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시적 시뮬레이션

Search Result 12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raffic Flow Analysis Using the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교통흐름분석)

  • 임예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08-113
    • /
    • 1999
  • 본 논문은 Zeigler가 제안한 이산 사건 시스템 형식론(DEVS :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을 기반으로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교통 흐름 분석에 대한 연구를 주목적으로 한다. 도로교통망 모델링 방법은 미시적(microscopic)방법과 거시적(macroscopic)방법으로 분류하는데, 미시적 모형은 개별차량의 행태를 바탕을 둔 모형으로 거시적 모형에 비해 설명력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 교통상황에서 관측하고 검증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뢰성 있는 미시적 교통류 모형의 설계를 위해 DEVS 형식론을 기반으로 개별 차량에 대한 차량 추종 및 차로 변경 모형을 모델링하고 이를 근거로 교통류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교통흐름 분석을 한다.

  • PDF

A Traffic Flow Micro-simulation System Using Cellular Automata (CA모형을 이용한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조중래;고승영;김진구;김채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3
    • /
    • pp.133-14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icro simulation model for large-scale network with driver's behavior model. This study is performed for uninterrupted flow road section. And this model is developed to simulate traffic flow of the real network with unique geometric structure. The vehicle transmission and drivers' behavior model based on the exiting Cellular Automata approach.

  • PDF

Macroscopic and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Using the Discrete Event system Formalism (이산 사건 형식론을 이용한 거시적 및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 이종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9.04a
    • /
    • pp.110-114
    • /
    • 1999
  • 본 연구는 Zeigler가 제안한 이산 사건 시스템 형식론(DEVS: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을 이용한 거시적 및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방법론의 개발을 주 목적으로 한다. 도로 교통망의 모델링 방법은 미시적(microscopic)방법과 거시적(macroscopic)방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모델링 방법들은 그 목적에 따라 각기 표현되어 제각기 사용되어 왔으나, 시스템 이론적으로 이들은 독립적 모델이 아니며 오히려 이들은 서로 동질적 추상화 관계에 있어서, 통합 모델링 환경의 구축시 미시적 모델들로부터 추상화에 의한 거시적 모델의 자동생성 등 설계상의 효율뿐 아니라 모델간의 일관성을 통한 모델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표현 방법(즉, 이산시간 형식론과 이산사건 형식론)간의 통합 표현을 기반으로 양자간의 추상화 관계를 도출하고, 이를 이용한 모델 추상화를 통해 거시적 및 미시적 교통류 시뮬레이션 방법론을 제안한다. 시스템 이론적 접근을 토대로 접근한 통합 교통류 시뮬레이션 환경은 미국 Berkeley 대학 교통 연구소에서 개발한 SHIFT 등과 같은 최첨단 교통류 시뮬레이션 도구에 비하여 SES/MB를 기반을 시스템 이론적이며 소프트웨어공학적인 접근을 통하여, 1) 기존 제어 방식의 검증 및 신뢰도 분석, 2) 각종 사건, 사고의 시간별 파급효과 분석, 3) 도로건설 계획안에 대한 타당성 검토, 4) 운전자 및 관리자를 위한 예측된 교통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Auto-calibration System for Micro-Simulation Model using Aggregated Data (Case Study of Urban Express) (집계자료를 이용한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형의 자동정산체계 개발 (도시고속도로사례))

  • Lee, Ho-Sang;Lee, Tae-Gyeong;Ma, Guk-Jun;Kim, Yeong-Chan;Won, Je-M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9 no.1
    • /
    • pp.113-123
    • /
    • 2011
  • The application of micro-simulation model has been extended farther with improvement of computer performance and development of complicated model. To make a micro-simulation model accurately replicate field traffic conditions, model calibration is very crucial. Studies on calibration of micro-simulation model have not been enough while lots of studies on calibration of macro-simulation model have been continued in our country. This paper presents an auto-calibration of parameter values in micro-simulation model(VISSIM) using genetic algorithm. RMSE(Root Mean Square Error) of collected volume on the urban expressway versus simulated volume is set as MOP(measure of performance) and objective function of optimization is set as to minimize the RMSE. Applying to urban expressway(Nae-bu circular) as a case study, it shows that RMSE of optimized parameter values decrease 60.4%($19.3{\longrightarrow}7.6$) compared to default parameter values and the proposed auto-calibration system is very effective.

Estimation of A Car-following Model for Microscopic Simulation Model Based on GM 5th Model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형을 위한 차량추종모형의 정립 (GM모형을 기반으로))

  • 이영인;최승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6
    • /
    • pp.47-61
    • /
    • 2000
  • 차량추종모형은 차선변경모형과 함께 미시적 시뮬레이션 모형의 핵심 모형으로서 정확한 차량추종모형의 적용은 시뮬레이션 모형 분석결과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친다. 기존의 차량추종모형은 대부분 가속상황과 감속상황에 동일한 모형을 적용하거나 자극부문과 민감도 부분은 거의 동일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가상자료를 토대로 모형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모형을 추정하기 위한 연구체계를 구성하고, 둘째, 이러한 연구체계를 이용하여 신호교차로 미시적 시뮬레이션에 직접 적용이 가능한 차량추종모형을 정립하는 데 있다. 본연구에서는 이를 위해서 신호교차로에서 미시적 실측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서 통계적 기법을 통해서 모형 추정에 적합한 자료를 구축하였다. 현장에서 실측된 이산적인 원시자료는 차량추종모형 추정에 직접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산적 원시자료를 모형추정에 적합한 자료로 구성하기 위하여 비선형 곡선적합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궤적함수를 구성하였고, 이를 통해서 모형추정에 필요한 선두차량과 후행차량의 현재시점과 반응시간 이후 시점에서의 위치, 순간 가속도와 순간속도 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추종상황을 가속상황, 감속상황, 출발상황, 그리고 정지상황으로 구분하여 차량추종모형을 구축하였다. 가속상황과 감속상황에 대해서는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추정하였으며, 출발상황과 정지상황에 대해서는 추정된 가/감속상황의 모형을 바탕으로 출발상황과 정지상황에서의 차량행태를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민감도와 자극부분을 새롭게 정의하여 각 상황별로 미시적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추정하였다. 이렇게 추정된 모형들 중에서 통계적 기법과 실측치와의 비교를 통해서 가장 적합한 모형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모형은 통계적 검정, 가상자료 그리고 실측치와의 비교를 통해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구축모형의 적용성은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f Microscopic Energy Simulation based on BIM - Illuminance & Energy Analysis of Illuminance Sensor Lighting (BIM 기반의 미시적 에너지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조도센서등의 조도 및 에너지 분석을 중심으로)

  • Baek, Ji-Wo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
    • /
    • pp.384-390
    • /
    • 2019
  • The importance of architecture design focused on eco-friendly and low energy continues to grow. In addition, the energy conservation design is required from a micro-perspective. Energy simulations based on BIM have attracted recent attention because of the high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the parameters concerned with microscopic energy are not included in BIM data.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of the sensor-light parameter using a simulation of illuminance sensor light. In this study, illuminance sensors were installed into the BIM data and the operating schedule data of sensor light were generated by an illuminance simulation. The schedule data was then inputted into the simulation application, and the reduction ratio of power consumption was verified by the simulation. According to research,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rmal load decreased by more than 20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sensor-light parameter into BIM data for microscopic energy conservation design. This study was not confined to checking whether sensor-light parameter is necessary or not, but to ascertaining the necessary of applying a microscopic factor to generate BIM data.

Impact Assessment of an Autonomous Demand Responsive Bus in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 영향 평가)

  • Sang ung Park;Joo young Ki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1 no.6
    • /
    • pp.70-86
    • /
    • 2022
  • An autonomous demand-responsive bus with mobility-on-demand service is an innovative transport compensating for the disadvantages of an autonomous bus and a demand-responsive bus with mobility-on-demand service. However,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quantitative impact assessment of the autonomous demand-responsive bus due to the technological complexity of the autonomous demand-responsive bus. This study simulates autonomous demand-responsive bus trips by reinforcement learning on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to quantify the impact of the autonomous demand-responsive bus. The Chungju campus of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s selected as a testbe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demand-responsive bus can reduce the wait time of passengers, average control delay, and increase the traffic speed compared to the results with fixed route bus servic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autonomous demand-responsive bus.

Multi-scale simulation of drying process for porous materials using molecular dynamics (part 2: material properties) (분자동역학을 이용한 다공성 물질 건조공정 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2부: 미시 물성))

  • Baik S.M.;Keum Y.T.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15 no.4
    • /
    • pp.162-167
    • /
    • 2005
  • As the properties of porous materials during the drying process relate to the atomistic defects of heterogeneous materials such as dislocation, grain, grain boundary, pore, etc., the knowledge of nano-scale analysis is needed in order to accurately analyze the drying process for porous materials. In this study, the atomic behavior of porous materials Is statically predicted by using the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and the nano-scale material properties are computed. The elastic modulus,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nd volumetric heat capacity numerically found from the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are compared with those of experiment and theory and proved the accu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