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용가치추구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Effect of beauty lifestyle behaviors on the pursuit of beauty values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뷰티 라이프스타일 행동이 미용가치추구와 화장품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Cho, Mi-ae;Park, Che-Rin;Han, Chae-Jeo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1
    • /
    • pp.261-267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beauty lifestyle behaviors on the pursuit of beauty values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identify consumption market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beauty industry and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beauty industry.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in 328 students. The survey was perform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swered by the respondents themselves. The survey items were rated on a 5-point Likert scale and multiple choice question type was used.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using SPSS Statistics ver. 22.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beauty lifestyle behaviors on the pursuit of beauty values were found to be impacted on the sub-variables of beauty lifestyle behaviors including manicure, make-up, diet, body-shaping, and shopping behaviors (p<0.01). Second, the results of a difference in the pursuit of beauty values by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showed that purchase frequency of cosmetic products for buying cosmetic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the results of a difference in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by beauty lifestyle behavior, reasons for the purchase frequency of cosmetic products, cost of purchasing cosme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 Analysis of Customers' Value System Using APT Laddering Technique: Difference Comparison and Strategy Suggestion Among Hair Salon Types (APT 래더링 기법을 적용한 고객의 가치체계 분석: 헤어살롱 유형별 차이 비교 및 전략제시)

  • Miok, Seo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1 no.2
    • /
    • pp.21-36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s-end chain theory more concretely through the APT hard laddering technique. This is carrying out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users by hair salon type, and the items drawn from the qualitative laddering technique are applied. The technique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each attribute, consequences, and value item by analyzing each step's ques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airdresser's ability, acceptance of individual-customized opinions, and cheap price were the most mentioned items in the selection attributes. As for the consequences items, image transformation, neatness, novelty, and psychological stability were drawn in order. The items indicated as important among the value items were satisfaction, followed by happiness, confidence, beauty, and bond. Second, the remarkable selection attributes, irrelevant of hair salon type, was revealed as hairdresser's ability and the key values pursued when using a hair salon were drawn as satisfaction, confidence, and beauty. From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meeting the desire of consumers using hair salons can be linked with ultimately pursued values. It was also verified that partial differences were shown by hair salon type and this meant that consumers' desire and expected benefits were different by hair salon type. Although this study drew value perception through comparison with hair salon types based on the means-end chain theory,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attribute was hairdresser's ability and they select and use hair salons to gain satisfaction and confidence.

Esthetic & Rsychology of Cosmetics (에스테틱과 화장심리학)

  • 김봉인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22 no.1
    • /
    • pp.3-4
    • /
    • 1996
  • 오늘날 화장품 산업은 역동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화장품은 한 사회 구성원들의 다양한 욕구, 가치관 및 생할양식에 영향을 미치며 심지어는 국가의 정치적 기후나 경제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즉, 화장품 과학은 예방의학, 건강과학이라는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미적인 차원에서 새로운 상품개발이 진행되어갈 것이다. 지금 우리는 21세기를 향하여 1990년대의 중반기에 들어섰다. 80년대는 물질 문명의 중심으로 생활의 질의 풍요로움을 추구하였으나 90년대는 소비자 우선의 풍요로움을 향수하는 시대가 되었다. 또한 여성이 사회진출,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 고 학력화, 개인의 가치관 존중 및 많은 생활패턴의 변화가 마음의 풍요로움을 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물질적 의존도로 부터의 탈피가 크게 강조되고 있다. 이에 마음의 풍요로움을 창조하여 연출하는 화장품산업의 역할이 고기능성에 의한 부가가치를 높이고 마음의 풍요로움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어 가고 있다. 화장품을 여성들의 치장이라고 하는 주체적 행위에 도움을 주는 하드웨어라고 한다면 소비자의 마음은 소프트웨어로써 소비자 입장에서 만족할 수 있는 전략을 구사하는 아이디어가 있어야 하는데 그에 상응하는 대책으로 스킨케어를 들 수 있다. 스킨케어란 병든 피부를 제외한 여러 가지 유형의 피부를 화장품과 미용기기를 이용하여 그에 맞게 예방관리 하여 건강하고 아름답게 보호 유지하는 전문 분야이다. 즉, 스킨케어는 화장품 이용을 통하여 미래의 소비자들의 다양한 비용 욕구 및 소망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스킨케어는 화장품 뿐만 아니라 신체적 접촉을 통하여 안위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단순한 피부손질이라는 문제에 그치지 않고 접촉을 통해 마음과 신체의 균형을 꾀하는 생명현상의 심층과 연관되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스킨케어는 불어로 Soin Esthetique 라고 하는데 어원을 보면 손질, 처치, 보살핌 그리고 배려를 의미한다. 지금으로부터 200년전 독일의 미학자인 Baumgarten이 미는 인간에게 만족과 쾌감을 주는 대상이며 미는 보는 사람의 마음에 있다라는 감성의 미학에서 Esthetique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 다시 말하면 Soim Esthetique는 인간의 마음 만족과 쾌감을 주는 배려 있는 조치로써 여성이 화장을 함으로써 외모의 조화에서 마음과 신체의 균형을 꾀하는 생명현상의 심층과 연관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에스테틱과 화장의 심리는 매우 땔래야 땔 수 없는 불과분의 밀접한 관계라 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