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생물 분해

Search Result 2,59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해상 유출 기름 제거 시 미생물을 이용한 제거 기술의 종류와 고려하여야 할 문제점 분석

  • 장승룡
    • 한국석유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autumn
    • /
    • pp.68-84
    • /
    • 1999
  • Biodegradation is a natural weathering process by microorganisms to decompose spilled oil or environmental contaminants. To accelerate this process, applying nutrients (fertilizer) or more microorganisms to naturally occurring microorganisms is called 'Bioremediation.' Presently, most popular response technique to spilled oil is mechanical cleanup using booms or skimmers. For the alternative to this technique, chemical dispersants, in-situ burning are used. Another promising alternative is bioremediation and it can clean oil contaminated seashore during enough time. In this paper, types of bioremediation technologies, its usage potential, and important consideration issues when applying this technique were summarized.

  • PDF

Microbial Degradation of Diazinon in Sudmerged Soil (담수토양내 미생물에 의한 Dazinon의 분해)

  • 김중호;이영하;최종우;이규승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27 no.2
    • /
    • pp.139-146
    • /
    • 1989
  • The mechanisms and metabolic products involved in the degradation of an organophosphate insecticide, diazinon, were studied in submerged paddy soil under the laboratory condition at $30^{\circ}C$. Diazinon abatement in non-sterilized soil was more rapid than indicating microbial participation in diazinon in soil. One-half of the original applications was lost in 2 days and less than 5% remained after 7 days. During the same period, dizinon applications increased tha microbial popu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monooxygenase and esterase activities in soi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crobiological factors develop in soil following diazinon application. The esterase and monooxygenase-catalyzing degradation products of diazinon were isolated and tentatively identified by mass spectrometryas 2-isopropyle-6-methyl-4-hydroxy pyrimidine, diazoxon, hydroxydiazinon, and sulfotep.

  • PDF

Biodegradation of Fungicide Tolclofos-methyl by Sphingomonas sp. 224 (Sphingomonas sp. 224 균주에 의한 살균제 tolclofos-methyl의 분해)

  • Kwak, Yun-Young;Shin, Kab-Sik;Lee, Sang-Man;Kim, Jang-Eok;Rhee, In-Koo;Shin, Jae-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9 no.4
    • /
    • pp.388-395
    • /
    • 2010
  • In order to decrease level of an organophosphorus fungicide, tolclofos-methyl, from in situ ginseng cultivating soil, we isolated a tolclofos-methyl degrading bacteria from ginseng cultivating soil samples. The bacterial strain removed tolclofos-methyl around 95% after 3 days incubation with complete liquid media.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Sphingomonas sp. by 16S rDNA sequence comparison, and designated as Sphingomonas sp. 224. Through the GC-MS analysis, Sphingomonas sp. 224 was proposed to have an initiative degradation pathway generating the metabolite such as 2,6-dichloro-4-methyl phenol compound from tolclofos-methyl. In addition, Sphingomonas sp. 224 was confirmed representing the effective degrading capability to tolclofosmethyl in situ soil.

A PAH degradation study by soil microorganisms (토양 미생물에 의한 PAH 분해 특성)

  • Jang Tae sik;Cho Daechul;Huh Nam S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5.05a
    • /
    • pp.301-302
    • /
    • 2005
  • PAHs의 분해를 위해 Bacillus subtilis 와 Phanerochaete chrysosporium의 두 미생물을 사용하였고, 이들을 부착시킬 담체로 코르크와 톱밥를 선정하여 미생물을 접종시켰다. Phenanthrene 분해의 경우, 반응 초기에는 분해 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반응 12일째 분해 속도가 떨어졌다. 분해 속도는 1)톱밥에 담지한 Bacillus subtilis, 2)코르크에 담지한 Bacillus subtilis, 3)톱밥에 담지한 Phanerochaete chrysosporium, 4)코르크에 담지한 Phanerochaete chrysosporium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이론적 Biodegradability를 토대로 한 토양 내 PAH의 Bioavailability 예측 방안

  • 류혜림;남경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266-268
    • /
    • 2004
  • 대부분의 유기물은 토양의 특성에 따라 그 흡착 및 탈착 양상이 다르며 이는 오염물질의 토양에서의 지속성 및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유기오염물인 PAH(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에 대하여 흡착 및 탈착과 오염물질의 미생물 분해 등을 통한 제거 기작과의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PAH의 이론적인 미생물분해반응식은 열역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반쪽반응방법을 사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오염물과 토양의 특성에 따른 흡착 및 탈착 양상을 파악하고, 앞에서 구한 미생물 분해반응식을 이용하여 이론적 분해량을 예측하면 오염물의 생물학적 이용성과 노출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여러 특성을 분석한 후, PAH의 미생물 분해량 및 분해율을 측정하고자 한다. 실험을 통하여 실제 토양에서 측정된 PAH 분해량과 위의 이론적 분해량 예측 결과 사이의 관계를 토양의 특성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나아가 오염물질의 생물학적이용성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일반화된 예측 모형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토양과 유기오염물질, 미생물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보다 실질적인 유기오염물의 생물학적 이용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Pilot-scale Treatability test of Co-Composting for The Remediation of Diesel Contaminated Soil in The Winter (동절기 유류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Co-Composting 기술의 현장 적용성 연구)

  • 마정재;고형석;황종식;정민정;최상일;김국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9.04a
    • /
    • pp.26-28
    • /
    • 1999
  • 동절기 급격한 온도 저하로 인한 적용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composting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여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온도 변화에 따른 분해 특성을 검토하였다. 기초 실험을 통해 영양원과 유류분해 미생물의 첨가에 따른 분해 효율을 점검한 결과 초기 유효 미생물 (유류분해 미생물)의 농도가 낮고 영양원(N, P source)의 불균형으로 인해 영양원의 첨가와 유류분해 미생물을 동시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절기 낮은 온도를 극복하기 위해 퇴비를 투입한 Co-composting 기술은 주입된 퇴비의 영향으로 pile 내부의 온도가 30-40일 동안 중온상태를 유지하였으며, 제거효율은 91%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류 오염토양을 복원함에 있어서 동절기에도 별도의 시설투자 없이 효율적으로 유류를 분해시킬 수 있는 CO-Composting 기술의 적응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난분해성 물질의 생물학적 분해에 있어서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irect Enrichment of EPTC-degrading Microorganisms in Soil and Its Use for the Acceleration of EPTC degradation in Soil (EPTC-분해 미생물의 토양 내에서의 직접 증식과 토양내의 EPTC 분해 촉진을 위한 그 이용)

  • Kim, Sang-J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8 no.1
    • /
    • pp.79-87
    • /
    • 2005
  •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초제의 하나인 EPTC(s-ethyl-N,N'- dipropylthiocarbamate)에 대하여, 이를 분해하는 미생물의 토양 내에서의 직접 증식과 이를 함유한 토양(INOCULUM)의 토양내 EPTC 분해촉진을 위한 접종재(inoculant)로서의 효용성을 조사하였다. 한 차례의 EPTC(20mg EPTC/kg 토양)처리에 의해, 순수분리 없이 토양 내에서, EPTC-분해 미생물의 수가 $10^2$ 수준에서 $10^5$ 수준으로 약 $10^3$배 증식되었으며, EPTC 분해속도 또한, 토양으로부터 추출 가능한 EPTC가 초기 EPTC농도(20mg EPTC/kg 토양)의 20%까지 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준으로 할 때, EPTC처리 전의 20여 일에서 EPTC 처리 후에는 1일 이내로 빨라졌고, 이 토양의 EPTC 분해능력은 토양내의 EPTC 초기농도가 토양 kg당 2,000mg일 때까지도 크게 저해되지 않았다. 이 토양(INOCULUM)을 EPTC로 오염된 토양에 접종(0.05-5%, w/w)하였을 때, 오염된 토양 내에서의 EPTC 분해속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이 토양의 EPTC 분해능력은, 저온($10^{\circ}C$ 이하)의 습한 상태(수분함량 25%)에 보관하였을 때, 최소 6개월간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EPTC-분해 미생물이 토양 내에서 쉽게 증식됨과, 이를 함유하는 토양(INOCULUM)이 토양내의 EPTC 분해 촉진을 위한 접종재로서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고, 이 같은 방법은 다른 화합물과 그에 오염된 토양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담체교반시스템을 이용한 바이오필터의 막힘을 자동제어하는 기술

  • Lee, Tae-Ho
    • Environmental engineer
    • /
    • v.24 s.254
    • /
    • pp.54-59
    • /
    • 2007
  • 본 기술은 각종 산업시설과 환경 기초 시설로부터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hemicals; VOC)을 미생물의 분해 작용을 활용하여 제거하는 장치로 오염 물질의 분해과정에서 미생물의 과다생장에 의한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장치의 막힘현상을 미생물 고정화 담체의 교반과 살수과정을 통해 담체표면의 생물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 가스속에 함유되어 있는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다. 특히, 미생물 담체의 교반 장치는 미생물 고정화 담체를 교반시켜 생물막을 탈리 시킴으로써 미생물의 생장에 의한 막힘 현상과 이로 인한 압력 손실 증가와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성능의 저하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 PDF

유류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세척 유출수 처리에 관한 연구

  • 김형수;최상일;조장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287-290
    • /
    • 2002
  •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 복원기술 적용시 발생되는 세척 유출수를 유류분해 미생물로 알려진 Pseudomonas putida Fl, Pseudomonas oleovorans, Acinetobacter calcoaceticus를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데 필요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세종류의 미생물은 본 연구에 사용된 계면활성제(POE$_{5}$, POE$_{14}$)에 대하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배양 종료 후 계면활성제 농도에 따른 TPH 분해율은 0.1%, 0.5%, 1%의 계면활성제 농도에서 유사한 분해율을 나타냈으나, 배양 초기에는 0.1%가 0.5%나 1% 농도에 비하여 높은 분해율을 보였다 pH의 변화에 따른 TPH 분해율은 적용 pH 범위(4, 6.5, 9)내에서 모두 생육이 가능하였으며, 세 종류의 미생물은 pH 6.5에서 가장 높은 TPH 분해 율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