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숙아

검색결과 2,373건 처리시간 0.027초

미숙아, 후기 미숙아와 조기 만삭아의 모유수유 실태 및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비교 (Comparison of breast feeding practice rates and mothers' breast feeding empowerment in preterm, late preterm and early term infants)

  • 김태임;장군자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4호
    • /
    • pp.713-721
    • /
    • 2013
  • 모유는 아기에게 필요한 풍부한 영양분을 고루 갖춘 우수한 영양 공급원으로 특히 미숙아의 성장발달에 매우 중요하지만 미숙아의 모유수유 실천정도는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재태 연령을 기준으로 34주 미만 미숙아, 34주 0일에서 36주 6일의 후기 미숙아, 37주 0일에서 38주 6일의 조기 만삭아를 분만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실천율과 모유수유 임파워먼트를 비교 분석하기 위함이다. 병원 퇴원 당시 모유수유 실천율은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후기 미숙아와 34주 미만 미숙아의 모유수유 실천율은 조기 만삭아의 모유수유 실천율보다 낮았다. 또 모유수유 임파워먼트 총점에서도 34주 미만 미숙아 모와 후기 미숙아 모는 조기 만삭아 모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모유수유 실천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숙아 모를 대상으로 한 모유수유 증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이 때 모유수유 실천에 대한 자신감 부여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저농도 산소의 사용기간에 따른 미숙아 망막병증의 진행과 예후에 관한 연구 (The outcomes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in relation to duration of low dose oxygen therapy)

  • 이필상;최재원;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호
    • /
    • pp.50-55
    • /
    • 2009
  • 목 적 : 최근 신생아 집중치료의 발전으로 미숙아의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미숙아 망막병증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재태 연령 및 출생체중과 미숙한 망막이 중요한 위험인자이지만, 이 외에 무호흡, 패혈증, 인공호흡기의 사용, 장기간의 산소사용 역시 유의한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만성 폐질환 환아에서 nasal cannula를 통한 저농도 산소($FiO_2$ 25% 미만)의 사용 기간이 미숙아 망막병증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미숙아 망막병증의 예방 및 진행의 완화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1년 2월 1일부터 2006년 1월 31일까지 본원 출생아중 재태 연령 37주 미만이면서 출생체중 1,750 g 미만의 생존한 미숙아들로, 안저 검사를 받고 최소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73명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기초로 후향적 분석을 통해 미숙아 망막병증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위험인자들을 검토하고, 저농도 산소의 사용 기간이 미숙아 망막병증의 발생과 임상경과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만성 폐질환은 생후 28일 혹은 재태주령 36주가 되는 시점에 산소 의존도가 있었던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 미숙아 망막병증의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짧은 재태연령과 적은 출생체중이었고, 기타 무호흡, 표면활성제의 사용, 인공호흡기,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뇌실내 출혈 등의 순으로 상대적 위험도가 높았다. 저농도 산소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미숙아 망막병증의 발생률은 높아지고, 미숙아 망막병증의 발병 시기는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아들에서 일단 미숙아 망막병증이 발병한 후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정도의 심각한 미숙아 망막병증으로 진행하는 기간 간격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만성 폐질환 환아군에서 산소를 투여하고 있는 기간 중보다는 산소를 중단한 이후에 미숙아 망막병증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심각한 미숙아 망막병증의 발병 및 급속한 진행을 예방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저농도 산소라도 사용기간을 줄이고, 산소 사용 중단 이후에는 좀 더 적극적인 추적 안저 검사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호흡곤란증 미숙아에 있어 기관지 흡인술전의 흉곽진동법이 산소화와 기관지 분비물의 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est Vibration Prior to Endotracheal Suctioning on Oxygenation and the Amount of Lung Secretions in Premature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Ahn, Young Mee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91-601
    • /
    • 1998
  • 미숙아에 있어 주로 표면활성제의 부족으로 인한 호흡곤란증은 미숙아 사망의 주원인이 된다. 호흡곤란증의 치료목적은 적절한 환기를 통해 체내 산소화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미숙아에게 필수적인 간호중재인 기관지 흡인술은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흉곽진동법과 같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미숙아를 대상으로 하는 흉곽진동법은 그 중재의 안전성이나 효과에 대한 과학적 검증 없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호흡곤란증 미숙아에 있어 기관지 흡인술 이전에 행하여지는 흉곽진동법이 산소화와 기관지 분비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명의 호흡곤란증 미숙아를 대상으로 대상자내 반복실험연구가 설계되었다. 독립변수는 기관지흡인술이전에 흉곽진동이고 종속 변수는 산소 포화도, 심박동수, 그리고 기관지 분비물의 양이었다. 각 대상자는 무작위 순서에 따라 한번은 흉곽진동없이 흡인을, 나머지 한번은 흉곽진동과 흡인의 두 가지 형태의 흡인을 경험 하였다. 연구 결과, 기관지 흡인술이전에 흉곽진동을 실시하든, 안하든 산소포화도와 심박동수의 변화양상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융곽진동법을 실시한 경우가 실시안한 경우에 비해 더 많은 양의 기관지 분비물을 흡인하였다. 이는 기관지 흡인술 이전에 실시하는 흉곽진동법이 미숙아의 체내에 부가적 산소소모를 초래하지 않는 반면, 기도로부터 더 많은 분비물을 흡인하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PDF

미숙아의 초기 영양섭취 및 성장상태에 관한 연구 (Nutritional and Growth Status of Premature Infants During Neonatal Period)

  • 최봉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2호
    • /
    • pp.124-134
    • /
    • 1990
  • 본 연구는 미숙아들의 영양공급 및 성장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출생시 체중이 2500g이하이며 在胎期間이 37주 미만인 신생아중 20일이상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그들의 역학적 조사, 영양 섭취량과 공급 방식, 체위의 변화, 혈액학적 검사등을 비교 분석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생체중별 在胎期間과 apgar score를 보면 1499g이하 미숙아군은 31주, 4/7(1min/5min)이며 1500~1999g, 2000~2500g 미숙아군은 각각 33주, 8/9(1min/5min)이었다. 2) 미숙아들의 체중별 1일 kg당 열량과 수분 섭취량을 평균적으로 보면 1499g 이하 미숙아군은 102.0Kcal, 150.2ml이며 1500~1999g 미숙아군은 119.3Kcal, 136.4ml이며 2000~2500g 미숙아군은 101.7Kcal, 141.5ml이었다. 3) 1999g이하 미숙아군의 영양 공급 빈도 중 dextrose와 dextrose/hyperal 공급시일 즉 관주입법으로 공급한 시일을 평균적으로 보면 1499g이하 미숙아군은 7.7일이여 1500~1999g 미숙아군은 3.8일이었다. dextrose/formula와 dextrose/hyperal/formula공급시일은 1499g이하 미숙아군은 평균 14.2일, 1500~1999g 미숙아군은 10.9일이었다. 4) 미숙아들의 초기 체중 감소율을 보면 1499g이하 미숙아군은 5.4%, 1500~1999g 미숙아군은 6.4%, 2000~2500g 미숙아군은 11.4%로 출생체중이 높은 미숙아군의 감소율이 높게 나타났다. 5) 혈액학적 검사시 1499g 이하 미숙아군의 10일째 Hb은 12.1g/dl, Hct은 36.7%, MCHC는 33.2%이며 1500~1999g 미숙아군의 수치는 15.4g/dl, 46.7%, 33.8%이며 2000~2500g 미숙아군은 14.3g/dl, 42.5%, 351.1%로 조사기간중 20일째까지 Hb과 Hct수치는 점차 감소하였다. 6) Amino acid 투여의 영향을 보면 amino acid투여군의 초기 체중 감소율이 9.0%로 amino acid투여 안한군(9.4%)보다 단백질과 열량을 적게 섭취하였음에도 초기 체중 감소율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 PDF

미숙아의 퇴원교육방법 개선을 통한 재원일수 단축 및 보호자의 양육자신감 향상 (Shortening length of hospital stay and elevating parental confidence in infant care by prematurity discharge training method improvement)

  • 조미라;김진화;박경주;이혜심;장세희;조희정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7-123
    • /
    • 2008
  • 문제: 장기 입원 치료를 받은 미숙아의 퇴원교육을 퇴원당일 짧은 시간에 시행함으로써 간호사는 제한된 인력으로 교육시간을 길게 할애하지 못하고, 표준화된 지침의 부재로 인해 퇴원교육을 누락하는 경우가 있으며 보호자는 교육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시간이 부족하여 퇴원에 대한 필요 이상의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목적: 미숙아에 대한 퇴원교육을 표준화된 지침에 따라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개선함으로써 불필요한 퇴원지연을 예방하여 재원일수 단축시키고 보호자의 양육 자신감을 향상시킨다. 의료기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학병원의 신생아실 질 향상 활동: 미숙아의 퇴원을 지연시키는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된 미숙아 퇴원교육 방법을 적용한 후 미숙아 재원일수와 보호자의 양육자신감을 측정하였다. 개선효과: 개선 활동 후 미숙아의 재원일수가 11.33일에서 8.28일로 3.05일 단축되었고 보호자 양육자신감 점수는 68점에서 76.25점으로 8.25점 향상되었다. 교훈: 퇴원을 앞둔 미숙아들이 좀 더 개방적으로 가족과 함께 지내면서 퇴원준비를 할 수 있는 여건과 미숙아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보호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인터넷강좌나 공개 강좌 등이 필요하다. 보호자들의 양육 자신감 향상과 정보교환을 위해 자조조직을 활성화하고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간호사의 인원 충원이 필요하다.

  • PDF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정도와 영향요인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arly Childhood of Premature Children)

  • 임은희;주현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37-45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와 정상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고,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유아기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 방법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인터넷 카페에서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부모 80명과 정상아 부모 83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TNO-AZL에서 개발한 TAPQOL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삶의 질 점수는 100점 만점에 80.6점(${\pm}9.9$)이었으며, 정상아로 태어난 유아의 삶의 질 점수는 85.0점(${\pm}8.3$)으로, 미숙아 집단이 정상아 집단에 비해 삶의 질 점수가 4.4점(${\pm}1.4$) 낮았다. 미숙아 집단이 정상아 집단에 비해 삶의 질 점수가 낮은 영역으로는 운동기능, 불안, 긍정적 기분, 활기참 및 의사소통 등이었다. 두 집단간 삶의 질 점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운동기능과 의사소통이었다.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신생아실 입원기간(7일 이상)'과 '출생체중(1,000 g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수의 설명력은 17%였다. 즉, 신생아실 입원기간이 7일 미만이고, 출생 시 체중이 1,000 g 이상인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가 높았다. 결론 미숙아로 태어난 아동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이들의 출생 시 체중 및 신생아실 입원기간 등이 영향을 미치므로 미숙아 추후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출생체중, 재태기간 및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기간 등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미숙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특성과 산후우울과의 관련성 (Relations of Postpartum Depression with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eterm Infants and Mothers)

  • 방경숙;강현주;권미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1-10
    • /
    • 2015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의 퇴원 시점에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정도를 확인하고 미숙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특성과 산후우울과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 방법과 의무기록 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2개 대학병원과 시립병원, 강릉시 1개 종합병원에서 미숙아로 출생하여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중에서 퇴원이 예정된 환아와 그 어머니 80명이다. 결과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점수의 평균은 $9.75{\pm}5.06$점이었고 산후 우울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12점 이상군은 전체의 30.0%였다. 산후우울과 관련된 변수는 어머니의 교육 수준(F =3.493, p =.035)과 가정 내 월 소득(F=5.828, p =.004), 다태아 여부(t=2.141, p =.037), 융모양막염(t=2.349, p =.021), 양수과소증(t=-2.226, p =.029), 기관지폐이형성증(t=2.085, p =.040), 배기질출혈(t=2.259, p =.027) 여부, 개정판 NBRS 점수(t=-2.772, p =.007)였다. 그리고 산후우울과 미숙아의 입원 시 주요 건강문제의 개수의 합(r=.252, p =.024)과 개정판 NBRS 점수(r=.316, p =.004)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미숙아 어머니들의 산후우울의 위험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며 미숙아의 객관적 건강 상태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수준 등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여 미숙아 어머니의 산후우울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미숙아 합병증 발생과 혈중 활성 산화물 농도와의 관계 (Correlation of serum total hydroperoxide levels and diseases of prematurity)

  • 김신혜;허혜영;이규형;문자영;채규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8호
    • /
    • pp.746-752
    • /
    • 2007
  • 목 적 : 미숙아에서 발생하는 뇌실주변부 백질연화증, 뇌실내 출혈, 기관지폐 이형성증, 미숙아 망막증, 괴사성 장염 등의 합병증이 활성 산소에 의한 세포 및 조직 손상과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들이 있어 왔다. 이에 저자들은, 활성 산소와 세포 내 분자들이 반응할 때 생성되는 활성 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미숙아와 정상 만삭아의 혈중 활성 산화물의 농도를 비교하고, 활성 산화물의 농도와 미숙아 합병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5년 7월부터 2006년 4월 사이에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36주 이하의 미숙아 39명과 37주 이상의 정상 만삭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 만삭아군에서 출생일 혈청 total hydroperoxide(TH) 농도를 측정하였고, 미숙아군에서는 출생일과 생후 7일 째 혈청 TH 농도를 측정하였다. 만삭아군과 미숙아군의 출생일 혈청 TH 농도를 비교하였고, 미숙아군의 분만력 상의 특징, 혈액검사 소견, 뇌 초음파 및 뇌 자기 공명영상 소견, 임상경과 및 예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미숙아 합병증이 발생한 군과 합병증이 없었던 군으로 나누어 출생일과 생후 7일째 혈청 TH 농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미숙아군과 만삭아군의 출생일 TH 농도를 비교한 결과, 미숙아군은 평균 $186{\pm}42U.carr/L$, 만삭아군은 $157{\pm}36U.carr/L$로 미숙아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미숙아군에서, 합병증이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대조군의 출생일과 생후 7일 혈청 TH 농도를 비교한 결과, 출생일에는 합병증군 $211{\pm}37U.carr/L$, 비합병증군 $168{\pm}36U.carr/L$로 합병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생후 7일에는 합병증군 $205{\pm}64U.carr/L$, 비합병증군 $188{\pm}32U.carr/L$로 합병증군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군과 정상 만삭아군의 출생일 혈청 TH 농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합병증 발생의 위험 인자인 재태주령, 5분 Apgar 점수, 동맥혈 가스검사의 pH, 출생일 TH 농도를 분석한 결과, 재태주령(Odds ratio 0.586, 95% CI 0.370-0.927, P=0.022)과 TH 농도 (Odds ratio 1.046, 95% CI 1.010-1.085, P=0.013)가 독립적으로 합병증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였다. 결 론 : 합병증이 발생한 미숙아는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나 만삭아에 비해 출생일 혈청 TH의 농도가 높으며, 미숙아의 출생일 혈청 TH 농도는 미숙아 합병증 발생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다.

Effect of Neonatal Developmental Intervention Program (NDT) on Motor Development and Growth in Premature Infants

  • Park, Geun-Hwa;Choi, Sang-Youn;Kim, Sung-Mi;Kim, Mi-Ae;Lee, Eun-Ju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207-216
    • /
    • 201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에게 조기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할 때 운동 발달과 성장에 미치는 효과와 발달 평가 도구(NBAS, HNNE)의 유용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부산성모병원에서 태어난 42명의 미숙아와 부산성모병원과 좋은문화병원에서 태어난 20명의 만삭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기 중재 프로그램과 발달 평가는 신생아 중환자실 물리치료사에 의해 시행되었다. 자료는 전향적으로 수집되었다. 결과: 재태주령 34주 미만의 미숙아 중재 그룹에서 인공호흡기와 폐표면활성제 사용, 심한 기관지 폐 이형성증, 뇌실 내 출혈, 수술을 시행한 동맥관 개존증이 재태주령 34주 이상 37주 미만 미숙아 중재 그룹보다 많았다. 미숙아 중재 그룹은 1번째, 2번째, 3번째 평가에서 NBAS와 HNNE 평균 점수의 향상을 보였다 (P=0.000). 미숙아 중재 그룹은 재태주령 40주 평가에서 만삭아 대조 그룹에 비해 더 높은 NBAS와 HNNE 평균 점수를 보였다(P=0.000). 재태주령 34주 이상 37주 미만 미숙아 중재 그룹은 1번째와 3번째 평가 사이에 체중과 두위의 더 많은 성장을 보였다(P<0.05). 미숙아 중재 그룹은 중재와 평가 중 무호흡, 서맥, 후기 패혈증이 없었다. 결론: 조기 중재 프로그램은 미숙아의 운동 발달과 성장에 양호한 영향을 미쳤다. 발달 평가 도구(NBAS, HNNE)는 미숙아의 운동 발달을 평가하는 안전하고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미숙아 부모를 위한 교육 관련 국내 연구논문의 통합적 고찰 (Integrative Review on Caring Education Papers for Parents with a Premature Infant)

  • 임미해;오진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20-129
    • /
    • 2013
  • 목적 지속적인 의료기술의 발달로 미숙아의 치료, 양육 방법이 변화되어지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교육매체 역시 다양화 되어지는 시점에서 미숙아 부모를 위한 미숙아 돌봄 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논문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그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각각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향후 교육방법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는 Whittemore와 Knafle (2005)이 제시한 통합적 고찰(integrative review) 방법으로 연구목적규정, 문헌검색, 데이터평가, 데이터 분석의 과정에 따라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논의하여 그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엄격한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적용하여 4개의 국내 논문데이터베이스에서 1990년부터 2012년 10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 중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는 16편으로 확정하였다. 결과 통합적 고찰결과 미숙아 부모를 위한 미숙아 돌봄 교육의 구성요소로는 '교육자로서의 간호사와 학습자로서의 부모', '교육 내용과 교육 효과', 그리고 교육 매체, 시기, 장소를 포함한 '교육 환경'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미숙아 돌봄 교육을 위하여 부모와 가족교육을 전담하는 간호사 역할의 인정과 기관과 정부의 지속적인 관리와 지원과 함께 다학제적인 접근으로 각 양육자에 따른 맞춤형 교육이 되어야할 것이다. 향후 미숙아 돌봄 교육에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교육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와 효율적인 교육매체의 개발과 효과적인 교육환경에서 미숙아 돌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