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소

검색결과 2,734건 처리시간 0.034초

점탄성 유체내에서 낙하하는 원통형 미소체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Hydrodynamic Behavior of a Slender Cylinder Falling in a Viscoelastic Fluid)

  • 주용기
    • 유변학
    • /
    • 제4권1호
    • /
    • pp.25-34
    • /
    • 1992
  • 저속으로 낙하하는 원통형 미소체의 유체역학적 거동에 대하여 점탄성 유체의 비 뉴우튼 성질의 영향에 관해서 연구가 수행되었다. 원통형 미소체의 직경 및 직경에 대한 길 이의 비 (Aspect Ratio)의 영향에 관해서도 또한 고찰하였으며 본 실험에서는 뉴우튼 유체 로서 99.5%의 글리세린용액과 점탄성 유체로서 1,000 wppm 의 polyacyla-mide(Separan AP-273) 수용액이 각각 사용되었다. 낙하하는 미소체의 Aspect Ratio가 증가할수록 무차원 최종속도는 뉴우튼 유체내에서 보다 점탄성 유체내에서 그증가속도가 더욱 커짐을 보였다. 뉴우튼 유체 내에서 낙하하는 원통형 미소체의 마찰저항 계수는 실험데이타로부터 계산된 값과 이론치가 비교적 잘일치하나 점탄성 유체에 관한 마찰저항 계수는 본 실험의 결과치와 무한히 긴 원통형 미소체에 대한 기존연구의 이론값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수 있었 다, 이는 점탄성 유체내에서 수직으로 낙하하는 원통형 미소체의 저항계수가 k(즉 용기의 직경에 대한 미소체 직경의 비), power-law index 레이놀즈수 뿐아니라 aspect ratio를 포함 하는 새로운 관계식이 도출되어야 함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 PDF

미소구조에서의 탄소성모델 (Elasto-Plasticity of Granular Micro-Structures)

  • 박재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통권70호
    • /
    • pp.453-458
    • /
    • 2005
  • 본 논문은 연속체역학에서의 탄소성모델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미소구조모델에 관해서 연구하였다. 물체를 일정크기를 지닌 입자와 그 입자들을 연결하는 선형 스프링으로 모델링한 Doublet Mechanics를 기본이론으로 하여 이를 소성 영역으로 확장하였다. 그 결과로 가장 단순한 가정을 하였을 경우 미소모델과 연속체모델이 정확히 일대일 대응을 하는 것을 보였다. 2차원 평면응력문제에 대한 예제를 통해 미소변형률과 미소응력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로 거동에 대해 분석하여 이 모델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피로 미소크랙의 정류현상과 허용결함 크기와의 관계 (Fatigue Short Cracks-Critical Aspect of Non-Propagation and Tolerant Microflaw)

  • 김민건
    • 산업기술연구
    • /
    • 제8권
    • /
    • pp.39-46
    • /
    • 1988
  • 탄소강 평활재 및 미소결함재를 사용하여, 미소 정류크랙의 크랙 개폐구거동의 상세한 관찰과 초기결함을 상정한 미소 원공과의 상호 한계크기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평활재의 정규크랙은, 피로과정중에 압축잔류응역이 크랙선단의 개구를 억제하는 것에 의하여 정류하게 되고, 그 크기는 평활재의 피로한도를 저하시키지 않은 미소 원공의 한계크기와 거의 일치하여, 두 경우가 역학적으로 거의 등가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의학과 생물공학에서의 미소기계기술의 현황

  • 이상훈
    • 전기의세계
    • /
    • 제42권10호
    • /
    • pp.4-9
    • /
    • 1993
  • 생체공학이나 의학에서 사용되거나 연구되고 있는 미소기계의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외에도 체내에 주입된 미소기계의 위치를 고속 DSE(Digital Subtraction Echocardiograpy)를 사용하여 찾는 연구나,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내시경용 Cather-Tip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미소기계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를 많이 가지고 있고, 지금의 기술로는 요원한 듯이 보인다. 그러나 인간의 생명에 대한 애착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일단 미소기계와 의학이 어느정도의 접목 가능성만 확인되면 기술발전의 정도가 급속하게 빨라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그 발전의 정도에 따라 의학의 혁명을 가져올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필자도 이런 날이 하루속히와서 인류가 병으로 부터 좀더 자유로워지기를 기원한다.

  • PDF

자가 미소 훈련을 위한 자동 미소 분석 시스템 (An Automatic Smile Analysis System for Smile Self-training)

  • 송원창;강선경;정성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373-138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스스로 미소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미소를 분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입력 영상으로부터 AdaBoost 알고리즘을 통해 얼굴 영역을 검출한 다음, ASM(active shape model)을 이용하여 생성된 얼굴 형태 모델을 이용하여 얼굴의 특징을 찾는다. 얼굴 특징을 찾은 다음에는 미소 분석에 필요한 입술 라인과 개별 치아 영역을 추출한다. 미소의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입술 라인과 치아와의 관계 판별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치아 영상에 대해 2차 미분을 실행한 후, 세로축과 가로축에 히스토그램 프로젝션 방법을 이용하여 개별적인 치아 영역을 찾는다. 입술 라인과 개별 치아 영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미소 정도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기존에 치과 병원에서 이루어진 미소 훈련을 위한 미소 평가 결과와 8.6% 이하의 오차를 보였으며 사용자가 혼자서도 미소를 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기변형률에 의한 미소바늘의 피부조직 관통력 감소 (Prestrain-induced Reduction in Skin Tissue Puncture Force of Microneedle)

  • 김종훈;박성민;남경목;윤상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0권10호
    • /
    • pp.851-856
    • /
    • 2016
  • 최근 미세가공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생체분해성 소재 기반의 미소바늘 혹은 미소바늘 주사기에 대한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체분해성 소재는 기계적 강도가 낮아 생체분해성 소재 기반의 미소바늘은 피부조직 관통 시 구부려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체적합성 소재를 새로이 합성하는 대신에 미소바늘 삽입 전 피부조직에 1축 혹은 등2축 초기변형률을 가해 미소바늘의 피부조직 관통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실험에서는 1축 혹은 등 2축 초기변형률을 가해 준 돼지 피부조직에 미소바늘을 삽입시키면서 힘-시간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초기변형률에 의한 미소바늘의 관통력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소바늘의 피부조직 관통력은 피부조직에 초기변형률을 가해주는 방법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장-압축상태의 철근콘크리트 면 부재를 위한 미소면 모델 (Microplane Model for RC Planar Members in Tension-Compression)

  • 박홍근;김학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379-388
    • /
    • 2001
  • 콘크리트를 위한 기존의 미소면 모델은 2차원 부재에 대한 해석에서도 3차원의 구형 미소면을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인장-압축 상태의 철근콘크리트의 인장균열 후 거동을 정확히 나타낼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모델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면 부재의 해석에 적합한 새로운 미소면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미소면 모델은 기존의 구형 미소면 대신에 원판형 미소면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 모델은 보다 적은 수의 미소면과 2차원의 응력을 사용하므로 수치계산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이 모델에서는 인장-압축상태의 철근콘크리트의 압축거동을 나타낼 수 있도록 변형률한계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이 미소면 모델은 유한요소해석에 적용되었으며, 기존의 실험과의 비교를 통하여 이 모델의 유효성이 검증되었다.

탄소섬유/에폭시의 반구형 미소접합 시험편에 대한 계면강도 평가 (Interfacial shear strength test by a hemi-spherical microbond specimen of carbon fiber and epoxy resin)

  • 박주언;구자국;강수근;최낙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15-21
    • /
    • 2008
  • 단일 탄소섬유에 부착된 반구형 미소본드 시험편을 제사하여 에폭시수지와 난소섬유사이의 계면전단강도를 평가하였다. 반구형 미소시험편의 경우, 드랍레트 미소접합시험편 및 역반구형 미소접합시험편과 비교하여 계면강도측정값들이 높은 회귀계수 및 삭은 편차를 보여주었다. 이는반구형 시험편의 메니스커스 부분이 다른 미소시험편보다 작으며 핀홀 부하장치의 선단과 접촉하고 있는 수지부분에서 응력집중이 감소했기 때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들 시험에 대한 유한요소해석결과, 반구형시험편에서는 수지/섬유의 계면부를 따라 전단응력분포가 응력모드의 전환이 없이 안정하였다. 또한 이들 계면강도 측정데이터는 미소 바이스의 선단과 핀홀 판의 선단과 같은 부하장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졌음을 알았다.

수평공진형 다결정실리콘 미소액추에이터의 설계, 제작 및 시험 (Design, Microfabricaiton and Testing of Laterally-Resonating Polysilicon Microactuators)

  • 조영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0권5호
    • /
    • pp.1363-1371
    • /
    • 1996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fabrication, and testing of polysilicon electrostatic microactuators that resonat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ilicon susbstrates. A set of six different designs has been developed using a theoretical model and design formulae developed for the mocroactuators. Microactuator prototypes are fabricated from a 2.1 $\mu{m}$-thick LPCVD polysilicon film, using a 4-mask surface-micromachining process. The prototypes are tested under a d.c. bias voltage of 45V with an a.c. drive voltage amplitude of 20 v.Measured resorant frequencies are in the ranges of 40-60 kHz, showing a good agreement to their theoretical estimates within error bounds of .$\pm$.5%. Important issues inthe design and microfabrication of the microactuators are discussed, together with potential applicaitons of the key technology involved.

플라스틱 미소유체요소 내부유동의 PIV 측정 (PIV measurements of a microfluidic elements fabricated in a plastic chip)

  • 이인원;최제호;이인섭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400-404
    • /
    • 2001
  • A micro-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measurement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flow fields in such microfluidic devices as microchannels and micronozzle. The present study employs a state-of-art micro-PIV system which consists of epi-fluorescence microscope, 620nm diameter fluorescent seed particles and an 8-bit megapixel CCD camera. Velocity vector fields with a resolution of $6.7\times6.7{\mu}m$ has been obtained, and the attention has been paid on the effect of varying measurement conditions of particle diameter and particle concentration on the resulting PIV results. In this study, the microfluidic elements were fabricated on plastic chips by means of MEMS processes and a subsequent molding process. Flow fields in a variety of microchannels as well as micronozzle have been investig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