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밀폐공간

Search Result 34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Basic study on the optimal design of enclosed space. (밀폐공간의 최적설계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오재응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87.11a
    • /
    • pp.40-44
    • /
    • 1987
  • 현대사회의 복잡한 생활환경과 더불어 주위의 밀폐공간에서 발생한 소음은 인접한 환경에서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밀폐공간의 음향특성을 연구하고, 또한 밀폐 공간에서 발생된 소음원이 주위의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밀폐공간의 크기를 연구하였다. 연구한 결과,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우리가 주목해야할 주파수의 모우드 분포를 고려하여 최적한 크기를 결정할 수 있었다.

  • PDF

파열면이 발생하는 밀폐공간에서의 가스폭발특성연구

  • Oh, Kyu-Hyung;Kim, Hong;Kim, Sang-Sub;Cho, Young-Do;Cho, J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131-138
    • /
    • 1998
  • 기상폭발은 가연성물질이나 산화제의 성질 및 공간의 상태에 크게 의존하며, 밀폐공간에서 일어날 경우에는 그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벽면의 강도 둥에 의해 폭발현상이 달라진다. 밀폐공간의 가로, 세로, 높이 중 임의의 두 방향 치수비가 1보다 극단적으로 다르지 않은 거주공간의 경우 공간내의 가연성 혼합기의 농도분포,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벽면 가운데 약한 부분의 강도 및 넓이, 개방되고 있는 창등의 개구부의 넓이등의 상태가 폭발 특성에 대한 변수가 된다. (중략)

  • PDF

Accident Prevention in Confined Space Using IoT Technology (IoT 기술을 활용한 밀폐공간에서의 사고 예방 연구)

  • Choi, Yoo-jung;Choi, H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9
    • /
    • pp.1159-1164
    • /
    • 2018
  • Recently, Internet use is increasing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in the sudden disaster area, the role of Internet of things that can continuously monitor is getting bigger.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fined space and the environmental hazards are examined, and the Internet of the object which is being commercialized will be reviewed. Accidents in confined spaces are very high compared to other places, and it is very difficult to predict accidents. Recently,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event accidents in confined space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Especially, it detects the various gases that can occur in the closed space using sensors and sends them to the workers in real time, so that the risk can be detected in advance to minimize the risk.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disaster prevention plan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Internet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s in a confined space.

A Study on fire risk in an enclosure room (밀폐공간에서의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 Kim, Soo-Young;Kim, Hong-Sik;Han, Dong-Hun;Lee, Sung-Ryoun;Kim, Joo-Seok;Yuk, Geun-Hwan;Chon, S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449-453
    • /
    • 2009
  • 기존 주택 및 고층건물화재에서 발생하는 화재 폭발 사고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천 냉동창고 화재와 같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작업환경에서의 화재 특히 밀폐공간에서의 화재 폭발 위험성 및 특성은 주택 및 고층건물화재에 비교하여 높은 폭발위험성 및 빠른 화염전파 특성을 보이나 이에 관한여 구체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밀폐공간 작업환경에서의 화재 폭발 위험성 특성 분석을 위하여 밀폐공간에서 작업 시 발생되어지는 가연성 가스의 확산 특성 분석 및 폭발 위험성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와 밀폐공간에서의 화염 확산 특성에 관한 연구논문 이다.

  • PDF

Study on Development Method of VR Training Contents for Power Plant Safety Education - Focused on sealed space and welding fire - (발전소 안전교육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 방법 연구 - 밀폐공간 및 용접화재를 중심으로 -)

  • Min, Seol-hui;Park, Bong-sung;Kim, Yoo-shik;Lee, Sung-Ki;Lee, Dong-Joon;Kang, Ki-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67-368
    • /
    • 2019
  • 여러 가지 안전사고 항목 중에 밀폐공간 작업과 관련된 사고는 다른 사고에 비해 사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사고 발생 시 2명 이상이 동시에 사망하거나 부상당할 가능성이 높은 사고다. 안전보건공단 자료에 의하면, 사고자 2명 중 1명이 밀폐공간 질식사고자이다. 또한 용접작업은 발전소 작업 현장에서는 보일러 튜브 교체 및 수리 등 다양한 부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발전소는 위험물질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 고열, 불티에 의한 화재폭발은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밀폐공간 작업 및 용접작업에 대한 안전교육은 직접 체험이 어렵기 때문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발전소 작업 현장 인원을 대상으로 안전교육이 가능한 밀폐공간 작업 및 용접작업 시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안전교육 콘텐츠를 개발한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Natural Convection and Radiation Heat Transfer in a Square Enclosure by Spherical Harmonics Approximation (구 조화 근사법에 의한 정사각형 밀폐공간내의 자연대류-복사열전달 해석)

  • 차상명;김창기;박희용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3
    • /
    • pp.1021-1029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정사각형 밀폐공간내에서 흡수 및 방사하는 회기체에 대 한 자연대류-복사 열전달을 P-1 및 P-3 근사법을 이용하고 수치해석을 통하여 유동 및 열전달 특성을 연구하였고 Plank 수, 광학두께 및 벽방사율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P-3 근사해와 비교함으로써 P-1 근사해의 적용범위를 고찰하였다.

Estimate Minimum Amount of Methane for Explosion in a Confined Space (밀폐공간에서 메탄 폭발사고의 최소 가스누출량 예측)

  • Jo, Young-D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1 no.4
    • /
    • pp.1-5
    • /
    • 2017
  • Leaking of natural gas, which is mostly methane, in a confined living space creates flammable atmosphere and gives rise to explosion accident. The minimum amount of leaked methane for explosion is highly dependent on the degree of mixing in the confined spac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estimating minimum amount of flammable gas for explosion by using Gaussian distribution explosion model(GDEM) and experimental explosion data. The explosion pressure in the confined space can be estimated by assuming the Gaussian distribution of flammable gas along the height of an enclosure and estimating the maximum amount of gas within flammable limits, combustion of the estimated gas with constant volume and adiabatic or isothermal mixing in the confined space. The predicted minimum gas amount for an explosion is tied to explosion pressure that results in a given building damage level. The result shows that very small amount of methane leaking in the confined space may results in a serious gas explosion accident. This result could be applied not only to setting the leak criteria for developing a gas safety appliance but also to accident investigating of explosion.

Natural Convection Heat Transfer from a Hot Body in an Inclined Square Enclosure (경사진 정사각형 밀폐공간 내에 있는 고온부로부터의 자연대류 열전달)

  • Kwon, Sun-Sok;Chung, Tae-Hyun
    • Solar Energy
    • /
    • v.12 no.1
    • /
    • pp.25-33
    • /
    • 1992
  • Laminar natural convection heat transfer from a hot body in a square enclosure has been stooled for various inclination angles at $Gr=1.5{\times}10^5$, Pr= 0.71 and $k_s/k_f=14710$. The area of a hot body is 1/25 of the enclosure and the aspect ratio is 1.0. The total mean Nusselt number decreases as the inclination angle increases and in case of ${\theta}=90^{\circ}$ is 14% lower than that of ${\theta}=0^{\circ}$.

  • PDF

Modelling the effects of Obstructions in Slot-Ventilated Enclosures (밀폐된 슬롯 환기공간의 방해물이 공기유동에 미치는 영향)

  • Choi, H.L.;Albright, Louis D.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4 no.2
    • /
    • pp.123-127
    • /
    • 1989
  • 축사나 환기시스템은 슬롯 환기시스템(slot-ventilation systems)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의 공기 유동(流動)을 2차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직사각형 슬롯 환기 밀폐공간의 공기혼합 형태와 속도분포의 추정을 위해서 K-E 난류 전이모형을 기초로 한 TEACH-T 프로그램을 변형, 적용하였다. 이 모형을 이용하여 얻은 기류분포 형태는 실측한 기류분포 형태와 매우 잘 맞았으며 추정한 공기속도의 크기는 비교적 잘 맞는 편이었다. 그러므로 TEACH-T 프로그램을 변형해서 환기시스템 설계의 기초자료가 되는 여러 형태의 슬롯 밀폐공간의 공기분포와 공기속도의 크기를 추정하는데 TEACH-T 프로그램을 변형해서 적용시킬 수 있다.

  • PDF

직사각형 전도성 장애물을 갖는 밀폐공간내에서의 자연대류

  • 추홍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229-234
    • /
    • 1997
  • 밀폐공간내에서 일어나는 자연대류 열전달은 태양열 집열판, 연료탱크, 원자로의 핵반응로, 초전도 자성체의 냉각 및 건물이나 방의 효율적인 열설계, 화재시의 안전대책등 공업적으로 그 응용성이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생활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밀폐공간내에 경계층 유동이 존재할 경우, 이 경계층 흐름은 일반적으로 외부유동에서의 경계층 유동과는 달리 코어영역(Core region)에서의 흐름과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