蟲)의 연구(硏究)는 계통분류학상(系統分類學上) 중요(重要)할 뿐만 아니라 해충(害蟲)을 유충(幼蟲)으로서 동정(同定)한다는 응용면(應用面)으로도 임업적(林業的)인 차원(次元)에서 대단히 필요(必要)함에 본(本) 논문(論文)에서는 바구미상과(上科) 유충(幼蟲)의 형태(形態)를 상세(詳細)히 관찰 비교연구(比較硏究)에 Key가 되는 형질(形質)에 관하여 조사(調査)하였다. 1. 두부(頭部) : 단안(單眼), 촉각(觸角), 상진(上唇), 하진(下唇), 두순(頭楯), 대시 소시수, 자모(刺毛), 감각공(感覺孔), 전두봉합선상인두(前頭縫合線上咽頭), 상인두대(上咽頭帶) 2. 흉부(胸部) 복부(腹部) : 전배판(前背板), 후배판(後背板), 기문(氣門), 상측판측판(上側板側板), 지부(肢部), 흉부(胸部)와 제(第)1복절(腹節)의 추(皺)와 근육(筋肉)의 관계(關係), 자모(刺毛)

  • PDF

한국산 밤바구미아과의 분류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Curculioninae from Korea (Coleoptera : Curculionidae))

  • 권용정;이승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3-103
    • /
    • 1990
  • 한국산 밤바구미류는 지금까지 8종이 보고되었으나, 그 계통분류의 일환으로 재검토한 결과 총 5屬 28種이었고, 그중에는 2新屬, 1新亞屬, 13新種 및 7한국미기록종이 새로 추가된다. 각 분류군의 검색표, 분포상황 및 기주식물을 정리하였다.

  • PDF

북한산 바구미과 (딱정벌레목)의 일부종에 대하여 (On Some Species of Curculionidae (Coleoptera) from North Korea)

  • 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51-169
    • /
    • 2002
  • 러시아과학원 동물연구소(ZIN)에 소장된 북한산 바구미科 306개체의 표본과 헝가리자연사박물관(HMNH) 연구진에 의해 북한지역에서 채집된 467개체 표본에 대한 자료를 조사한 결과, 91種이 동정되었으며, 이들 중 Grypus mannerheimi Faust, Anoplus plantaris (Naezen), Anthonomus (Anthonomidius) dilutus Reitter, Cleopomiarus jakowlewi Faust, Sibinia annulifera Pic, Sibinia ussurica Korotyaev et Egorov, Earis scolopacea Germar, Scleropterus rubi Korotyaev, Cryptorhynchus fasciculatus (Roelofs), Shirahoshiro favonotatus (Voss), Shirahoshiro \ulcornerhiurai Morimoto, Cyriophthalmus variegatus (Motschulsky), Myllocerus (Myllocerus) alternanus Voss, Sitona amurensis Faust, Sitona tessettatus Korotyaev, Metadonus distinguendus Boheman, Lixus (Ortholixus) amurensis Faust, Lixus (Compsolixus) ochraceus Boheman, Coniocleonus cineritus (Gyllenhal), Coniocleonous schoenlferri (Gebler), Magdalis (Neopanus) cerasi (Linnaeus) 등 21종이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 러시아 동물연구소 표본실에 소장된 종들에 대해서 성충의 형태적 특징과 사진을 게재하였으며, 그밖에 조사된 종들에 대해서는 북한지역의 분포상황을 밝혔다.

벼물바구미의 가해식물 (Feeding Plants of Rice Water Weevil)

  • 김용헌;임경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9-143
    • /
    • 1992
  • 벼멸바구미의 성충과 유충가해식물을 조사하였다. 성충 가해식물은 18과 116종의 조사대상 식물중 13과 104종의 식물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74종은 성충기주식물로 처음 확인되었다. 주요 성충가해식물은 개밀, 새, 띠, 꿩의밥 등 20종이었다. 이들은 대부분이 화본과와 사초과에 속하는 것이었다. 한편, 유충가해 잡초는 너도방동사니, 올방게, 올미, 벗풀 등 9종이 확인되었다.

  • PDF

Trehalose 인자 도입 수도 계통 현미가 화랑곡나방(나비목: 명나방과)과 어리쌀바구미(딱정벌레목: 바구미과)의 생활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roducing Trehalose Gene into Rice on the Life History of Plodia interpunctella (Lepidoptera: Pyralidae) and Sitophilus zeamais (Coleoptera: Curculionidae))

  • 천용식;류기현;김성욱;고예강;최가람;남영우;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3-29
    • /
    • 2008
  • Trehalose 유전자를 삽입하여 내건성을 강화한 벼(품종 '낙동': T-낙동)에서 수확된 쌀이 주요저장 해충인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Hubner)과 어리쌀바구미(Sitophilus zeamais Motschulsky)의 개체군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8{\pm}1^{\circ}C$에서 T-낙동에서의 화랑곡나방 암컷의 발육$({\pm}SE)$ 일수는 $38.46{\pm}0.42$로 낙동에서의 발육일수 $36.38{\pm}028$일에 비해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T-낙동에서의 화랑곡나방의 암컷 당 산란수는 $152.07{\pm}10.79$개로 낙동에서의 산란수$(141.6{\pm}14.56)$와 유사하였으나 우화율은 $21.08{\pm}0.04%$로 낙동에서의 $48.30{\pm}0.06%$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순증가율은 $3.0{\pm}0.14$로 낙동에서의 $9.25{\pm}0.13$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어리쌀바구미의 발육일수는 T-낙동과 낙동에서 각각 $36.38{\pm}0.28$일과 $34.33{\pm}0.18$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생명표 통계량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화랑곡나방과 어리쌀바구미 모두에서 발육이 지연된 현상은 형질전환으로 인해 발육에 관계된 인자에서의 변화가 있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잣나무림에서 천공성 딱정벌레 군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ty of Xylophagous Beetles in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Forests)

  • 최원일;김경민;고상현;남영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41-49
    • /
    • 2017
  • 2007년에 잣나무림에서 하늘소과, 바구미과, 나무좀아과에 속하는 천공성 딱정벌레 군집을 말레이즈 트랩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하늘소류 15종 184 개체, 바구미류 17종 185개체, 6종 1,246개체의 총 1,615개체 천공성 딱정벌레가 채집되었고 우점종은 왕녹나무좀이었다. 개체수에 따라 순위를 매겼을 때, 잣나무림에서 천공성 해충과 나무좀류 군집은 나무좀아과의 한 종에 의해 우점되어 생물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잣나무림에서 간벌은 나무좀과 암브로시아좀류의 풍부도에 영향을 미쳐 특정 임분에서의 개체군들은 간벌 1년 후 밀도가 증가했으나 그 후 감소하였다.

권연벌레와 어리쌀바구미에 대한 26종 살충제의 접촉독성 및 잔효성 (Contact and Residual Toxicities of 26 Insecticides Against the Cigarette Beetle, Lasioderma serricorne and the Maize Weevil, Sitophilus zeamais)

  • 조선란;신윤호;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10-316
    • /
    • 2011
  • 시판되고 있는 26종의 살충제를 이용하여 권연벌레(Lasioderma serricorne)와 어리쌀바구미(Sitophilus zeamais) 성충에 접촉독성 방법인 약제감수성 잔효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권연벌레 성충에 100%의 살충율을 보인 약제는 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 cypermethrin, ${\alpha}$-cyhalothrin등 7종이었으며, 어리쌀바구미 성충에 대해 살충율을 보인 약제는 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등 5종이었다. 이들 약제의 반수치사농도($LC_{50}$ ppm)를 구한 결과, 권연벌레는 ${\alpha}$-cyhalothrin이 1.46, 어리쌀바구미는 chlorpyrifos-methyl이 0.64로 가장 낮아 독성이 높았다. 잔효성은 권연벌레 성충에 대해서는 chlorpyrifos-methyl이 처리 후 90일, ${\alpha}$-cyhalothrin이 처리 후 9일 경과까지 100%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어리쌀바구미 성충에 대해서는 chlorpyrifos-methyl이 처리 후 90일, phenthoate가 27일까지 100%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한국산 미기록 콩바구미 Bruchidius siliquastri (딱정벌레목: 잎벌레과)에 대한 보고 (New Record of Bruchidius siliquastri Delobel (Coleoptera, Chrysomelidae, Bruchinae) in Korea)

  • 정윤지;정규진;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665-668
    • /
    • 2022
  • 동아시아가 원산지로 추정되며, 2007년에 신종으로 보고된 콩바구미아과(Bruchinae)에 속하는 Bruchidius siliquastri Delobel (박태기콩바 구미; 신칭)는 유럽에서 콩과(Fabaceae)인 유다박태기나무(Cercis siliquastrum L.)의 종자를 가해하는 침입종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 콩바구미는 한국에서 최근 블로거(blogger)들에 의해 정확한 동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성충 사진들이 업로드(upload) 되고 있으며, 또한 저자들은 2022년 봄 순천대학교 캠퍼스에 식재된 박태기나무(C. chinensis Bunge)에서 일부 생태 및 가해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이 콩바구미의 새로운 생활사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