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밀도변화

Search Result 3,09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nstruction Works at the Busan New Port on the Activity of Otters (부산신항 공사가 수달의 활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 Han, Chang-Wook;Yoon, Myung-H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5
    • /
    • pp.654-667
    • /
    • 2012
  • To know the effect of construction works at the Busan New Port on the activity of otters,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spraints were investigated at 5 areas(I-V) composed of 16 locations in 12 islands from 2003 to 201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ensity of spraints at each area(P=0.0502), at each year(P=0.0040) and at each area during the study period(P=0.0005). The densities of spraints in the areas II (P=0.000) and IV (P=0.012)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the construction work was carried out or not at each area. It was found that the density of spraints in each area was affected by the disturbance with construction works or other factors inside and/or outside the area. The average density of spraints of the 5 areas had chang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works as follows. In 2003-2005 when the construction work was proceeded mainly at the area IV, the average density of spraints of the 5 areas as well as the density in the area II increased annually, whereas the densities in the other 4 areas were low and relatively constant. This fact suggests that otters might have moved into the area II from outside the study area. In 2006-2009 when the construction works were carried out on a larger scale at the areas I, II and III, there was a little decrease in the average density of spraints during the latter two years, suggesting a little decrease in the activity of otters in the study area. As regards the density of spraints at each area, it decreased considerably in the area II, but increased fairly in the areas III and IV. Accordingly it was indicated that otters in the area II where the construction work was carried out since 2006 might have moved into the area IV with no work, and otters inhabiting the Jeodo, Geoje city, where the construction work was carried out at that time, might have moved into the area III with no work at the sea shore. In 2010-2011 when the construction works were conducted at all the areas on a fairly large scale, the average density of spraints of the 5 areas as well as the densities in the areas II, III and IV, decreased considerably compared to the those in the year 2009. This fact clearly indicates that the number of otters decreased owing to the multiple simultaneous works in this period. In conclusion, otters must be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works at the study area, and their numbers might be decreased mainly due to the multiple simultaneous works, as well as by the long-term works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seashore, marine pollution, and reducing prey available.

Power Comparison between Methods of Empirical Process and a Kernel Density Estimator for the Test of Distribution Change (분포변화 검정에서 경험확률과정과 커널밀도함수추정량의 검정력 비교)

  • Na, Seong-Ryong;Park, Hyeon-Ah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18 no.2
    • /
    • pp.245-255
    • /
    • 2011
  • There are two nonparametric methods that use empirical distribution functions and probability density estimators for the test of the distribution change of data.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two methods precisely and summarize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We assume several probability models to make a simulation study of the change point analysis and to examine the finite sample behavior of the two methods. Empirical powers are compared to verify which is better for each model.

Performance Prediction of SOFC using Numerical Analysis (전산해석을 이용한 SOFC 성능 예측)

  • Park, S.M.;Oh, T.Y.;Kim, J.Y.;Lee, H.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88.1-88.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SOFC 시스템 설계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전산해석을 이용한 SOFC 성능예측 기법을 개발하였다. 기본설계 단계에서 SOFC의 성능을 개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1차원 예측 모델을 정립하였으며, 온도, 조성, 전해질, 전극 두께 등을 비롯한 다양한 조건 변화에 따른 성능예측을 수행하여 실험값과 비교한 결과 최대전력밀도 조건에서 23%의 오차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tack 제작단계에서 다양한 운전조건과 형상변화에 따른 SOFC 성능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3차원 해석기법을 정립하였으며, 최대전력밀도에서 5.1%의 오차를 보였다. 포괄적인 열 및 물질 전달 현상과 전기화학반응을 3차원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였다. 또한 수소와 적당량의 수분을 함께 공급할 경우 SOFC 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기술을 활용할 경우 시제품 제작 전에 전지시스템의 성능을 미리 예측할 수 있으므로, 향후 제품 개발시 제작비용 절감과 설계기간 단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FEM Alalysis to the Sand Densification due to Increasing Loading (점증하중을 받는 사질토 지반의 조밀화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 한경제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6 no.6
    • /
    • pp.79-8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사질토 지반에 일정기간 계속하여 증가되는 단계별 하중이 작용할 때 발생할수 있는 지반의 밀도화 현상을 hyperbolic model의 매개변수 변화를 고려한 방법으로 유한요소법에 의한 수치적 침하해석에 반영해 주었다. 이를 위해 사질토의 상대밀도별 삼축압축실험을 실시하여 매개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각각의 상대밀도의 변화에 따른 매개변수값을 Lagrange의 다항식 수치보간법으로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프로그램 내에서 요소의 체적을 계산하고 체적의 변화를 상대밀도 개념으로 접근함으로서 지반의 밀도화를 프로그램내에서 모사할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해석 프로그램에 의한 지반의 밀도화현상의 모사 결과를 실내 모형기초재하실험에 의하여 비교 분석해 본 결과 기존의 해석 보다 향상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Mixed LJ particles MD를 이용한 혼합물의 밀도, 온도 별 방사 분포 연구

  • Lee, Min-Jun;Park, Hui-Su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3.04a
    • /
    • pp.53-65
    • /
    • 2013
  • 두 물질의 단순 혼합물에서 각 물질이 어떤 상을 가지고 행동하는지는 순수 과학은 물론이고 그것을 적용하는 공학에서도 역시 중요하다. 계를 표현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Lennard-Jones potential이 그 중 가장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이기 때문에 널리 쓰인다. 이 연구는 입자간의 에너지가 Lennard-Jones potential로 표현된 혼합물의 상변화를 Chemworks2의 "Mixed LJ particles MD" 프로그램으로 모사 실험 하고, 그 결과를 방사 분포 함수를 통해 분석했다. 분석을 통해서 Lennard-Jones 상수가 다른 두 가지의 경우에 대하여 각각 혼합물의 온도와 밀도 변화에 따른 상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보였다.

  • PDF

Calibration Technique of Liquid Density Measurement using Magnetostriction Technology (자기 변형 기술을 이용한 액체 밀도 측정의 보정 기술)

  • Seo, Moogyo;Hong, Youngho;Choi, Inseoup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8
    • /
    • pp.178-184
    • /
    • 2014
  • In this study, we develop liquid density sensor by measuring of balanced position between gravity and bouyancy, corresponding to liquid density, using distance measuring by magnetostriction technology. For improvement of accuracy of liquid density sensor system. And we derive the related equation between liquid density and moving distance of density sensor, and make the calibration method for liquid density sensor by magnetostriction technology. Using fabricated liquid density sensing system and derived equation, have measured the density of several liquids. And compare it to measuring results using Oscillating U-tube type high accuracy density meter, having 0.000001 g/cc resolution. The deviation of results between two density measuring systems was less than 0.001 g/cc.

해양 바이러스에 대한 엽록소 a와 박테리아 abundance의 상관관계

  • 최은석;김소정;오로라;신경순;장만;이택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61-71
    • /
    • 2002
  • 광양만내 해양바이러스양은 2.0$\times$$10^{8}$ particles/ml로 매우 풍부했다. 각 계절별 바이러스의 밀도는 여름에 최대 9.0$\times$$10^{8}$ particles/ml에서 겨울에는 최소값인 0.7$\times$$10^{8}$ particles/ml을 기록했다. 광양만 내의 바이러스, 박테리아,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공간적 분포는 open ocean system에 해당하는 정점 28, 38, 42, 46, 51에서 보다 closed estuarine system에 해당하는 정점 2, 5, 10 ,12, 16, 20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른 closed estuarine system에 해당하는 정점 22, 26, 32, 34는 높은 바이러스 밀도를 보였지만 상대적으로 open ocean system에 비해서 낮은 박테리아와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을 나타냈다. 몇몇 정점의 수심 깊이에서는 박테리아의 밀도가 바이러스의 밀도를 100배정도 초과했다. 해양 바이러스와 그들의 host system의 계절별 밀도는 역동적으로 번화했으며, 그들의 계절별 변화는 밀집한 상호연관성을 가졌다. 여름에 바이러스와 박레리아의 밀도는 증가된 반면 식물플랑크톤의 엽록소-a 농도는 평균값을 유지하였다. 겨울에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의 밀도가 급속하게 줄어들었고, 마찬가지로 엽록소-a 농도 역시 감소하다가, 곧 다시 증가했다. 바이러스의 밀도는 2001년 8월에 최고점에 도달했으며, 박테리아의 밀도는 2001년 8월과 2002년 6월에 최고값을 가졌다. 반면에 엽록소-a의 농도는 2002년 4월에 최대치에 도달했다. 전체 host와 바이러스 밀도로 볼 때, 그들의 pool은 바이러스에 의한 mortality에 의해서 steady-state 상태로 유지되고, 바이러스의 밀도 또한 steady-state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시도는 우리 나라 광양만 내에 존재하는 해양 바이러스의 생태적 분포 연구를 다루는 첫 번째 실험으로 사료된다.

  • PDF

밀도차이에 따른 해안방조제 유출수량의 차이점 연구

  • 박유철;김강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381-384
    • /
    • 2003
  • 해안방조제에서 해수가 강물에 유출되는 현상은 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고 강물을 농업에 이용할 수 없게 한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수의 유출수량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해수와 강물 사이의 지하수 흐름은 염도에 따른 밀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담수와 염수의 혼합에 따른 물질의 이송 및 분산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염도에 의한 밀도 차이에 따른 지하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지배방정식을 이용하여, 해안방조제에서의 해수가 강물로 유출되는 현상을 수치모사하였다. 수치모사 결과, 밀도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 발견할 수 없었던 지하수의 흐름이 생겼고, 밀도 차이로 인하여 해수의 유출 수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해안방조제의 해수의 유출수량 연구에서는 반드시 밀도 차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 PDF

Decomposition of the Changes in Wage Density Function : 2000~2007 (임금밀도함수의 변화 및 구성분해 : 2000~2007년)

  • Kim, Dae Il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6 no.3
    • /
    • pp.29-64
    • /
    • 2013
  • This paper documents the recent changes in wage density and decomposes them. Middle group is found to have shrunk, one-third of which reflects the changes in worker composition. The rest mostly reflects insufficient supply response to the rising skill demand within jobs. The pattern is more pronounced among manufacturing, large and unionized firms, and production workers.

  • PDF

EML에서 Ir(ppy)3와 CBP의 도핑 위치에 따른 녹색 인광 OLED 특성 변화 연구

  • Im, Gi-Won;Choe, Byeo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229.2-229.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Host와 Dopant $Ir(ppy)_3$의 도핑 위치 변화에 따른 bottom emission 인광 OLED를 제작하여 발광 효율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소자의 EML은 $Ir(ppy)_3/CBP$$CBP/Ir(ppy)_3$ 순으로 증착하여 제작하였다. $Ir(ppy)_3/CBP$은 낮은 구동 전압에서 큰 전류밀도와 큰 luminance을 측정하였고, 반대로 $CBP/Ir(ppy)_3$은 높은 구동 전압에서 $CBP/Ir(ppy)_3$은 큰 전류밀도와 큰 luminance가 측정되었다. 이는 $Ir(ppy)_3/CBP$에서 HTL과 EML 사이에 hole direct injection이 발생으로 Hole이 증가하지만 charge balance 불일치로 roll-off가 발생하고, $CBP/Ir(ppy)_3$에서 electron direct injection에 의한 electron 증가로 charge balance가 향상된다. EL spectrum 측정에서 $Ir(ppy)_3$은 파장 512nm 발광이 일어나고, CBP와 NPB은 각각 파장 380nm, 433nm로 분석된다. 각 물질의 triplet의 전달은 energy level이 큰 곳에서 작은 곳으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전압에 따른 recombination zone 변화로 각 물질에서 나오는 파장의 intensity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Ir(ppy)_3/CBP$은 낮은 전류 밀도에서는 CBP의 영향으로 380nm 파장대가 크고, 높은 전류 밀도에서는 $Ir(ppy)_3$의 영향으로 512nm 파장대가 크게 나오는 것을 확인했고, $CBP/Ir(ppy)_3$에서는 낮은 전류 밀도에서 512nm 파장대가 커지고, 큰 전류 밀도에서는 CBP에서 NPB로의 triplet 에너지 전달의 증가로 433nm 파장대가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