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민방위 급수시설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Research on Standards for Emergency Water Supply (비상급수시설 급수소요량 기준 개선 연구)

  • Lee, Joon-H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1-471
    • /
    • 2021
  • 비상급수시설은 상수도 공급이 중단될 경우에 국민들에게 최소한의 음용수와 생활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시설이다. 2018년 기준으로 상수도 보급을 통한 국내 1인 1일 급수량은 평균 348리터로 나타났지만, 국내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의 급수소요량은 성인 기준 1명당 25리터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식수 9리터와 생활용수 16리터를 포함한 값이다. 그러나 왜 식수 기준을 9리터로 했는지, 생활용수 16리터로 쓸 수 있는 물 사용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명확하지 않은 실태이다. 본 연구는 국내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의 급수소요량 기준을 검토하기 위한 것으로 UN, WHO, 유럽, 미국 등의 비상급수와 관련되 음용수 및 생활용수 기준을 수집하고 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국내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의 급수소요량 기준이 선진국보다 적게 산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포로수용소의 지속가능 급수지원 기준량보다도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토대로 음용수, 요리, 세면, 세탁 등을 포함하여 지속가능한 적정 급수소요량 기준을 최소 50리터 이상으로 제안하였다. 한국의 경제력과 국민들의 복지를 고려할 때, 향후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의 급수소요량 기준을 현재보다 상향 조정하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대전시 민방위 비상용 지하수의 수질특성과 문제점 및 개선대책

  • 정찬호;김은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0.11a
    • /
    • pp.78-80
    • /
    • 2000
  • 대전광역시에 분포하는 민방위 비상용 지하수 급수시설은 현재 총 225개소가 확보되어 있고 확보된 수량은 약 51,597톤/일이다. 비상용 지하수 중 정부지원시설은 년간 4회에 걸쳐 수질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1996년∼1999년 사이에 수질분석 내용을 보면 약 36% 정도가 음용수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부적합 항목으로 일반세균, 대장균, 질산성질소, 불소 등이다. 수질분석자료를 근거로 보면 동구와 중구의 구도심권의 수질이 나쁜 상태이고, 도시계획도상 녹지지역이 가장 많은 유성구가 가장 좋은 수질특성을 보인다. 대덕구는 공단지역 등을 중심으로 수질이 저하되어 있고, 서구는 신도시보다는 기존도심지의 지하수의 수질이 저하되어 있음을 보이는데, 이는 대전시 지하수의 수질특성이 토지이용 및 도시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대전 지하수의 수질 향상을 위하여, 부적합 판정을 받은 급수시설에 대해서는 정밀한 조사를 통하여 오염물질의 종류와 농도변화, 오염의 원인, 오염물의 확산 등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한 후, 오염정화를 통한 복구나 폐공처리 조치 또는 관측정으로의 전환 등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표본지역에 대한 양수시험결과 기록된 지하수량과 실제치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어 비상급수시설에 대한 정확한 1일 적정 채수량을 다시 산정할 필요가 있다.

  • PDF

Visualization and contamination analysis for groundwater quality of CDEWSF in Gwangju area using statistical method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광주지역 민방위비상급수용 지하수 수질 오염도 분석 및 시각화 연구)

  • Jang, Seoeun;Lee, Daehaeng;Kim, Jongmin;Kim, Haram;Jeong, Sukkyung;Bae, Seokjin;Cho, Younggwa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1 no.3
    • /
    • pp.122-133
    • /
    • 2018
  • In this study, groundwater quality data measured for 11 years from 2006 to 2016 were analyzed statistically for 101 civil defense emergency water supply facilities (CDEWSF) in the Gwangju area. The contamination level was quantified into four grades by using excess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average concentration analysis, and tendency analysis results for each facility. On the basis of this approach,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degree of each item was evaluated according to land use status, installation year, depth, and geological distribution. The contamination grade ratios, which were obtained by analyzing three contamination indicators (water quality exceeded frequency, average concentration analysis, and trend analysis) for 15 items on statistically significant of civil defense emergency water was relatively high, in the order of Turbidity (51.5 %) > Color (32.7 %) > Nitrate nitrogen (28.7 %) > Hardness (25.7 %). As a result of the contamination grade analysis, except for the items of Turbidity, Color, and Nitrate nitrogen, the contamination levels were distributed in various degrees from "clean (0)" to "seriously contaminated (3)." Regarding the contamination grade of 12 items, 25 % of the total were classified as "possibly contaminated (1)," and 75 % were rated "clean (0)." The four items (Turbidity, Color, Nitrate nitrogen, and Hardness) for which contamination indication rate were evaluated as "high" by the were visualized on a contamination map.

Uranium in Drinking Water of Kyungpook Area in Korea (경북지역의 먹는 물에서 우라늄 검출 특성)

  • Lee, Hea-Geun;Cha, Sang-Deok;Kim, JeongJin;Kim, Young-Hun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7 no.4
    • /
    • pp.235-242
    • /
    • 2014
  • Uranium can be released into the water environment from natural sources and human activities. The natural source of uranium is dominant in the Korean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s. Uranium has both of radioactive and chemical toxic properties. Therefore, a drinking water contaminated with uranium has a high health ris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uranium concentration of water systems including small village drinking water system, groundwater for drinking water purpose, spring water, groundwater monitoring well, and emergency water suppling system. The uranium concentration was compared with domestic and other countries' standard. The contamination level was also evaluated on the basis of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mong total 803 samples, 6 exceeded the Korean standard, $30{\mu}g/{\ell}$ and this was about 0.7% of the total sample. On the basis of geology, uranium concentration appeared to be increased in order of biotite granodiorite > biotite granite > gneissoid granite. The highest level of uranium was 12.4 in ave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