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토콘드리아

검색결과 763건 처리시간 0.028초

쥐노래미과 어류 2종의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b 유전자의 분자계통 (Molecular Phylogeny of Two Species of Hexagrammidae (Greenling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 정상운;이영미;허준욱;임수연;이재성;박인석
    • 환경생물
    • /
    • 제24권2호
    • /
    • pp.112-118
    • /
    • 2006
  • 본 연구는 쥐노래미과(Hexagrammidae)에 속하고 양식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노래미, Hexagrammos otakii(Jordan et Starks)와 쥐노래미, H. agrammus(Temminck et Schlegel)의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b(cyt b)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총 489 bp크기의 cyt b 염기서열에서 종간의 변이는 거의 없었다(96%의 유사성).Neighbor-joining방법에 의한 노래미와 쥐노래미에서의 0.0342인 pairwise distance는 두 종이 분자계통유전학적으로 유사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쥐노래미(Hexagrammos)속을 대상으로 한 양식, 수산유전학 및 분자계통학 분야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미토콘드리아 DNA control region의 염기분석에 의한 연어아과 어류의 유전학적 연구 (Genetic Study of the Subfamily Salmoninae Based upon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Sequences)

  • 이희정;박중연;김우진;민광식;김윤;유미애;이원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3-171
    • /
    • 1999
  • 열목어를 비롯한 산천어, 시마연어, 연어, 무지개송어 등 우리나라 연어아과 어류의 미토콘드리아 DNA control region의 염기서열 조성 및 구조적 변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열목어속의 열목어는 연어속의 종들과 다수의 염기치환 및 삽입/결실에 의해 뚜렷하게 구별되었으며, 연어속어종간에는 5.42~16.49%의 염기치환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산천어와 시마연어의 염기서열은 100% 일치하였으며, 무지개송어와 알비노사이에는 단지 3개의 전이만이 관찰되었다. 3' 말단쪽에 77~96 bp의 반복서열이 종렬배열되어 종간에 뚜렷한 길이변이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열목어에서는 특징적으로 81 bp 영역이 2 copy로 배열되어 있었다. 각각의 반복서열상의 염기조성에 있어서도 종간 특이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control region에서의 염기변이는 연어아과 어류의 표지인자로써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으리라 사료되어진다.

  • PDF

사람 치은 섬유아세포에서 산화질소 유도 세포고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sm of NO-induced apoptosis in human gingival fibroblast)

  • 김강문;정현주;김원재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4호
    • /
    • pp.807-818
    • /
    • 2004
  • 산화질소는 생리적 농도에서 세포내 신호전달자로 작용하지만 높은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을 일으킨다. 최근 치은 섬유아세포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는 산화질소 합성효소를 가지고 있고 세균의 lipopolysaccharide나 cytokine에 의해 대량의 높은 농도의 산화질소가 합성된다는 보고가 있음에도 지금까지 치은 조직에서 산화질소의 세포독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 지지않고 있다. 본 연구는 사람의 치은 섬유아세포에서, 산화질소유도세포 고사기전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세포 생장력은 MTT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세포의 형태적 변화는 Diff-Quick 염색법으로 조사하였다. Bcl-2 famly와 Fas 발현 정도는 RT-PCR 방법에 의해 확인하였으며, caspase-3, -8 와 -9의 활성은 spectrophotometer로 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형광분광계에 의해 측정되었다.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 분비된 cytochrome c는 western blot으로 조사하였다. 산화질소 유리제인 sodium nitroprusside (SNP) 처리는 사람 섬유아세포의 생존률을 시간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고, 세포용적축소, 염색사 용축, DNA 절편화를 일으켰다. 또한, SNP 처리로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 유리되는 cytochrome c 양이 증가되었고, caspase-9 과 caspase-3 의 활성이 증가되었다. 한편, SNP 처리에 의해 death receptor 구성요소인 Fas 발현이 증가되었고, caspase-8의 활성이 증가되었다. Bcl-2 family 에 대한 RT-PCR 분석결과, 세포고사를 억제하는 Bcl-2 발현은 감소되었으나 세포고사를 자극하는 Bax와 Bid의 발현은 증가되었다. Soluble guanylate cyclase 억제제인 ODQ는 SNP에 의한 세포 생존율 감소를 차단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들은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산화질소유도 세포고사에 Bcl-2 family나 ROS가 매개하는 미토콘드리아 의존 및 death receptor 의존 세포고사기전이 관여함을 시사하였다.

3-Methylglutaconic aciduria의 진단 및 평가 (The Diagnosis and Assessment of 3-methylglutaconic Acidurias)

  • 김자혜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17
    • /
    • 2016
  • 3-Methylglutaconic aciduria (3-MGA-uria)는 임상적 및 유전적으로 다양한 대사질환들을 총칭하는 질환군이다. 대부분의 경우 소변에서 3-MGA가 약간 증가되어 있거나 다른 대사물질이 같이 분비되는 경우에는 다른 대사질환이나 미토콘드리아 질환 등을 감별해야 한다. 그러나 지속적이며 반복적으로 소변 유기산 분석에서 3-MGA가 40-1,000 mmol/mol creatinine으로 상승되어 있는 경우에는 3-MGA-uria를 일으키는 질환을 감별해야 한다. 3-MGA-uria는 5가지 타입의 질환으로 분류되어 있고 Leucine 대사 질환인 일차성 3-MGA-uria와 4가지의 미토콘드리아 이상질환이 포함되어 있으며 임상적 및 생화학적 소견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일차성 3-MGA-uria인 3-methyl-glutaconyl-CoA hydratase 결핍증 환자에서는 소변의 3-MGA가 다른 질환군에 비해 많이 증가되어 있고 소변에서 3-hydroxyisovaleric acid가 분비되는 것이 감별점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종류의 3-MGA-uria의 경우에는 대개 임상적으로 잘 분류가 되어 있는 Barth 증후군, Costeff 증후군, TMEM 70 결핍, MEGDEL 증후군, and DCMA 증후군 등이 포함되어 있어 시신경 검사, 심장초음파 검사 및 발달 검사 등을 통하여 감별진단에 이를 수 있다. 이에 본 종설에서는 선별검사를 통해 3-MGA-uria가 양성이 나온 환자들의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붉은머리 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a)의 정자변태 과정 중 정자형성세포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the Spermatogenic Cells during the Spermiogenesis of Paradoxornis webbiana)

  • 이정훈;함규황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3호
    • /
    • pp.245-256
    • /
    • 2001
  • 본 연구는 붉은머리오목눈이(Paradoxornis webbiana)의 정자변태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자현미경으로 세포분화 단계에 따른 세포구조물의 특징을 기초로 하여 관찰한 결과 정자변태의 전과정을 10단계로 나타내었다. 염색질의 변화는 골지기에서 균질한 섬유상의 형태가 두모기에서는 서서히 응축하여 첨체기에 막대상으로 응축되고 성숙기에 이르러 더욱 응축되고, 균질화되어 완전한 핵을 형성하였다. 꼬리의 형성시기는 초기 골지단계에서 시작하여 성숙후기에 완료되었다. 축사는 9+2구조이며, 미토콘드리아 다발은 2개가 1조를 이루어 축사를 중심으로 $15^{\circ}$ 각도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그리고 microtubules들이 미토콘드리아 외막을 둘러싸고 있었다 정자의 파동막의 형태는 S자형으로 정자원형질막을 둘러싸고 있었다.

  • PDF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와 납자루 A. lanceolatus 사이의 자연 잡종 출현 (Occurrence of a Natural Hybrid between Acheilognathus signifer and A. lanceolatus (Pisces: Cyprinidae))

  • 김형수;윤승운;김현태;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99-204
    • /
    • 2015
  •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와 납자루 A. lanceolatus간 잡종으로 추정되는 개체를 한강 수계의 김화남대천에서 채집하였다. 잡종의 기원을 확인하기 위하여 형태적 특징과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b gene (cyt b)와 recombination-activating gene 1 (RAG-1)를 분석하였다. 외부 형태를 분석한 결과 잡종 개체는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반문, 뒷지느러미 색깔, 몸의 체색 등은 두 부모종의 중간적 형질을 보였다. 미토콘드리아 cyt b 분석 결과 잡종 개체는 묵납자루와 염기서열이 99.9% 일치하여 묵납자루가 모계임이 밝혀졌다. 또한 RAG-1 분석 결과 double peak가 나타났는데 이는 잡종 개체임을 강력하게 시사하였다.

시간 경과 신경계 영상 시퀀스에서의 축삭돌기 추출 기법 (An Automated Technique for Detecting Axon Structure in Time-Lapse Neural Image Sequence)

  • 김낙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51-258
    • /
    • 2014
  • 신경계 영상 해석의 목적은 움직이는 미토콘드리아들을 추적하여 그 속도와 이동 방향 등을 추출하는 것인데, 미토콘드리아의 움직임은 축삭돌기 상에서만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축삭돌기 추출 작업은 일반적으로 수작업을 동반한 처리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자동화된 축삭돌기 추출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전체 비디오 프레임 영상에서 각 픽셀의 최대값을 취해 통합영상을 구한다. 통합 영상에서 축삭돌기는 능선 구조를 보이는데, 능선을 검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능선 강화 필터링과 피크 검출 과정을 적용하였다. 또한 검출된 능선점에서 나타난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대해 각 능선점 주위에서 신뢰도 함수를 사용한 필터링을 적용한다. 실제 영상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식은 높은 검출률과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Vipera lebetina turanica 사독이 인간 유방암 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nake Venom Toxin from Vipera lebetina turanica on Breast Cancer Cells)

  • 양가람;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27-38
    • /
    • 2009
  • 목적 : 이 연구는 Vipera lebetinat turanica의 사독약침액(蛇毒藥鍼液)(Snake venom toxin, SVT)이 인간 유방암 세포주인 MCF-7과 MDA-MB-231 세포에서 암세포성장의 억제 및 그 기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SVT를 처리한 후 MCF-7과 MDA-MB-231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CCK-8 assay를 시행하였고, apoptosis 평가에는 TUNEL assay를 시행하였다. 세포자멸사 관련 세포기전을 보기 위하여 세포내 활성산소량 및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전위 변화를 측정하였고,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인 Bax, Bcl-2 발현 변화 관찰에는 westem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MCF-7과 MDA-MB-231 세포에 SVT를 처리한 후, 유방암 세포의 성장, Apoptosis의 유발 및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CF-7 세포와 MDA-MB-231 세포에서 SVT를 처리한 후 유방암 세포 성장이 억제되었다. 2. TUNEL assay를 통한 세포자멸사 평가에서 SVT를 처리한 MCF-7세포와 MDA-MB-231 세포 모두 세포자멸사 활성세포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3. 세포자멸사 관련 세포기전연구에서 SVT를 처리한 MCF-7 세포와 MDA-MB-231 세포에서 세포내 활성산소의 유의한 증가와 미토콘드리아 세포막 전위의 유의한 변동이 관찰되었다. 4. SVT를 처리한 MCF-7세포와 MDA-MB-231세포는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 발현에서 Bax의 유의한 증가와 Bcl-2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SVT가 세포내 활성산소를 증가시킴으로써 미토콘드리아의 세포막전위에 변화를 일으켜 유방암 세포주인 MCF-7과 MDA-MB-231 세포에 세포자멸사를 유발하여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 PDF

물가자미 (Eopsetta grigorjewi)의 정자변태 및 정자 미세구조 (Spermiogenesis and Spermatozoal Ultrastructure of the Roundnose Flounder, Eopsetta grigorjewi (Teleostei: Pleuronectidae))

  • 안철민;이정식;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30-736
    • /
    • 1999
  • 물가자미의 정자변태과정과 정자의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자변태과정동안 염색질은 과립형태에서 구상으로 점차 응축하여 성숙 정자의 두부에서는 치밀하고 균질하게 된다. 물가자미 정자변태과정 동안 나타나는 특징은 세포질에서 골지체의 소실, 미세섬유의 출현, 미토콘드리아 수의 감소, 용해소체의 출현이다. 이 과정에서 미세섬유는 정자의 형태형성에 관여하며, 골지체의 소실과 미토콘드리아수의 감소는 용해소체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정자는 두부와 미부로 구성되며, 무첨체형이다. 두부 후방에서는 cytoplasmic collar가 관찰되었으며, cytoplasmic collar는 7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진다. 미부에서는 잘 발달된 axonemal lateral fin을 관찰할 수 있다. 미부 편모축사의 횡단면은 "9+2"의 미세소관 구조를 나타내며, 세포질내에 많은 수의 공포를 가진다.

  • PDF

형질전환 벼에서 Protoporphyrinogen Oxidase의 발현 위치가 제초제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xpression Site of Protoporphyrinogen Oxidase Influences on Herbicide Resistance in Transgenic Rice)

  • 정선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25-232
    • /
    • 2010
  • 과산화계 제초제 oxyfluorfen이 처리된 비형질전환 벼와 형질전환 벼에서 Protox 발현 위치가 제초제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Arabidopsis protoporphyrinogen oxidase(Protox; AP 계통)를 색소체에만 발현하는 형질전환 벼와 Myxococcus xanthus Protox 유전자를 색소체와 미토콘드리아에 모두 발현하는 형질전환 벼(TTS 계통)가 형질전환 시스템으로 사용되었다. Oxyfluorfen이 처리된 TTS4 계통은 AP 계통이나 비형질전환 벼에 비해 낮은 수준의 세포질 누출 및 malonyldialdehyde를 보여주었고, 높은 5-aminolevulinic acid 합성 능력을 유지하였다. Oxyfluorfen 작용 동안, TTS4 계통은 AP1 계통보다 높은 제초제 저항성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색소체만에서의 Arabidopsis Protox의 발현에 비해 색소체와 미토콘드리아에서의 M. xanthus Protox의 쌍발현이 광역학적인 protoporphyrin IX의 축적을 더 효율적으로 억제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 결과들은 미토콘드리아 내 Protox의 발현이 Protox 저해형 제초제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에 크게 기여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