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전류

Search Result 44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Determin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6^{3}P$ Mercury Atoms in a Hg-Ar Discharge by the Plane-Mirror Method (평면거울법에 의한 수은-아르곤 방전중의 $6^{3}P$ 수은원자의 농도 결정)

  • 지철근;여인선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 no.1
    • /
    • pp.55-60
    • /
    • 1987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펙트럼의 재흡수를 이용하여, 수은-아르곤 방전중의 63P 여기원자 농도를 결정하는 데 있다. 먼저, 평면거울을 사용한 경우의 재흡수 이론을 전개한 다음, 이를 수은-아르곤 방전에 적용시켜, 복잡한 미세구조를 갖는 수은의 visible-triplet lines에 있어서의 스펙트럼의 흡수계수와 측정된 흡수율사이의 수치적 관계를 구하였다. 이와함께, 흡수계수와 흡수원자농도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방전관의 관벽온도를 변화시킨 경우와 방전전류를 변화시킨 경우에 있어서, 측정 흡수율에 상응하는 수은의 63P 여기원자 농도를 구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ⅰ) 측정범위내에서 준안정원자의 농도는 63P1 상태의 농도보다 높다. ⅱ) 방전전류를 증가시킴에 따라 435.8[nm]의 재흡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그 결과 63P1 여기상태의 농도는 준안정원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속도를 보인다. ⅲ) 방전전류 증가시 준안정원자와 전자사이의 충돌이 빈번해져서 준안정원자의 증가속도가 둔화하는 대신 축적여기 또는 전리의 확률이 높아진다.

  • PDF

Insulation Characteristics of Contaminated Polymeric Insulators in the Field Condition (옥외용 폴리머 절연물의 표면 오손에 따른 절연특성 연구)

  • Lee, Byung-Sung;Park, Chul-Bae;Park, Yung-Woo;Chun, Sung-Na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2019-2020
    • /
    • 2008
  • 옥외에서 폴리머 애자의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이유는 자기제 애자에 비해 경량이면서 오손특성이 우수하다는 장점 때문이다. 약 10년 전 국내 배전선로에 설치된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재질의 폴리머 현수애자의 섬락고장이 있었다. 폴리머 애자는 재질 특성상 사용시간에 따라 표면 열화가 진행되고, 표면의 절연저항이 감소하여 누설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표면 섬락고장을 유발하는 누설전류는 절연물 표면 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애자 표면에 부착된 오손물이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표면에 부착된 미세한 오손물은 발수성을 급격히 저하시켰으며, 장시간 수분에 노출될 경우 상용전압에서 표면 방전의 원인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부착된 오손물은 누설전류와 절연내력에 영향을 주어 절연 특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 PDF

Characterization of Modified Surface Manufactured by PTA(Plasma Transferred Arc) Spray (PTA 용사에 의해 제조된 표면개질부의 특성에 관한 연구)

  • Ji Jung-Hun;Yoo Yeon-Gon;Kim Gwang-S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06a
    • /
    • pp.92-95
    • /
    • 2004
  • 플라즈마 트랜스퍼드 아크(PTA) 용사는 플라즈마 아크 용접 장치에 선형의 용접봉을 이용하는 대신 분말 형태의 용접재를 주입하여 주로 마모나 부식에 노출되는 금속의 표면에 적용하여 금속 표면의 내식 내마모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용사전류가 표면개질부에 미치는 기하학적 형상 및 미세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낮은 전류에서는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높은 전류에서는 모재로 희석되어 들어가는 현상을 보였다.

  • PDF

Investigation of Leakage Currents of $BaTiO_3$ Thin Films Using Aerosol Deposition in Microscopic Viewpoint

  • O, Jong-Min;Kim, Hyeong-Jun;Kim, Su-In;Lee, Chang-U;Nam, S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114-114
    • /
    • 2010
  • 최근 고용량의 디커플링 캐패시터를 기판에 내장하여 고주파 발생의 원인인 배선길이와 실장 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임베디드 디커플링 캐패시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공정들은 높은 공정온도와 같은 공정상의 한계를 가지고 있어 상온 저 진공 분위기에서 세라믹 분말을 기판에 고속 분사시켜 기공과 균열이 거의 없는 치밀한 나노구조의 세라믹 제작이 가능한 후막코팅기술인 Aerosol Deposition Method (ADM)에 착목하였으며, 이 ADM을 박막공정으로 응용하여 $BaTiO_3$ 박막을 제작하고 고용량의 디커플링 캐패시터 제작을 실현하고자 한다. 하지만, Cu 기판 상에 성막 된 $0.5\;{\mu}m$이하의 $BaTiO_3$ 박막에서는 $BaTiO_3$ 분말 내에 존재하는 평균입자 보다 큰 입자와 응집분말로 인해 발생하는 pore, crater, not-fully-crushed particles와 같은 거시적인 결함들에서의 전류 통전과 울퉁불퉁한 $BaTiO_3$ 박막과 기판 사이의 계면에서의 전계의 집중에 의한 전류의 증가로 인하여 큰 누설전류 발생하는 문제에 봉착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효과적인 방법으로 Stainless steel 기판과 같이 표면경도가 높은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0.2\;{\mu}m$의 두께까지 유전 $BaTiO_3$ 박막을 성막 할 수 있었으며, 치밀한 표면 미세구조와 줄어든 $BaTiO_3$ 박막과 기판 사이의 계면의 거칠기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BaTiO_3$ 박막 내에 발생하는 누설전류의 근본원인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누설전류에 대한 미시적인 접근이 더욱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누설전류 발생원인의 미시적 접근을 위해 두께에 따른 $BaTiO_3$ 박막의 누설전류 전도기구에 대한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BaTiO_3$ 박막내 발생하는 누설전류의 원인은 $BaTiO_3$막 내에서 donor로서 역할을 하는 oxygen vacancy와 불균일한 전계의 집중으로 인한 전자의 tunneling 현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ano-indenter와 Conductive atomic force microscopic를 이용한 정밀 측정을 통해 표면경도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으며 $BaTiO_3$ 박막의 두께가 $0.2\;{\mu}m$이하로 더욱 얇아지게 되면 입자간 결합 문제 또한 ADM을 박막화 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 PDF

Age Hardening and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Ca added Mg-Zn Alloys (Ca이 첨가된 Mg-Zn 합금의 시효경화 및 부식특성)

  • Kim, Yu-Yeong;An, In-Seop;Nam, Tae-Hyeon;Heo, Bo-Yeong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11
    • /
    • pp.1012-1017
    • /
    • 1997
  • Mg-Zn-Ca합금의 잉곳트는 BN을 내벽에 바른 4x$10^{-5}$Torr의 진공의 석영관내에서 제조하였다. Mg-Zn합금계의 입자미세화를 위하여 0.5-5wt.%조성범위의 Ca를 첨가하였다. 제조된 합금을 용체화처리한 후 결정립크기와 경도를 측정하였다. Mg-6wt.%Zn합금의 입자미세화효과는 Ca가 1.5wt%첨가 될 때 최적의 조건이었다. Mg-6wt.% Zn과 Mg-6wt.% Zn-2wt.% Ca및 Mg-6wt.% Zn-1.5wt.% Si합금을 시효처리하여 시효거동을 조사하였다. 입자미세화에 의한 경도증가효과는 Mg-Zn-Ca합금계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시효에 의한 경도증가효과는 Mg-Zn-Si합금계에서 크게 나타났다. Mg-6wt.%Zn합금의 부식전류밀도는 0.5wt.% Ca의 조성에서 감소되었다.

  • PDF

Implementation of Particle Measuring Sensor System Using Laser Optical Scattering Method (레이저 광산란식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의 실현)

  • Kim, Gyu-Sik;Na, Hyeong-Uk;Kang, Sang-Hy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365-366
    • /
    • 2008
  • 광학입자 계수기는 실내환경, 대기오염 및 콜린룸 등 입자크기분포 측정장비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광학입자 계수기에 샘플링된 업자는 관측체적 내로 1개씩 통과 하며 산란된 빚은 집광장치에 의해 광검출기로 전달한다. 이때 산란광의 양에 비례하여 전압 (전류)의 세기로 변환하여 전기적 선호로서 나타나는 Pulse의 높이는 Calibration Data에 따라 업자의 크기로 변환하고 Pulse의 개수는 입자의 개수로 표시된다. 입자의 크기와 개수등 이용하여 부피로 환산 한 후 부유하는 입자의 평균 밀드를 이용하여 질량으로 환산시킨다. 이렇게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는 ZigBee 통신을 사용하여 구축한 시스템을 통해서 중앙부에서 실시간으로 먼지 농도를 알 수 있다. 특히 멀티흡 기능을 이용하여 건물 구조가 복잡하거나 층간의 통신, 꺾인 부분이나 사무실 안과 밖과 같은 무선 통신이 원할 하지 못하는 경우를 극복하여 미세먼지의 농도 값을 측정 할 수도 있다.

  • PDF

Shape and Diameter Control of Microshafts in Electrochemical Process (전해 프로세스에 의한 미세축 가공시 형상 및 직경 제어)

  • Lim, Yung-Mo;Lim, Hyung-Jun;Kim, Soo-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8 no.5
    • /
    • pp.50-56
    • /
    • 2001
  • Fabrication methods are shown to produce slender and cylindrical tungsten shafts by electrochemical etching. The shape of microshatf formed by electrochemical etching is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 of two conflicting factors, i.e., initial shape and diffusion layer. We can obtain a desirable shaft profile by adjusting the thickness gradient of diffusion layer. The diameter of microshaft is controlled by mathematical model based on relation between process parameters and diameter.

  • PDF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low frequency pulsating voltage power supply for DC Plasma Electric Precipitator (고전압 플라즈마 전기집진기를 위한 고전압 저속 스위칭의 작동 특성)

  • Jeong, Ku Young;Jeon, Hyeong Geun;Oh, Hyeon Jun;Roh, Chung Woo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174-176
    • /
    • 2019
  • 최근 미세먼지(PM10 또는 PM2.5)로 인한 인체 유해성 및 실제 피해사례가 인터넷, TV 매체 등에 의해 화두가 됨에 따라 각종 제조, 사업장 및 발전소에서는 미세먼지 배출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고효율 집진 기술이 필요로 되고 있는 상황이다. 고압 코로나 방전에 의해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고전압 하전방식 집진장치의 경우 전류를 광범위로 조절 가능하며 역전리 방지에 탁월하여 고효율의 집진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다전원(펄스전원, 기본전원)을 이용한 마이크로 펄스 하전방식이 아닌 공진형 컨버터와 고압 트랜스포머, 배전압 회로를 적용한 고전압 단전원 제어 하전방식 및 이를 이용한 고전압 전압원의 저속 스위칭 제어기법을 제안하고, 실제 측정을 통해 제안 방식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Comparison of the Inhibitive Effect of High Voltage Pulsed Current Stimulation and Microcurrent Electrical Neuromuscular Stimulation on Bacterial Growth (고전압 맥동전류 자극과 미세전류 신경근 자극의 세균성장 억제효과 비교)

  • Kang, Eun-Jin;Roh, Jung-Suk;Lee, Jae-Seung;Yi, Chung-Hwi;Kim, Tae-Ho
    • Physical Therapy Korea
    • /
    • v.3 no.1
    • /
    • pp.12-23
    • /
    • 1996
  • High Voltage Pulsed Current Stimulation(HVPCS) and Microcurrent Electrical Neuromuscular Stimulation(MENS) have been used to promote the healing of decubitus ulcer and surgical wounds. The benefits of HVPCS and MENS are thought to include an inhibitive effect on bacterial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nhibitive effect of two different electrical stimulation techniques growth in vitro. Using agarose-based media, the two bacterial species Staphylococcus aureus, Esherichia coli - which are commonly isolated from open wounds were incubated in an incubator for 24 hours following exposure to HVPCS(400 V, 120 pps, $70{\mu}s$) and MENS($100{\mu}A$, 0.3 Hz). We then measured the zone of inhibition around each electrode. Both HVPCS and MENS produced an inhibitive effect on bacterial growth in this vitro study. However MENS was more effective than HVP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