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생물 상호작용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18초

Lactobacillus acidophilus KFCC12731와 Kluyveromyces fragilis KFCC35457의 대두유 발효중 당대사의 상호작용

  • 류인덕;박정길;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1.2-531
    • /
    • 1986
  • 대두유중에서 L, acidophilus와 K. fragilis를 단독발효시키는 것 보다 혼합배양 함으로써 젖산의 생성이 촉진되었는데 균간의 어떠한 상호작용에 의하여 산의 생산이 증가되었는가를 연구하였다. 대두유와 Soywhey를 사용하였을 때의 젖산 생성속도는 L. acidophilus 단독보다는 K. fragilis 와 혼합배양하는 것이 빨랐다. 이들 균을 단독 또는 혼합배양하여 경시적으로 발효 대두유중의 당 성분을 HPLC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L. acidophilus가 발효하기 어려운 sucrosed raffinose, stachyose를 K. fragilis가 생산하는 효소에 의하여 젖산균이 발효할 수 있는 glucose, fructose로 분해되기 때문에 혼합배양 함으로써 젖산 발효가 촉진된다는 것을 알았다.

  • PDF

구강미생물학

  • 최선진
    • 미생물과산업
    • /
    • 제16권3호
    • /
    • pp.32-35
    • /
    • 1990
  • 구강 미생물에 관한 연구의 추진력은 2개의 가장 빈번한 질병인 치아우식(우식 또는 충치)과 치주질병이 치아균태(치태)(dental bacterial plaque)와 연관이 있다는 발견에서 나오게 되었다. 이 질병들은 일상 음식물, 구강의 상주균, 그리고 숙주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 등으로 생긴다. 따라서 이 질병들의 발병과정을 연구하기 위해서 구강 생태학의 이해는 필수적이다.

  • PDF

Thiobacillus와 종속영양 미생물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 이홍금
    • 미생물과산업
    • /
    • 제16권2호
    • /
    • pp.14-16
    • /
    • 1990
  • 미생물을 이용한 광물의 제련(microbial leaching)은 미생물의 몇가지 기전에 의해 광물성 sulfide를 산화시킴으로써 금속을 수용화시키는 과정이다. 이 방법은 현재는 구리나 우라늄 제련에 이용되고 있으며 광물질에 금속의 함량이 낮을 때 재래적 화학적 처리로 제련하는 것에 비해 훨씬 경제적이므로 앞으로의 자원획득문제에 기술적 및 생태적 중요성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산성의 Thiobacilli와 같은 biotope에 생존하는 종속영양미생물을 분리한 후 혼합 배양을 통해 Thiobacilli의 일차 생산자로서의 역할및 이때 생성된 유기물의 영향및 종속영양 미생물이 Thiobacilli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 PDF

호수 생태계에서의 먹이사슬과 먹이연쇄

  • 김명운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6-71
    • /
    • 1997
  • 호수 생태계내의 생물군집은 생산자로서의 식물플랑크톤과 소비자로서의 동물플랑크톤 및 어류가 주된 위치를 차지하고 세균은 분해자로서 기능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 세균군집이 생태계내에서 먹이사슬을 연계하는 2차 생산자로서도 기능한다는 사실이 제기되어, 오늘날에는 생태계내에서 세균군집의 역할이 보다 강조되고 있다(6,40,41,42,50). 먹이사슬에 대한 관심은 많은 연구결과들을 생산하였지만 복잡한 먹이사슬 구조는 아직까지 부분적인 이해만을 허락하고 있다. 특히, 어류, 동물 플랑크톤, 식물플랑크톤, 미생물의 각 분야가 서로 구분되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들간의 상호작용을 정확하게 밝히는 데에는 많은 한계가 있어 왔다. 1970년대 이래로 담수생태계의 부영양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생태계내의 먹이 사슬을 이용하는 생물조작의 개념이 대두되었으며, 각 분야의 통합적 연관성을 필요로 함으로써 생태계 이해에 많은 지식을 제공하였다. 이 글에서는 담수생태학의 한 분야로서 생물군집간의 상호작용인 먹이사슬의 연구동향을 생물조작 개념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친환경농업 - 근권미생물을 이용한 식물의 건강과 면역활성

  • 박경석
    • 농업기술회보
    • /
    • 제51권5호
    • /
    • pp.17-18
    • /
    • 2014
  • 최근 들어 식물의 뿌리 주변에는 사는 근권미생물과 식물과의 상호작용연구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바실러스, 슈도모나스 등의 근권미생물은 식물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작물의 건강을 지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을 도입할 경우 농작물의 안전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PDF

HeLa 세포에서 IgE-dependent Histamine-Releasing Factor와 Triosephosphate Isomerase의 상호작용 규명 (Interaction between IgE-Dependent Histamine-Releasing Factor and Triosephosphate Isomerase in HeLa Cells)

  • 문지애;김화정;이경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5-259
    • /
    • 2005
  • 본 실험에서는 HRF의 조절단백질을 알아보기 위해 HRF를 bait로 한 yeast two hybrid assay를 실행한 결과 해당과정에 관여하는 TPI(triosephosphate isomerase)라는 효소를 발견하였으며, 가장 많이 중복되어 있었다. In vitro에서 HRF는 TPI의 C말단 잔기 부근(아미노산 156-249)이 상호작용에 주로 관여하는 부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HeLa 세포에서 immunoprecipitation을 이용하여 HRF와 TPI의 상호작용이 실제 in vivo에서도 일어나는 현상이라는 것을 밝혔다. 결과적으로 HRF와 TPI 상호작용은 세포내 일정량이 존재하며 여러가지 신호전달에 의해 동시에 Na,K-ATPase와도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효모에서 Hrq1과 Rad14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Hrq1-Rad14 Interaction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민문희;김민지;최유진;유민주;김유라;안효빈;김채현;권채연;배성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95-100
    • /
    • 2014
  • Hrq1은 곰팡이 유전체에서 생물정보분석에 의해 발견된 새로운 RecQ helicase이다. 이 단백질은 인간의 RECQL4와 가장 상동성이 높으며 최근의 유전학적 생화학적 연구를 통해서 유전체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어떤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RECQL4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간 유전자들과 상동성이 있는 효모 유전자들이 Hrq1과 상호작용하는지를 yeast two-hybrid assa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총 11개의 유전자를 조사한 결과, nucleotide excision repair (NER) 인자 중의 하나인 Rad14이 Hrq1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정제한 단백질을 이용한 pull-down assay로 Hrq1과 Rad14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Hrq1과 Rad14 사이의 yeast two-hybrid 상호작용은 4-nitroquinoline-1-oxide에 의한 DNA 손상으로 더욱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상호작용의 증가는 또 다른 NER 인자인 Rad4에 의존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Hrq1이 Rad14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NER 과정에 어떤 역할을 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