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산란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6초

금강지류 두계천에 서식하는 돌마자(Microphysogobio yaluensis)의 생태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crophysogobio yaluensis in Dugye Stream of Geum River Basin,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81-389
    • /
    • 2022
  • 돌마자(Microphysogobio yaluensis)의 생태적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 금강지류인 두계천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종의 서식지 하상구조는 조약돌(pebble)과 자갈(gravel)이 풍부하였으며, 수심은 12~85cm로 평균 23cm로 얕았으며, 유속이 1.03±0.34(0.72~1.47)m/sec로 빨랐다. 암수 성비는 1 : 0.86이었다. 전장빈도분포도에 따른 연령은 여름(6~7월)기준으로 50mm 미만(30.4~49mm)은 만1년생, 50~69mm은 만 2년생, 70~92mm 이상은 만3년생으로 추정되었다. 생식가능 전장의 크기는 6, 7월에 암컷과 수컷 모두 50mm 이상의 만2년생에서 성적성숙이 이루어졌다. 산란시기는 7월에서 8월(산란성기 7월)이고 수온은 25.8~28.2℃이었다. 성숙란은 노란색 구형으로 직경이 0.52±0.16(0.33~0.77)mm이고 포란수는 평균 2,593(1,343~4,672)개 이었다. 돌마자의 먹이생물은 하천 여울의 돌과 자갈에 부착하여 생육하는 부착조류(Attached algae)만 확인되었다. 식성은 식물성이었으며 부착조류인 남조류(Cyanophyta), 녹조류(Chlorophyta), 규조류(Bacillariophya) 등을 섭식하였고 규조류와 녹조류에 속하는 종이 풍부하였다.

한국연안천해생물군집의 구조와 생산 2. 추체에 의한 노래미(Agrammus agrammus)의 연령 사정 (Studies on the Structure and Production Processes of Biotic Communities in the Coastal Shallow Waters of Korea 2. Using the Vertebrae for Age Determination of the Spottybelly Greenling, Agrammus agrammus)

  • 강용주;김종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5-81
    • /
    • 1983
  • 1981년 7월부터 1982년 6월까지 매월 부산 해운대 동백섬 해안에서 낚시와 삼중자망으로 채집한 노래미(Agrammus agrammus)의 추체를 사용하여 연령과 성장을 조사하였다. 추체반경과 어체의 전장 간에는 직선회귀관계가 있었다. 추체의 불투명대에서 투명대로 이행하는 경계를 윤문으로 간주한 본연구에서의 윤문은 매년 $7{\sim}8$월에 형성되었고, 제1, 2, 3, 4 윤문이 형성되는 데는 각각 0.67년, 1.67년, 2.67년, 3.67년이 걸렸다. 비만도의 월별변화로 조사한 산란기는 12월로 추정되었다. 각 윤문이 형성될 때의 전장을 역계산하여 다음과 같은 버트란피 성장식을 구할 수 있다. $l_t=31.68(1-e^{-0.189(t+1.458)})\;W_t=528.30(1-e^{-0.189(t+1.458)})^3$이 식으로부터 구한 추정전장은 실측전장과 잘 일치하였다.

  • PDF

잣나무를 식해한는 한국미기록종 넓적잎벌(막혈목, 고아요아목) 에 관한 연구 (I)-형태 및 분류학적 연구 (Studies on a Korean Unrecorded Phamphilid -sawfly (Hymenoptera, Symphyta) Feeding on Korean Pine. taxonomical and Morphological Studies)

  • 이덕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6
    • /
    • 1961
  • 본 논문은 경기도광릉시험목에서 잣나무를 식해하는 한국미기록종 잣나무넓적잎벌(신칭)을 재료로 하여 1958-1961 년에 연구한 것을 기록한 것이다. (1) 본충은 막혈목 광요아목 편엽봉과의 Acantholyda nemoralis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것의 학명으로는 R.B.Benson T의 설에 따라 Acantholyda posticalis posticalis MATSU.MURA를 채용하기로하였다. (2) 분포지로는 개지의 일본, 몽고, 시베리아 외에 한국을 추가한다. 구라파에서는 별개의 아종이 있다. 본종의 서식지로는 현재까지 경기도의 광fmd, 가평, 양주와 강원도의 충성군이 알려져있을 뿐이다. (3) 성충의 체색은 대체로 흑색이나, 두부와 훙부에 황색의 무늬가 많\ulcorner. 촉색은 황갈색 사상으로 유충은 웅충은 33절, 자충은 32절로 되었다. (4) 란은 QH트형으로 그 양단이 상외방으로 돌출, 산란직후의 색은 광택있는 담황갈색을 정하나 3일이 경과하면 담자황록색으로 변한다. 길이 약 3 mm , 폭 약 0.7mm이다. (5) 부화유충의 채색은 대적황색이나 , 머리와 흉곽은 흑색이다. 머리가 크고 몸통은 가늘다. 체장 약 3.5mm, 체폭 약 0.7mm. 성열유충의 체색은 담황갈색이나, 배선 및 기문상선은 선명한 적색이다. 3상의 흉곽과 한쌍의 미각이 있고, 망막은 없다. 두부는 키틴질화하였고, 갈색이며, 촉색은 7 절로되어 있고 대사가 발달하였다. 체장 약 27.4mm, 체폭 약 4.5mm , 전용은 적색의 배선 및 기문상선이 없고, 전신이 등황색이며, 촉색의 배측에 칠흑색의 커다란 복안을 가지고있는 점등이 성열유충과 다른 점이다. 암컷이 될 것은 크고 (체장 약 20-26mm), 수컷이 될 것은 작다(체장 약 3-17mm). (6) 용은 나용으로 용화직전의 것은 단지 복안과 단안만이 흑색을 정하고 , 타부분은 전부황색이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색이 변한다. 체장 약 17mm, 체폭 약 5mm.

  • PDF

어군탐지기에 의한 어군량 추정에 관한 기초적 연구 ( 1 ) - 어군량추정이론의 검증실험 - (Studies on Estimation of Fish Abundance Using an Echo Sounder ( 1 ) -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the Theory for Estimating Fish Density-)

  • 이대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7권1호
    • /
    • pp.1-12
    • /
    • 1991
  • 적분방식에 의한 어군량추정법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수조에서 50 kHz와 200 kHz의 주파수를 대상으로 모의어군의 분포밀도와 초음파산란강도의 관계를 검토하고, 또 계량어군탐지기의 정도를 개선하기 위한 문제들에 대하여 고찰을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체의 모의표적으로 이용한 steel ball (직영 35mm)의 실측 echo 파형은 이론 echo 파형과 잘 일치하였다. 2. 5 종류의 주파수에 대하여 고등어 (체장 36cm)의 반사주파수특성을 조사한 결과, 측정주파수가 변화함에 따라 어체에 의한 echo 신호의 진폭과 파형이 크게 변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송수파기의 음속 내에서 5개/m 상(3)와 30개/m 상(3)의 표적 군이 서로 상하로 존재할 때, 상부 표적군의 존재에 의해 하부 표적군의 echo level이 -0.43 dB 감쇠하는, 소위 그늘효과(shadowing effect)가 발생하였다. 4. 동지나해에서 정박 중에 탐지한 고밀도 어군의 echo신호와 그 어군직하의 해저에서 산란된 echo 신호를 상호 연관시켜 분석한 결과, 어군층내에서 발생한 어군감쇠와 다중산란효과가 해저 echo 신호의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 정치망의 원통에 인망한 정어리의 단위체적당에 대한 분포밀도가 36마리/m 상(3)였을 때, 해저기녹이 소실되는 어군감쇠현상과, 어군 echo 신호가 해저까지 신장되는 다중산란현상이 동시에 발생하였다. 6. 50kHz와 200kHz의 주파수에서 표적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dB)와 표적의 분포밀도($\rho$:개/m 상(3))의 간에 다음의 회귀직선식을 얻었다. 50kHz : =-46.2+13.7 Log($\rho$). 200kHz : =-43.9+13.4 Log($\rho$). 7. 표적의 분포밀도가 5, 10, 15, 20, 25, 30 개/m 상(3)였을 때, 적분방식에 의한 추정치는 50kHz에서 2.0, 8.1, 9.9, 14.1, 19.2, 26.7 개/m 상(3)이었고, 200kHz에서는 2.0, 8.0, 9.1, 15.0, 20.1, 24.1 개/m 상(3)이었으며, 단위체적당에 분포하는 표적의 수가 많을수록, 그 추정치의 정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양주파수에서 분포밀도의 추정치는 실제보다 약 30%정도 과소추정되었다.

  • PDF

기후변화가 축산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거세우, 낙농, 양돈, 산란계, 육계를 대상으로- (Effects of Impact of Climate Change on Livestock Productivity - For bullocks, dairy, pigs, laying hens, and broilers -)

  • 이현경;박희민;신용광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107-123
    • /
    • 2018
  •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도가 점차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축산 생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후변화 요소들 중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닌 변수들을 선행연구와 전문가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현재 축산농가들의 실질적 생산성 자료를 이용하여 기후변화와의 관계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가축 등 농업 생산성 변화에 관한 기후 평가를 위해 국내에서 축종별(한우(거세우), 낙농, 양돈, 산란계, 육계) 등의 전국 대표 자료들을 조사하였다. 또한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분류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로서 기후변화 요인 변수선정 연구, 기후변화 요인 변수의 가중치 계산연구 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축산부문에 있어서 산학연 및 농민 등이 전문가(한우17, 낙농15, 양돈36, 산란계16, 육계15명)를 활용하여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계층분석과정(AHP)을 이용하여 선정된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축산 생산성에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력 평가 AHP 분석 종합결과 사양관리기술, 시설, 기후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이것은 시설, 기후에 대한 통제부분을 현재 축산분야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평균수준 이상으로 경영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해 볼 수 있으며, 본 연구가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도 연구이므로 기후요인만을 살펴볼 경우에 축산 생산성 관련 중요 기후요인은 모든 축종에서 최고기온, 고온일수 및 일교온도차로 조사되었고, 축종 별로 기후요인의 우선순위에는 차이가 있었다. 모든 축종에서 고온일수가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조사되었으며, 2순위로 최고기온과 일교차가 있었다. 2순위 최고기온은 거세우, 낙농, 양돈에서 영향력이 더 컸으며, 일교차는 산란계와 육계에서 더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평가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기후, 강수량 및 일조시간의 변화를 조사하여 축산부문에서의 각 축종별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조사된 축산분야 농가들의 생산성 데이터를 통해 관계성을 알아보았다.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축종별 생산성을 대표할 수 있는 주요 생산지표(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사료비, 도체중, 육질, 유생산량, 유지율, MSY, 육성율, 산란율 등)들과 선행연구들을 통해 결정된 기후변화 변수(기상청의 지역별·월별자료)들 간의 상관관계 및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결과 기후변화요인들이 축산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도출, 관계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후변화는 현재도 진행 중으로 지구온난화는 고온일수 빈도를 높이고 있으며 이것은 단순한 기온 상승이 아닌 재해형태의 영향력 및 빈도의 심각성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축산환경에 있어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적극적인 환경관리 및 제어기술을 사전에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축산 생산성 연구에 있어서 기후변화 요인들을 제어할 수 있는 사육환경과 사양시스템에 포커스를 맞추어 이와 관련된 세분화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국내의 경우 기후변화 조사 및 연구에 있어 보다 민감도를 높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반도 태양에너지 자원의 분석.평가 및 데이터 신뢰성 향상 연구 (Analysis and Evaluation of Solar Radiation Resources and Reliability Enhancement on Insolation Data in Korea)

  • 조덕기;강용혁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제17회 워크샵 및 추계학술대회
    • /
    • pp.479-491
    • /
    • 2005
  • 지구환경문제와 에너지 수급관계를 감안할 때, 청정 및 대체에너지 연구개발은 불가피하며, 그 중에서도 태양에너지는 대표적인 대안의 하나로 인식된다. 따라서 태양에너지의 적극적인 활용에 필요한 기초자료의 마련은 필수적이다. 태양에너지의 이용 및 관련 절약 기술에 필요한 태양에너지 자원(기상)에 대한 기술자료는 최소한 30년간의 측정 자료를 필요로 한다. 이들 자료에는 시간별 수평면전 일사량, 법선면 직달일사량 및 수평면 산란일사량은 물론 시간별 평균치로 운량, 기온, 습도 등이 포함된다. 이들 자료로부터 자료의 분포, 평균 및 최고, 최저값 등과 같은 기초자료들을 선별하여 관련 시스템 설계에서 요구하는 기준을 충족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태양에너지 자원에 대한 정밀한 측정은 1982년 이후 수평면 전일사량, 1990년 이후에서나 법선면 직달일사량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실정으로, 자료의 표준화 및 신뢰성 확보에는 여전히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지속적인 측정과 더불어 요구되는 것으로 측정자료의 가공기술을 들 수 있다. 즉, 측정자료의 품질평가 및 관리 기술, 미측정 또는 불량자료의 복원 기술 및 측정 지역외 자료의 추정을 위한 보간기술 등이다. 이와 같은 기초자료 및 기술에 관한 연구개발은 보다 구체적인 적용에 앞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다.

  • PDF

정적챔버에서 GDI용 연료분사기의 가솔린, M85, E85 및 LPG 분무 계측 (The Spray Measurements of Gasoline, M85, E85, and LPG by a GDI Injector in a Constant Volume Chamber)

  • 김성수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10
    • /
    • 2012
  • Spray structures and penetration lengths of Gasoline, M85, E85, and LPG by a GDI 6-hole fuel injector were examined in a constant volume chamber. The chamber pressure was controlled at 0.1 MPa and 0.9 MPa. The effects of fuel injection pressure and chamber pressure on the spray structures and penetration length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2-dimensional Mie scattering technique. It was found that the sprays developed linearly till ASOI 1.7ms after start of injection and vortices were happened around jets on the way of spray development. And the high chamber pressure, 0.9 MPa kept the fuel sprays development down and the penetration length was reduced to about 55% compared with that of 0.1 MPa. In additions high pressure of fuel injection, 12 MPa increased the spray penetration length more about 7~10% than that of 7 MPa.

기름종개속 Cobitis(어강, 미꾸리과) 어류 5종의 난막 (Egg Membrane in Five Cobitid Species of Cobitis (Pisces : Cobitidae))

  • 박종영;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1-129
    • /
    • 1997
  • 기름종개속 Cobitis 어류 5종의 부착막의 미세구조(adhesive membrane)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으로 성숙란을 조사한 결과, 난황형성시기인 난황구 후기의 zona radiata에는 다음과 같은 2가지 형태의 부착막 구조가 존재하였다. Cobitis lutheri, C. striata, C. sinensis 그리고 C. sinensis-longicorpus는 과립형(granular form)을 보였으며 C. melanoleuca는 융모형(villous form)을 보였다. 그러나 C. lutheri와 C. striata 그리고 C. sinensis, C. sinensis-longicorpus는 같은 과립형의 부착막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들 과립의 크기와 분포 수 그리고 난막의 미세구조에서 종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기름종개속 어류의 난막과 부착막 구조는 그들의 서식처와 산란습성에 관련된 종의 특이성을 보여 주고 있어서 분류학적으로 주목되었다.

  • PDF

SED-2D를 이용한 한강 하구부의 하상변동 해석 (Analysis of Bed Elevation Change in the Han River Estuary using SED-2D)

  • 서일원;전인옥;김성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70-1774
    • /
    • 2010
  • 하구는 담수와 해수가 만나 넓은 갯벌과 기수역을 형성하여 각종 생물의 서식지이자 어류의 산란지로 이용되는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특히 한강 하구는 국내 4 대강 가운데 유일하게 하구둑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조수의 출입이 자유롭고 민간인 접근이 통제되어 있어 자연적인 하천지형과 기수역 생태계가 비교적 잘 보전된 구역이다. 본 연구의 모의영역은 한강 하류부로 상류 경계단은 행주대교, 하류 경계단은 전류단 수위표가 위치한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 사랑교 부근으로 설정하였다. 지형자료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2009년 8월 홍수사상 전 후에 대해 측량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한강 하구역에 대한 지형 격자를 구성하기 위하여 RAMS 전후 처리기인 RAMS-GUI를 사용하였으며, 구성된 지형 격자의 절점 수는 2,354개, 요소 수는 2,145개로 삼각요소와 사각요소가 혼용되어 있다. 구성된 격자망을 이용하여 2차원 하상변동 해석 모형인 SED-2D 모의를 통해 홍수사상에 의한 한강 하구부의 하상변동을 살펴보았다. SED-2D 모형은 미국 육군 공변단의 WES와 미 연방 도로국이 연계하여 개발되어 현재 국내외 2차원 하천해석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형 중 하나이다. 하상변동 해석모형인 SED-2D를 통해 모의된 하상 변동량을 실제 측량된 홍수 전 후의 지형자료와 비교함으로써 모형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ED-2D 모형의 경우 침식에 의한 하상변동이 모의되지 않았지만, 전반적인 하상변동 경향을 살펴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광학 입자 계수기의 응답특성 및 오계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sponse Characteristics and False Counts in Optical Particle Counter)

  • 안강호;이재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47-554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Climet사의 백색광원 OPC인 CI226와 PMS사의 laser 광원 OPC인 LAS-X 및 HS-LAS의 응답특성을 측정하여 제작사가 제시한 응답특성과 비교하여 그 정 확성을 논하였으며 아울러 고유량(high flow rate) Clean Room용 OPC인 Climet CI- 7300, Met One 200, Hiac/Royco5120 등 3가지 장치에 관한 오계수의 원인을 박히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