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민속종교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Materials on Korean Folk Religions in the Encyclopedic Literatures of Late Joseon Dynasty (조선후기 유서류(類書類)에 나타난 민속종교 자료)

  • Suh, Young-Dae
    • Journal of Korean Historical Folklife
    • /
    • no.33
    • /
    • pp.31-72
    • /
    • 2010
  • At first, I extract materials on folk religion from four encyclopedic literatures of late Chosun dynasty-Lee, Ji-Bong-Ryu-Seol(『芝峯類說』) by Soo-Kwang(李晬光), San-Lim-Kyung-Jae(『山林經濟』) by Hong, Man-Sun(洪萬選), Sung-Ho-Sa-Seol(『星湖僿說』) by Lee-Ik(李瀷), O-Ju-Yeon-Moon-Jang-Ju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by Lee, Kyu-Kyung(李圭景), and present these materials by tables. Second, I examined the contents and characters of these materials on folk religion. The conclusion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① There are common features and points of difference between these four encyclopedic literatures. One of common features are that all these four are encyclopedic works, but San-Lim-Kyung-Jae is more practical than another three. ②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regard folk religion as a negative culture, because these literatures based on Confucianism. But they did not deny miraculous virtues of folk religion. ③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give us many informations on gods and spirits of Korean folk religion, i.e. city gods(城隍神)·Yup-Sin(업신)·spirits of disease, god Kim-Bu(金傅大王神)·god Jung-Duk-Yang(鄭得揚)·god of King Kuan-u(關王神)·god Bu-keun(付根神) etc. So I review these gods and spirits referenced in encyclopedic literatures. ④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show much interest in ghost in common. The reason of interest is that authors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are all scholars of Sung Confucianism and Sung Confucian was concern about ghost. The Sung Confucianism denied the ghost as personal being whom Korean folk religion regards to a kind of spirits. Instead of beliefs in ghost of folk religion, they insist on the ghost as Ki(氣), a kind of cosmic principle. But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acknowledge some parts of folk religion's beliefs in ghost, because they admit the miraculous virtues of these parts. ⑤ There are many items on divination in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But they show dual attitude on divinations. The one is negative attitude to divinations on individual destiny and the other one is positive attitude to divinations on agriculture. ⑥ There are also many items on witchcrafts in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Through these items, I assumed pervasiveness of beliefs on witchcraft at that time. ⑦ Shamans, as religious specialist, are stand on a central position of Korean folk religion. So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concerned on Korean shaman. As Confucians, authors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did not regards shamans as positive one. But they did not deny miraculous virtues of shamans. In spite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have negative view points to, and include false informations Korean folk religion, I would like to emphasis on importance of these encyclopedic literatures to understand Korean folk religions, especially Korean folk religions of late Yi Dynasty.

Ritual Manual and Folk Relig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일제강점기의 의례 매뉴얼과 민속종교)

  • Choi, Jong-Seong
    • Journal of Korean Historical Folklife
    • /
    • no.52
    • /
    • pp.197-250
    • /
    • 2017
  • Many kinds of ritual manual books for the four ceremonies (coming-of-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es) were published and transcrib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itual manuals are classified by 5 different types: 'ritual standards', 'ritual books for the four ceremonies', 'ritual books for the written prayers', 'religious ceremonial books', and 'general manners books'. All of them contributed much to the formation of folk rituals and religions, even though the purpose and contents of each book were different. The ritual manuals were not intellectual results of elites, but rather compilations of pre-modern ritual books and contemporary manners. These were widely spread among the people with the help of modern printing techniques. The ritual manuals aimed at common readers who wanted to look for ritual references easily. They were not just made for the special upper class. We can understand the contexts and characteristics of folk ritual and religion of the $20^{th}$ century by comprehending the ritual manual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불과 민속 - 불을 신성시하고 숭배하는 종교, 조로아스터교

  • Jo, Seung-Yeon
    • 방재와보험
    • /
    • s.121
    • /
    • pp.60-65
    • /
    • 2007
  • 인류의 종교사에서 커다란 사건 가운데 하나를 꼽으라면 아마 조로아스터교의 출현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고대 아시아에서 배화교라고도 알려진 이 종교는 종교사 만큼이나 세계사의 흐름을 바꿔 놓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우선 조로아스터교의 등장은 진정한 세계 제국이 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그 이전의 모든 종교는 민족 종교의 성격이 강했다. 그래서 어느 민족이 패권을 잡게 되면 피지배 민족의 신은 철저하게 배척당하거나 파괴되었다. 성경을 접해본 사람이라면 구약의 이스라엘 민족이 정복한 민족과 그들의 신을 얼마나 철저하게 파괴하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조로아스터교의 경우는 다른 종교들과는 조금 달랐다.

  • PDF

Influences of Protestantism on some Traditional Cultural Values of Hmong Ethnic People in Lao Cai Province of Vietnam (베트남 라오까이 지역 흐몽족의 전통적 문화가치관에 미친 개신교의 영향)

  • NGUYEN, Van Hieu;DO, Quang Son
    • SUVANNABHUMI
    • /
    • v.1 no.2
    • /
    • pp.43-71
    • /
    • 2009
  • 베트남 소수민족 공동체 중 Hmong족은 중요한 구성원이라고 여겨져 왔다. 타지에서 베트남으로 이민 와서 다른 민족들과 함께 오랫동안 살아 왔지만 Hmong족은 자기의 민족문화 특색을 잘 지켜왔다. 그런데 지난 몇 년 동안 전통적인 종교와 달리 새로운 종교를 믿게 되는 방향으로 Hmong족의 심령의 종교는 많이 변하고 있다. 그 중에 특히 주목받은 것은 개신교의 유입이다. 개신교는 직접적, 간접적 선교 방법으로 Lao Cai에 있는 Hmong족 공동체에 자연스럽게 유입되었다. Lao Cai의 많은 지방에서 사람들이 개신교를 믿게 되었고 그 중에는 가족이나 종족 환경에서 강제적 선교도 일어났다. 개신교는 Hmong족의 전통문화뿐만 아니라 Hmong족의 전통 종교, 신앙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 글에서는 Hmong족이 살고 있는 Lao Cai 지방을 선택하여 고찰하며 Hmong족의 전통문화가치에 대한 개신교의 영향 및 원인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Hmong사람들은 전통신앙을 버리고 개신교를 믿게 되는 원인을 살펴보자. 주 원인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가 있다고 본다. -경제와 관련된 원인 -성별 불평등과 관련된 원인 -학문 수준과 정보 습득 희망과 관련된 원인 -전통문화, 심리와 민속의식과 관련된 원인 그리고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각도에서 전통문화 가치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첫째는 개신교가 Hmong사람의 전통사회체제에 큰 영향을 준 점, 둘째는 개신교가 Hmong사람의 풍속습관 및 전통 신앙에 영향을 준 점이다. 개신교가 Hmong사람의 전통사회체제에 큰 영향을 준 점은 여러 방면에서 보인다. 전통적인 가치와 개신교의 새로운 규정 사이의 충돌도 있고 가족 안에서 부부의 위치상 충돌도 있다. 또한 Hmong사람들에게 전통 종족의 역할, 위치를 약화시키는 영향도 주었고 산골 마을에서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과 믿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 일어난 새로운 충돌도 있다 개신교와 개신교의 교리는 역시 풍속습관과 전통신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첫째는 예수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고 조상 숭배나 "집에 있는 귀신 숭배"같은 것보다 강력한 것이다. 그래서 Hmong사람의 신앙, 종교는 원시적 다신교부터 일신교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는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이 Hmong족의 전통 민속축제를 점차 멀리한다. 어떤 경우에는 그 사람들이 자기 민족의 전통문화 환경을 떠나 버리는 일도 있었다. 셋째는 개신교의 교리가 Hmong족의 풍속 규정을 바꾸게 하였고 Hmong사람들이 새로운 종교의 교리를 집행시켰다. 넷째는 인간 인생 주기에 관한 풍속습관 및 민속의례들은 의례 대상보다 의례 주제를 중심으로 삼는 것으로 점차 변화했다. 대체로 개신교가 Hmong족 공동체에 유입하여 이 민족의 전통문화 가치는 변화했다. Hmong족 공동체에 오래 존재해 왔던 낙후한 습관을 개선하는 점에서 개신교는 적극적 역할을 했다. 현재 문제점은 어떻게 전통문화가치를 유지하고 새로운 종교와 같이 존재할 수 있느냐라는 문제이다. 이 문제는 다음 연구 대상이 될 것이다.

  • PDF

心なおしによる平和 -現代日本の新宗教の平和主義-

  • 島薗進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16
    • /
    • pp.183-202
    • /
    • 2003
  • 일본의 종교계는 2001년에 일어난 미국에서의 동시다발적 테러사건 이후, 적극적으로 평화를 위한 활동에 뛰어 들었다. 가령 뉴욕에 본부를 두고 있는 세계종교자 평화회의(WCRP)는 일본 종교교단들이 상당히 깊숙이 관여하고 있는 세계적 규모의 종교협력단체로서, 미국에 의한 보복공격의 억제를 꾸준히 그리고 강력하게 호소해 왔다. 1970년에 설립된 이 세계종교자 평화회의의 설립자 가운데 한 사람이자, 30여년에 걸쳐 지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온 인물로서 입정교성회(立正佼成會)의 개조인 니와노 닛쿄(庭野日敬)를 들 수 있다. 니와노는 1930년에 법화경에 의한 선조 공양의 가르침을 깨달은 후, 불교의 핵심이 이타행 실천에 있다고 가르치면서 열심히 포교활동을 계속해 왔다. 1950년대 이후에는 종교협력과 사회참여에 적극적으로 전념했으며, 그 결과 입정교성회의 종교활동 전체 속에 평화운동이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니와노는 불교의 가르침이야말로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사상을 담고 있다고 설한다. 즉 자연과 타자 사이에 조화로운 관계가 유지되도록 평화의 마음을 실현해야 한다는 가르침이 그것이다. 특히 분노와 질투와 공격적인 마음을 가지지 말며, 자비의 마음으로 타자를 대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이것이 우주 본래의 실재와 합치함으로써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모든 것이 일치할 수 있다고 굳게 믿는 니와노는 종교협력이 평화실현에 있어 중요한 방법이라고 간주한다. 그런데 니와노가 '평화주의국가 일본'이라는 이념에 많은 부분을 의거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런 이념이 과거의 전쟁에 대한 일본의 충분한 반성에 입각한 것인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나아가 그는 상이한 종교간의 일치 가능성에 대해 다소 낙관적이며, 또한 불교와 동양사상이 평화를 지향한다는 이해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이 미약하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민속적 종교토양에서 생겨난 종교적 평화주의의 이상 및 실천으로서, 니와노 닛쿄와 입정교성회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 PDF

불과 민속 - 불과 신앙

  • Yang, Jong-Seung
    • 방재와보험
    • /
    • s.131
    • /
    • pp.54-57
    • /
    • 2009
  • 불은 물질이 산소와 화합하여 연소하는 물리적 현상이지만 신앙적 믿음과 종교적 의례에서는 다양하게 상징화되어 문화적 암호로 쓰여온지 오래다. 그래서 불은 인간사에서 어느 것보다도 중요한 구실을 해 왔으며 오늘날 현대인들이 누리고 있는 온갖 문명도 불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현대인의 관념에서는 불에 대한 존엄성이 점차적으로 희박해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그렇지만 종교 신앙적 측면에서는 아직도 불은 그 어느 것보다도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무속신앙과 가신신앙에서는 불에 대한 관념이 명확할 뿐만 아니라 불에 대한 활용도 옛 법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무속신앙에서 불신(조왕신)이 어떠한 구실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불이 마을신으로 모셔지는 경위는 어떠한 것인지와 더불어 가신신앙에서의 조왕그릇과 조왕동토부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 PDF

시베리아 문화권 민속복식의 색채문화에 관한 연구

  • 김문숙;김완주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4a
    • /
    • pp.69-69
    • /
    • 2003
  • 의복은 인간의 일상적인 필요에 따라 존재의 수단으로서 중요성을 가지며, 장식과 기능적인 디자인이 요구되는 예술의 한 부류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이러한 의복의 유형은 가치관, 언어, 종교 및 다른 감정적인 면과 더불어 그 사회의 문화를 표현하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시베리아 문화권의 의복을 살펴보면 인간과 동물세계의 우주론적 연계에서 자기 부족의 생존이 달려있는 동물의 영혼을 즐겁게 해줄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하여 의복을 아름답게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Divinity Construction of Temples in Sapa Region, Vietnam : Case of Den Hang Pho (베트남 사파(Sapa)지역 신전(神殿)의 신격(神格) 구성 고찰 - 덴항포(Den Hang Pho, SAPA)를 소재삼아 -)

  • Lee, Yoon Sun;LE, THI NGOC CAM
    • Journal of Korean Historical Folklife
    • /
    • no.34
    • /
    • pp.253-281
    • /
    • 2010
  •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figuring it out to the religious notion in Vietnam with the material of the divinity construction of Den Hang Pho in Sapa where is the northern region of Vietnam. To make this, the study divides the type of Vietnamese temples into four parts; Chua, Den, Dinh, and Mieu. Among them, the study pays attention to 'Den' because Vietnamese historical heroes are seated as divinity. This reason makes a reasonable case to this study to figure out a typically and generally religious faith. First of all, the study analyzes immaculate divinity, which generally consists of three and four layered system. The study confirms that the immaculate divinity started from the goddess and then extended to the concept to dominate the sky, the ground, the sea(river), and the mountain(forest). General Tran Hung Dao is the best historical hero in Vietnam and has been placed in temples called Den. The study exams the context that the divinity extended to the religious beliefs, for examples, the belief related in a childbirth by lots of narrations and ceremonies and the belief to treat a sickness, and also exams the context that the divinity placed in a divinity to make a symmetrical relation with immaculate faith. The study exams the divinity construction of Den Hang Pho as its authentic case. In this case, the study could verify a case emphasized by mountain Holy Mother among immaculate faiths. Especially, the study can confirm that General Tran Hung Dao was apotheosized as a concept to be symmetrized with immaculate divinity, and futhermore, a couple of snakes was emphasized by their positioning to every room. Tri-system lays stress on the aboriginality(locality) centered on minority races in the northern Vietnam, the national identity of Vietnam, and the ecological condition of rivers flowing the valley of high and steep peak. The confirmed facts could be said to a construction what the religious notion of tri-system makes. The study makes a conclusion that this kind of conversion-oriented religious notion naturally corresponded with region, nation, and ecologically environmental condition, and extended to the Vietnamese faith with polytheistic divinity.

A Study on the Similarity between Religious Soo-Jeong Bae Costume and Kazakh and Tajik Minority Women's Costume in Northwestern China (중국 서북지역 하자크족과 타지크족 여성 민속복식과 종교복식의 유사성 연구)

  • Xu, Rui;Bae, Soo-Jeong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
    • v.23 no.5
    • /
    • pp.48-6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investigate the similarities between religious costumes and Kazakh and Tajik minority women's costumes in the Chinese northwestern minority population that believes in both Islam and Shamanism.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the forms, colors, and patterns of 240 representative costume pieces and making quantitative comparisons between religious and traditional costum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azakh and Tajik costumes were similarly formed, both intended to cover the human body. Both the Islamic and traditional headdresses were also similarly shaped. In terms of color, black, white, green, and blue were found frequently in the Islamic religious costumes, as were red and yellow. Red, white, and brown, ascribed to the colors of shamanism, signifying incantations, were also frequent, indicating that this was engrained in their lives. A review of the traditional costumes revealed the patterns of Islam. Plants, geometry, abstraction, and letter patterns were dominant, whereas the meaning of the Islamic patterns, rebirth, sun, life, and hope, influenced the traditional costume patterns. Patterns associated with incantations, like the animal horns shown in the shamanism religious costumes, were persistently observed even after the people were converted to Islam. This study on the similarities between religious and traditional costumes in the Chinese minority might help us understand the connection between religious and traditional costumes and elucidate the cultural costume transition process.

A bibliographic essay on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미국에서의 한국학관계 문헌의 서지적 통정에 관한 연구)

  • Ro, Jin-You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4
    • /
    • pp.121-148
    • /
    • 1987
  • 종래에는 중국이나 일본에 관한 연구에 종속되어 부가적인 것으로 취급되어 오던 한국학이 한국의 선진 공업국화와 경제적인 국제 지위의 향상에 힘입 어 한국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제 본고를 통해 서방국 가 중에서는 한국 연구에 가장 앞서 있다고 할 수 있는 미국에서의 한국학 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고 한국학에 종사하는 학자.전문인들의 단체에는 어떤 것이 존재하며, 또한 이들 전문인들의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경로로서의 1차 학술잡지, 단행본, 총서, 박사학위 논문 등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한국학을 연구하는 학자.전문인들의 연구의 결실이라고 할수 있는 1차 자료들이 정보의 재생산과 효과적인 정보 활용을 위해 서지적인 통정이 조 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고찰하기 위하여 현존하는 연구안내서, 서지, 그리고 한국관계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미국의 저명한 도서관과 그 도서관 에서 발행하고 있거나 이미 발행한 장소목록 등을 구체적으로 상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미국에서의 한국학은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역사등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회화, 조각, 무용, 민속 그리고 종교와 같은 인문과학 분야에서의 한국학은 매우 미미한 것임을 알수 있었 다. 둘째로, 미국의 한국학 관계자료의 서지적 통정면에서는 현행서지와 초 록 서비스는 거의 부재의 상태임이 드러났다. 따라서 한국학 관계자료의 신 속한 접근을 위한 현행서지나 색인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 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