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민족고유복식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백러시아민족과 우크라이나민족 루바하의 조형성

  • 최수빈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29-29
    • /
    • 2004
  • 복식은 물질문화의 기본적인 요소로써 종교와 문화, 자연환경 및 민족 고유의 특징을 담고있다. 백러시아민족과 우크라이나민족은 러시아민족과 더불어 동슬라브민족에 속한다. 동슬라브민족은 따뜻한 흑해 연안에서 혹독한 기후의 북 러시아와 시베리아지방까지 널리 분포되어 살아왔다. (중략)

  • PDF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니트 드레스 디자인 연구

  • 이윤미;박재옥;이연희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4a
    • /
    • pp.81-81
    • /
    • 2003
  • 전통문양은 우리 민족의 집단적인 가치 감정이 표현된 미술로서, 우리 고유의 민족성과 생활양식에 의해 발전되어왔다. 그 중 떡살문양과 창살문양은 조형성과 예술성이 뛰어난 전형적인 전통 문양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떡살문양과 창살문양을 현대적 미의식에 맞도록 재구성하여 니트디자인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이는 다양한 니트의 표현기법으로 전통미를 살린 실용적인 복식디자인 개발을 하여 우리 것에 대한 아름다움과 가치를 널리 알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략)

  • PDF

한복 교재 분석을 통한 성인 여자 저고리의 패턴제작에 대한 소고

  • 이영혜;강순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33-33
    • /
    • 2003
  • 우리 민족의 고유 의복인 한복은 민족의 의생활 정서를 그대로 담아낸 우리의 전통 복식으로서 오랜 역사성을 가지고 있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일상복이라기보다 예복 및 행사용 의복으로 입혀지고 있다. 이처럼 한복이 우리 일상생활에서 착용 빈도가 줄기는 하였으나 과거 경험과 눈대중에 의했던 한복제작에도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제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실제로 한복구성을 위해 출간된 교재들은 최근까지 수십 종에 이르고 있으며, 이론과 실습을 겸한 패턴 제시와 함께 자세한 바느질 방법까지 설명되어 있어, 우리 옷의 구성에 문외한이던 학생들에게도 좋은 안내서가 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 PDF

장승의 이미지를 응용한 니트디자인 연구 -텍스타일CAD 시스템을 이용하여-

  • 이애니;이연희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130-132
    • /
    • 2004
  • 현대의 시대가 산업화되고 문명화되어가고 있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확실성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을 가지고 살아가며 현세의 안위를 걱정한다 이러한 현상은 종교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건강에 대한 지나친 걱정, 지구의 종말론을 논하는 등의 여러 분야에서 나타난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며 매스컴에서 끊임없이 보도되고 있는 현대 사회의 미신과 민간 신앙에서도 알 수 있다. 미신과 민간신앙은 민족의 고유한 전통이며 또 하나의 종교이다. (중략)

  • PDF

Design Development of the Taekwondo Uniform ; Historical Research (태권도 수련복의 역사적 고찰을 통한 디자인 개발)

  • Kim, Jung-Hee;Cho, Hyo-Sook;Jeon, Hyun-Sil;Lee, Hyun-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9 no.6
    • /
    • pp.82-93
    • /
    • 2009
  • This study is considered about the Taekwondo(跆拳道) uniform classified by period and analyzed the current Taekwondo uniform. And founded on this contents, new designs of uniform, that a functional side are considered and can symb이ize the identity of Taekwondo, are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time, the Taekwondo uniform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Period of putting on our nation's costume'(three kingdoms${\sim}$Joseon(朝鮮) times), 'Period of confusion on uniform'(Japan's colonial rule of Korea${\sim}$-the early 1970s), 'Period of the settlement on official uniform'(the late 1970s-the present time). And besides, the shape of our nation's costume in ancient times is succeeded until Joseon times and this basic style becomes the outset on the current Taekwondo uniform. The designed uniforms are connoted the notion of the aesthetic appreciation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 that is, a symbolic, dignified, moderate appreciat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a functional side for Taekwondo. And the contents on the presented designs are classified into 'shape, pattern, color'. First, these designs that are adapted the shape of Baji(바지) Jeogori(저고리)-belt, which have symbolized our nation's costume, and the shape of Bacja(배자) had used in Joseon times, are connoted a 'traditional appreciation with functional side'. Second, these designs, which are adapted the patterns of the active image(a bugbear, flying horse, tiger for embroidered patches, Taegeuk(太極)) in a modern style, express a 'symbolic, dignified appreciation'. Third, these designs are well-matched a black and white color with multicolored stripes(saekddong, 색동), and its ones are connoted a 'moderate and symbolic appreciation'.

Historic Development of Navajo Textiles - Focus on the Classic Period - (Navajo 직물의 역사적 발달에 대한 연구 - 고전시대를 중심으로 -)

  • 정미실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45
    • /
    • pp.5-16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Navajo 직물의 역사적 발달을 고전시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특히 외부영향에 따른 직물의 변화를 고찰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1) 고전시대의 전통적인 직물은 어떻게 발달하였는가\ulcorner 2) 고전시대 직물의 전통적 요소와 외부영향요인은 어떤 점이 다른가\ulcorner 예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방법은 아메리카 인디언의 이동,문화 Navajo 직조 및 직물에 대한 문헌을 바탕을 조사하였고 아리조나 주립박물과 아리조나 역사 박물관을 방문하였으며 박물관 안에 있는 전문가들의 조언을 듣고 연구의 자료를 보완하였다. 또 비교 미학적 차원에서 고전시대 navajo 직물의 전통적 요소와 외부영향 요인을 분석하였고 외부영향을 받은 직물의 예를 시각적자료로 제시하였다. 이연구는 인디언직물에 대한 이해, 고전시대. Navajo 직물의 문헌고찰을 통한 민족의복의 문화적측면에 기여할수 이고 현대적 감각을 지닌 Navajo 직물을 한국직물에 접목 응용하는데 도움을 줄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avajo 직물을 고전, 전환, 양탄자 시대로 구분되었고. 이중에서 고전시대가 navajo 직물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었으며 발달된 직조기술을 보였다. Navajo인들의 직조기술은 1863년경 최고조에 달했다. Navajo 직물의 디자인 주제로 주로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서 얻어졌고 이것들은 직선의 기하학적 형태로 구체화되었다. 또한 직물에 표현된 색도 자연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있었다. 2. Navajo 직물의 주용한 용도는 여성용 드레스, 남성용 셔츠는 어깨에 걸치는 두르개였다. 여성용 드레스는 동일한 크기의 직물의 두장을 직조한 후에 꿰매었고 남성용 셔츠는 머리가 들어갈수 있는 구멍이 있는 장방형 판쵸 스타일이었다. 어깨에 걸치는 두르개는 여성의 경우 가운데가 검은색이고 가장자리가 푸른색인형태오 흰색과 붉은 색이 교대로 나타나는 형태의 2가지가 있었고 남성용은 고전시대의 대표라고 일컬어지는 족장 두르개였다. 3. Navajo 직물은 외부의 영향을 받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즉 스페인 사람들로 인하여 면 섬유대신 양모섬유를 사용하게 되었고 전통적 모양과 다른직물이 출현하게 되었다. 또한 인디고 염류, 색소니 실, 바에타 직물의 도입으로 다양한 색상의 표현이 가능해졌고 이와 관련하여 다이아몬드 십자형 톱니형 무늬드이 나타나게 되었다. 4, 고전시대를 대표하는 직물로 족장 두르개, 쇼올, 안장덮개를 들수 있으며 이 직물들에서 뚜렷하게 외부영향 요인을볼수 있다. 즉 족장 두르개의 가장 정교한 단계에서 다이아몬드 무늬가 가장가리 가운데 모서리에 위치하여 9지점 배치를 이룬 것 쇼올의 경우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의 비전통적 모습을 나타낸 것 안장덮개에서 보여지는 여덟포인트 별 무늬도 외부의 영향을 받은예이다. 뛰어난 직조기술로 유명한 navajo인들은 변화에 잘 적응하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외부의 영향을 그들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였고 자기 자신들의 필요에 맞도록 수정하여 정체감을 잃지 않으면서도 문화를 발전시켰다. 따라서 고전시대의 Navajo 직물은 고유적 요인과 외래적 요인의 조화를잘 나타내고 있으며 디자인의 탁월함이 세련됨 천연염료와 인조염료의 배\ulcorner에 의한 색상의 우월성 등으로 오늘까지 높이 평가되고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