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세 캡슐화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7초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양파유 미세캡슐화 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Onion Oil Microencapsul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홍은미;유문균;노봉수;장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37-443
    • /
    • 2002
  • 생체내에서 각종 생리활성이 있는 양파유의 기능성 및 저장성 향상을 위하여 agar와 gelatin이 혼합되어 있는 물질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양파유(중심물질)를 미세하게 캡슐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먼저 양파유 미세캡슐화 수율을 예민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ethyl acetate 추출 및 gas chromatography 기술을 사용하여 확립하였다. 확립된 미세캡슐화 수율 측정법을 사용하여 양파유 미세캡슐화를 위한 제반 공정조건들, 즉 [중심물질, Cm] : [피복물질, Wm]의 비율($X_1$), 분산액의 온도($X_2,\;^{\circ}C$), 분산액내의 detergent 농도($X_3$, %(w/v)), 유화체의 농도($X_4$, %(w/w)) 등의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공정 최적화를 위해서는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이용하였다. RSREG 처리 결과, 4가지 독립변수가 각각 변화함에 따른 미세캡슐화 수율(Y, %)에 대한 회귀식은 $Y=97.028571-0.775000(X_1)-0.746726(X_1){\cdot}(X_1)-1.100000(X_3){\cdot}(X_2)$으로 표현되었으며, 반응표면분석 결과 양파유 미세캡슐화를 위한 최적화 조건으로서 [중심물질, Cm] : [피복물질, Wm]의 비율은 4.5 : 5.5(w/w), 분산액의 온도는 $17.1^{\circ}C$, 분산액내 detergent농도는 0.037%(w/w), 유화제(sorbitan monolaurate, HLB 16.7)의 농도는 0.42%(w/w)인 것으로 판명되었으며(미세캡슐화 수율의 최대 예측값은 95.7%), 이상의 최적조건하에서 양파유 미세캡슐화를 실제 수행한 결과 96.2%의 미세캡슐화수율 실측값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RSM에 의하여 결정된 미세캡슐화 최적 조건은 ${\pm}5%$ 오차범위내에서의 높은 신뢰성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실제 미세캡슐화 공정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민화 젤라틴 - 후코이단 미세캡슐의 제조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minated Gelatin-Fucoidan Microparticles)

  • 고정아;오윤성;박현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1-195
    • /
    • 2012
  • 아민화 젤라틴 미세캡슐은 젤라틴의 양이온인 amino 그룹과 후코이단의 음이온인 sulfate 그룹과의 이온결합으로 제조되었다. 후코이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미세캡슐의 유리아미노 그룹의 함량은 감소했으며, 또한 미세캡슐로부터의 방출 속도 역시 후코이단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했고 pH 1.2인 인공위액에서의 방출 속도가 pH 7.4인 PBS 에서보다 더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민화 젤라틴 미세캡슐은 일반 젤라틴 미세캡슐보다 유리 아미노 그룹의 함량이 높아 음전하를 띄고 있는 위점막에 점착력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민화 젤라틴 미세캡슐을 제조하고 점착력을 살펴본 것으로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amoxicillin을 캡슐화한 아민화 젤라틴 미세캡슐의 헬리코박터 저해능력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산화안정성이 높은 어유 캡슐 제품 개발

  • 어명희;강현주;김옥선;주동식;조순영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769-772
    • /
    • 2000
  • 강원도 동해안에서 다량 어획되어 가공되는 오징어 및 명태 내장으로부터 추출되는 내장유 용도 확대 및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미세 캡슐화를 제조를 위한 조건을 시험하였다. 미세 캡슐 소재로 wall material은 gum arabic과 유화제로 gelatin이 적절하고, gum arabic과 gelatin을 소재로하여 배합비를 달리하였을 때, 전체적인 경향을 유화제가 wall material 보다 많은 것이 양호한 미세 캡슐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소재로 제조된 미세 캡슐의 캡슐화율은 25-45.5% 정도의 범위로 전체적으로 미세캡슐화율은 낮았다. 향후 CMC, maltodextrin 그리고 키토산 등을 소재로 미세 캡슐화 조건을 좀 더 검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beta}-Galactosidase$와 isoflavone의 미세캡슐화와 in vitro에서의 비배당화에 관한 연구)

  • 김남철;전병주;곽해수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제35차 춘계 학술 발표대회
    • /
    • pp.322-325
    • /
    • 2005
  • 본 연구는 ${\beta}-galactosidase$에 의한 isoflavone 배당체의 비배당화 연구를 실용화하기 위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관능적 요소와 화학적 반응을 제어하기 위하여 두 물질을 미세캡슐화 하고 그것의 in vitro 안정성을 연구하여 기능성식품개발에 응용토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실험 결과, 미세캡슐화 수율이 매우 높았으며, 인공위액 상태에서의 안정성은 높은 반면에, 인공 소장액 상태에서의 안정성이 매우 낮았다. 또한 인공소장액에서 유리된 ${\beta}-galactosidase$에 의한 유리 isoflavone의 비배당화율이 약 75% 정도로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판단해 볼 때, isoflavone과 ${\beta}-galactosidase$의 미세캡슐화를 통한 소화기 내에서의 비배당화와 흡수율을 극대화하는데 매우 긍정적인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아로니아 추출물의 미세캡슐 제조 및 설기떡의 안토시아닌 안정성 연구 (Microencapsulation of aronia extract and stability of encapsulated anthocyanins during sulgidduk cooking)

  • 최예지;고은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63-17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3가지 코팅물질로 미세캡슐화하여 설기떡에 첨가하고 물리화학적 특성 및 안토시아닌의 잔존률을 확인하고,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소비자의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아로니아 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에 비해 미세캡슐을 첨가한 설기떡의 가용성 고형분, 수분함량, 적색도, 총 안토시아닌 함량과 총 폴리페놀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철환원력은 말토덱스트린과 아라비아검 또는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혼합하여 제조된 미세캡슐을 첨가한 설기떡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안토시아닌 잔존률은 아로니아 가루를 첨가한 설기떡보다 미세캡슐화된 아로니아 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말토덱스트린으로 제조된 미세캡슐 또는 말토덱스트린과 아라비아검을 혼합하여 제조된 미세캡슐을 첨가한 설기떡의 안토시아닌 잔존률이 가장 높았다. 아로니아 가루 또는 미세캡슐을 첨가한 경우에 설기떡의 신맛과 떫은맛이 증가하였고, 코팅물질을 혼합 사용한 미세캡슐의 첨가가 설기떡의 색에 대한 기호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말토덱스트린과 아라비아검을 혼합하여 제조된 미세캡슐을 설기떡에 첨가하는 방법이 아로니아의 안토시아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생균력 증진을 위한 농업용 미생물제 미세캡슐화 (Encapsulation of Agro-Probiotics for Promoting Viable Cell Activity)

  • 최소영;윤민호;황경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87-29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미생물제 수요의 증가에 따른 보다 안정한 미생물제 공급과 규격화된 품질 보증 및 미생물제 생산성 확대를 위하여 식품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미생물제의 미세캡슐화 기술을 응용하여, 농업용 미생물제 캡슐화 소재선발 및 캡슐화 최적조건을 조사하고 생산된 미생물 캡슐제의 생균력과 안정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본 실험의 캡슐화 장치는 extrusion 기법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air atomizing device 대신 저속의 연동펌프를 이용한 micro-nozzle 방식을 설계하여 수행하였다. 농용 미생물의 캡슐화 소재선발을 위해 bead 형성이 용이하며 생균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구입이 가능한 캡슐제를 조사한 결과 Na-alginate와 K-carragenan은 bead 형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캡슐내 생균수는 $5.3-7.4{\times}10^7cfu\;g^{-1}$로 gellan gum과 locust bean gum 등에 비하여 6배 이상 높은 생균수를 나타냈다. Na-alginate의 경우 캡슐이 매우 단단하고 매끄러웠으며, K-carragenan보다 7배 이상 저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 농업용 미생물제의 캡슐화 소재로서 Na-alginate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라 판단되었다. 농업용 미생물제의 캡슐화를 위한 최적의 캡슐화 소재로 1.5% 농도의 Na-alginate에 1.0% starch와 같은 안정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생균력을 유지하는 데 보다 안정적이었다. 최적조건에서 형성된 캡슐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 캡슐의 표면구조는 매끈하고 규칙 바른 구형을 나타내었으며, 내부 구조는 비교적 균일한 polymatrix를 형성하였 으며 부분적으로 큰 공극을 형성하였다. 미세 캡슐 내 미생물 생존력을 유지하기 위한 캡슐막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안정제로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이 용이한 starch와 zeolite를 이용하여 생균력 증진효과를 검토하였다. 세균을 이용한 미생물 캡슐체의 경우 starch와 zeolite 모두 약 70-80% 생균력을 나타내었으며, 효모의 경우 starch를 안정제로 이용한 경우 67%의 생균력을 나타내었으나 zeolite를 안정제로 첨가한 경우 80% 이상의 높은 생균력 증진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미생물을 캡슐화 할 경우 무기재료인 zeolite를 첨가할 경우 장기간 생균력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당분해효소의 미세캡슐화 수율 측정 (Quantitative Analysis of Microencapsulation of $\beta$-Galactosidase)

  • 신명곤;장판식;민봉기;곽해수
    • 분석과학
    • /
    • 제5권4호
    • /
    • pp.471-475
    • /
    • 1992
  • 유당분해효소를 유지방으로 미세캡슐화시켰으며, 이때의 미세캡슐화 수율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미세캡슐화 공정과정에 의한 유당분해효소의 불활성화 정도는 초기 효소활성도의 5.2%였으며 이러한 불활성화 정도를 고려하여 유당분해효소의 미세캡슐화 수율을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하여 계산하였을 때 각각 92.6% (간접적인 측정방법), 88.6% (열처리에 의한 방법) 및 94.1% (효소처리에 의한 방법)였다.

  • PDF

유화제 종류에 따른 오징어 간유의 미세캡슐화 특성 (Effect of Emulsifiers on Characteristics of Microcapsule Containing Squid Liver Oil as a Core Material)

  • 황성희;이기택;윤광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9-32
    • /
    • 2007
  •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많은 오징어 간유의 미세캡슐화공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HLB 값이 다른 유화제를 이용하여 미세캡슐화 특성을 살펴본 결과, 유화액의 점도는 HLB가 낮을수록 증가하였고, 유화 안전성은 HLB 4가 가장 낮았으며 다른 실험구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오징어 간유 분말의 미세캡슐화 효율은 HLB 16으로 제조한 분말의 경우 35.0%로 높게 나타났다. 미세캡슐화된 분말의 흡습 안전성과 입도크기는 모든 실험구가 유사하게 나타나, 유화제의 HLB값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미세캡슐화 분말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실험구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고도불포화지방산은 모든 분말이 50% 이상으로 나타났고, 포화지방산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HLB 11, HLB 16로 제조한 분말이 2.07로 가장 높았다.

부형제 조성비에 따른 오징어 간유의 미세캡슐화 특성 (Effect of Microcapsule Wall Materials and Mixing Ratios on the Characteristics of Microcapsules Containing Squid Liver Oil)

  • 황성희;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0-34
    • /
    • 2007
  •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많은 오징어 간유의 미세캡슐화 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부형제 조성을 달리하여 미세캡슐화 특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조성비에서 유화액의 점도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Na-caseinate의 함량이 높을수록 유화안정성이 증가하였다. 미세캡슐화 효율은 Na-caseinate와 cyclodextrin의 비율이 4:6 > 6:4 > 5:5 > 3:7 > 7:3의 순으로 4:6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미세캡슐화된 분말의 흡습성은 cyclodextrin의 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수분함량과 입도크기는 모든 실험구가 유사하게 나타나 큰 영향이 없었다. 지방산 조성은 모든 조성비에서 고도불포화지방산이 5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Na-caseinate와 cyclodextrin의 혼합비가 4:6으로 제조된 분말의 포화지방산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2.11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