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지형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36초

맞춤형 이상형 찾기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gram for Finding a Customized Ideal Partner)

  • 유우종;양인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700-1703
    • /
    • 2015
  • 개인의 선호도 및 취향에 부합하는 이성을 만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프로그램들과 어플, 그리고 인터넷 사이트가 등장하였으나 실효성이 부족하여 활용도가 낮은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이성을 찾고 흥미 있는 이벤트를 가미하여 회원의 관심을 유도하고,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체계적인 관리하는 맞춤형 이상형 찾기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누구나 회원가입이 가능하며 회원들 상호간의 정보교류를 위해 채팅과 쪽지보내기, 게시판 등의 기능을 구현했고, 원하는 이성을 찾을 수 있도록 검색조건을 세분화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현재 개발된 본 시스템을 좀 더 확장할 경우에는 미지의 많은 자료 중에서 본인이 제시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자료를 쉽고 빠르게 찾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설계단계부터 용도 변경의 유연성을 부여했다.

주가시계열에 대한 확률미분방정식(確率微分方程式)의 모수(母數) 추정(推定)과 자본시장의 운동법칙(運動法則)

  • 이일균
    • 재무관리연구
    • /
    • 제15권2호
    • /
    • pp.279-337
    • /
    • 1998
  • 이 논문에서는 주가가 확률과정, 즉 확률미분방정식에 의하여 생성되는가를 검정하고 주가의 운동법칙을 규명한다. 일별종합주가지수가 양수의 완전시계열상관을 갖고 있으며, 더욱이 3년 정도의 시차까지 의미있는 시계열상관을 갖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수익률과 가격변화의 시계열상관도 존재하고 시계열은 정상성(定常性)을 갖고 있다. 마팅게일에 의하여 주가가 생성되고있지 않음이 밝혀졌다. 한국증권거래소에서 계산하고 있는 일별 종합주가지수를 포함한 41개 산업별 지수를 사용하여 자본시장의 운동법칙을 규명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세개의 확률미분방정식을 검정하였다. 각 주가지수들이 온스타인 울렌벡 브라운 운동과정과 평균회귀과정을 따르지 않고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주가가 편류를 갖는 일반 기하 브라운 운동과정에 의하여 생성되고 있음이 검정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평균회귀과정에 의하여 주가가 생성되지 않는다는 발견은 의외라 할 수 있다. 주가가 온스타인 울렌벡 과정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은 주가가 제 1계 정상적 자기회귀과정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일별종합주가지수는 제 4계 자기회귀과정에 의하여 생성된다. 가격변화와 수익률의 생성함수는 제 4계 자기회귀과정이다. 종합주가지수의 제 1계 시계열상관계수는 1이다. 상당히 큰 시차를 갖을 때까지 시계열상관이 대략적으로 1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지수가 마팅게일을 따르고 있지 않다. 이 점은 가격변화와 수익률에 있어서도 유사하다. 가격변화, 수익률, 대수수익률의 제 1계 시계열상관이 0.1로 유의적이다. 따라서 수익도 마팅게일 과정을 따르고 있지 않다. 증권가격은 세 번에 걸쳐 구조의 번화가 발생하였다. 구조의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평균가격이 상승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장기적 기대가격이 미지일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는다. 단기적 기대 주가가 알려진 반면 장기적 기대 주가가 미지라면 평균회귀과정은 장기적 기대주가로 회귀하고 있는 과정이므로 장기기대 주가의 미지성이 평균회귀 과정의 기각을 유도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투자자들은 무위험자산과 위험을 동시에 고려하여 투자활동을 전개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선형의 효용함수를 갖는 위험중립적 태도의 투자자가 아니다. 위험기피형 효용함수 아래에서 투자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합리적 투자자들이라 할 수 있다. 뿐 만 아니라 자신의 평생에 걸친 소비를 소비가 이루어지는 각 기마다 가급적 일정하게 하는 소비행동을 목표로 삼고 소비와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음이 실증분석을 통하여 밝혀졌다. 투자자들은 무위험 자산과 위험성 자산을 동시에 고려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투자활동을 행동에 옮기고 있다.

  • PDF

범주형 자료에 대한 혼합모형 (A generalized linear model for vaccination data on chickenpox)

  • 최재성
    • 응용통계연구
    • /
    • 제10권2호
    • /
    • pp.325-338
    • /
    • 1997
  • 본 논문은 병후면역이 일생동안 지속되는 한 감염성 질병이 발생집단에서 질병발생 집단내 감염되지 않은 개체들에 대한 어떤 처치의 예방접종 효과, 즉 항체생성율이 비감염율 그리고 예방접종율과 같은 관련비율들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통계적 분석모형으로 연속적 종속모형을 제시하고, 모형내 미지모수들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

  • PDF

관절형 로보트에 있어서의 미지부하에 대한 링크의 균형화와 부하질량의 추정 (Link balancing and identification for an unknown payload in an articulated robot)

  • 임태균;조형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8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한국전력공사연수원, 서울; 21-22 Oct. 1988
    • /
    • pp.534-539
    • /
    • 1988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balance the links of an articulated robot for an unknown payload using an automatic balancing mechanism. The balancing masses are controlled to move in their appropriate locations so that the joint torques of the links are eliminated. After balancing the mass of the payload is obtained from the balancing conditions. Based upon a series of simulation studies some results are discussed.

  • PDF

지능형 이족보행 로봇을 위한 센서시스템

  • 김영식;최형식;김유신;이창만;황규득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22-2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개발된 이족보행 로봇의 자율 보행 및 지능화론 위하여 다양한 센서 시스템을 구성하여 이족보행 로봇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이족보행 로봇이 미지의 환경 내에서 지능적으로 원활한 자율 보행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센서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센서들은 물체의 거리 측정 및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해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를 적용하고, 대차물체의 탐색을 위해 비젼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또한 이족보행 로봇의 자세유지를 위한 자이로 센서와 보행시 로봇의 발바닥 착지 유무 및 바닥의 기울기 검출을 위한 압전 센서를 적용하였다.(중략)

  • PDF

동굴 문화재의 보전 관리 지침

  • 원종관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6년도 동굴의 개발 및 환경보전 세미나
    • /
    • pp.65-66
    • /
    • 1996
  • 동굴은 모두가 지구과학적인 면에서, 그리고 물리, 화학, 기상, 생물학적 인 면에서 그밖에도 고고학적인 측면에서도 현실적인 현지 학습장으로 등장하고 있다. 선사시대의 주거지였던 동굴, 변화가 적은 동굴 속의 기온, 그리고 진화가 느린 특수한 동굴 생물, 화학적인 용식과 물리적인 침식작용, 그밖에도 이들 작용에 의한 동굴미지형과 이들을 덮고 있는 지질구조 등 그 모든 것들이 우리들의 모든 학술 연구와 실험실습의 대상이 되고 있어, 그대로 현실과 진실을 관찰할 수 있는 현장이 바로 동굴인 것이다.(중략)

  • PDF

자율 학습에 의한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의 분리 (A Korean Language Stemmer based on Unsupervised Learning)

  • 차영태;조세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577-580
    • /
    • 2002
  • 자연어의 처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형태소 분석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사전을 갖춘 상태에서 가장 가능성 있는 후보를 선택하는 방식을 선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는 사전이 없는 미지의 언어를 분석하기는 불가능하다. 기지의 언어라도 지속적으로 어휘가 변하는 경우나 매우 특별한 분야의 경우에는 필요로 하는 사전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태그가 없는 단순 말뭉치만을 가지고 자율학습을 이용하여 한국어의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를 분리해내는 기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3차원 육방형 노심 해석을 위한 다항식전개법(PEN)

  • 조진영;김창효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61-66
    • /
    • 1995
  • 이 논문의 목적은 육방형 핵연료집합체로 구성된 3차원 노심을 해석하기 위한 다항식전개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차원 육방형 핵연료 집합체를 6개의 3차원 프리즘노드로 분할하였다. 그리고 각 꼭지점에서의 점중성자속, 프리즘 각면의 면중성자속과 노드평균중성자속을 미지변수로 하여 다항식전개법에 의해 프리즘노드내의 중성자속분포를 근사하였다. 각 중성자속간의 관계식으로서 프리즘노드내에서의 노달중성자평형식, 두 노드사이의 면에서의 중성자류 연속관계식, 각 꼭지점에서의 중성자누설평형식을 사용하였다. 다항식전개법은 해석함수 전개법에 비해 약 3배정도 빠르며 4군확산방정식에도 훌륭이 적용되었다. 그리고 VVBR-1000 3차원 벤치마크 문제에서 최대출력오차 2.6%, VVER-440 3차원 벤치마크 문제에서 12 평면과 24평면으로 나눈 경우 각각 최대출력오차 15%와 6.6%, SNR 3차원 문제에서 8 평면과 16 평면으로 나눈 경우 각각 최대오차 5.4%와 2,6%를 보였다.

  • PDF

Fuzzy LMI 기법을 이용한 천정형 크레인의 매개변수 추정 및 흔들림 억제 제어 (Parameter Estimation and Anti-Swing Control of Overhead Crane using Fuzzy LMI Method)

  • 홍진현;엄명환;김철중;좌동경;홍석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1914-1915
    • /
    • 2011
  • 본 논문은 천정형 크레인의 파라미터 추정과 Fuzzy LMI 제어기법을 이용한 흔들림 억제 제어를 제안한다. 실제 크레인을 제어함에 있어서 크레인의 동적모델링 이외에도 미지의 물리적 매개변수 값을 규정하는 것은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크레인의 물리적 매개변수를 최소자승추정 방법을 통해 추정하여 크레인 제어의 성능향상을 제공한다. 또한 Fuzzy LMI 제어기법을 적용하여 천정형 크레인의 이동 중 발생하는 흔들림을 제어한다.

  • PDF

하천 미지형 및 하상저질에 따른 갯버들과 달뿌리풀군락의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alix gracilistyla and Phragmites japonica Communities according to Micro-landforms and Substrates of the Stream Corridor)

  • 전승훈;현진이;최정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58-68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alix gracilistyla and Phragmites japonica communities known as obligatory riparian species according to physical factors such as micro-landforms, substrates, etc., at Soo-ip stream corridor. Firstly four vegetation types - Salix gracilistyla dominant type, Phragmites japonica dominant type, mixed type of two species, and mixed type of two species to other specie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UPGMA-Euclidean distance. Also these vegetation types showed many different distribution patterns in response to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view along the stream corridor and substrate composition. Salix gracilistyla was major component of dominant vegetation types developed at attack point of bending reach and on substrates composed of rock fragments, but contrastly Phragmites japonica was most important component of dominant vegetation types at point bar of bending reach and floodplain, and on substrates composed of soil materials. Secondly the species and environment biplot form CCA strongly supported the vegetation types divided by classification. Namely Salix gracilistyla was closely correlated with rock fragments and steep slope, which is resistant to physical action even though located near running water. But Phragmites japonica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soil particles sedimented at floodplain by divergent flow.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