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로길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nalysis of CFD for Flow Discharge in Hard Micro-path of Drip Hose (점적 호스의 경질 미로 유량 변화에 대한 CFD 해석)

  • Kim, J.H.;Woo, M.H.;Kim, S.S.;Kim, D.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58-58
    • /
    • 2017
  • 점적 호스의 원통형 미로 구조물내의 유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금속판에 동일한 구조의 미로가 가공된 시험부를 활용하여 압력과 유량의 변화에 대한 실험을 CFD 해석하였다. 해석은 미로의 길이에 따른 유량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전체 미로에 구간별 총 8개의 배출구를 배치하고 밸브 조절을 통해 구간별 압력에 따른 유량을 측정함으로서 실험에 의한 압력과 유량의 관계를 검증하고 새로운 경질 미로를 설계하는데 응용하고자 한다. 경질 미로의 이론적인 해석에서 정밀도가 실험을 대신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관심을 두었다. 점적관수의 경질 미로는 디자인을 달리함으로써 성능이 높고 미세한 스케일이 침착되지 않는 고성능의 점적관수 장치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미로 입구의 공급 유체 압력(Gauge pressure)을 0.5, 1.5, 2.5, 3.0 bar로 나누어 공급하였으며, 8개의 구간별 유출되는 유량은 전자저울에서 측정하였다. 향후 최적 미로의 새로운 설계를 위해 미로구조 전체를 CFD 해석하였고 그 결과를 실험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경질 미로내 각 구간별 세부적인 유동구조를 분석하였고 해석결과와 실험결과를 통해 향후 새로운 경질 구조의 개발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질 미로의 입구압력에 따른 미로의 길이 #1과 #2에 대한 CFD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 경질 미로에 압력이 증가할수록 미로의 유체 속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2에서도 거의 같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미로 통로에서는 와류로 인한 이물질의 멈춤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만큼 흐름이 원활함을 알 수 있었다. 미로의 길이 #3과 #4에 대한 CFD 분석과 미로의 길이 #5와 #6에 대한 CFD 분석에서는 압력이 증가하고 미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속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로와 미로 사이의 넒은 통로에서는 유속이 크게 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부분에는 유체속의 이물질이 침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통로가 좁은 곳에서는 유속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7과 #8은 미로의 상하단으로 유출되는 부분의 차이이므로 실질적으로 해석의 결과는 차이가 없었다. 경질 미로에 대한 압력에 따른 미로의 길이별 유출량은 지수적인 반비례 현상을 나타내어 앞서 실험한 연구의 결과와 1~2% 오차 범위에서 잘 일치하였다. 따라서 점적 호스의 경질 미로에 대한 설계는 이론적인 해석을 통하여 새로운 디자인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질 미로의 미로의 길이에 따른 CFD 분석의 결과는 실험적인 유출량의 값과 거의 일치하였다. 미로와 미로 사이의 넒은 통로에서는 유속이 크게 떨어져 이물질들이 침착될 가능성이 있었으며 실질적으로 넓게 설계하는 것이 유리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질 미로에 대한 압력에 따른 미로의 길이별 유출량은 지수적으로 반비례 하였으며 점적 호스의 경질 미로에 대한 새로운 설계는 이론적인 해석을 통하여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3D Simulation of Maze Solver Micromouse using MEL Script (MAYA의 MEL Script로 구현한 미로찾기로봇 3D시뮬레이션)

  • Kim, Min-soo;Lee, Im-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201-20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공간을 시각적으로 표현이 가능한 MAYA의 MEL Script를 통해 미로 찾기 로봇을 3D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MAYA에서는 생성된 개체에 대해 X-Y-Z 좌표정보를 적용하고 이 수치를 개체의 속성 값으로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여 랜덤한 미로 맵을 완성하기 위한 규칙으로 행렬을 생성하고 이 행렬의 인덱스와 값에 따라 X-Y-Z 좌표정보를 적용하여 개체를 생성하면 랜덤한 미로 맵이 완성된다. 그 후 길을 찾기 위한 규칙에 의해 이동하는 로봇의 X-Z좌표정보를 각 프레임 별로 저장하여 재생 시키면 미로 찾기 로봇 시뮬레이션을 눈으로 확인 가능하다. 사람이 직접 번거롭게 임의의 미로 맵 을 생성하지 않고 로봇이 없어도 간편하게 미로 찾기를 구현해 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시뮬레이터는 미로 찾기 알고리즘을 테스트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 PDF

Variation of Discharge in Length of Hard Micro-path of Drip Hose (점적 호스의 경질 미로 길이에 대한 유량의 변화)

  • Kim, J.H.;Woo, M.H.;Song, N.S.;Kim, D.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57-57
    • /
    • 2017
  • Water line은 UV 처리된 호스의 내부에 압력보상 기능이 첨부된 경질의 미로 튜브를 끼워 사용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점적 호스의 외경은 15.8mm이며 대부분 0.5~2.5bar 사이의 압력에 1.5~3.0 L/hr의 유량을 공급한다. 따라서 전적 호스의 내부에 위치한 경질 미로 튜브의 설계는 유량의 압력보상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질 미로 튜브를 통과하는 작은 돌기의 수가 압력과 유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기초적인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경질 미로의 압력과 유량 특성에 따른 이론적 해석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미로의 형상 설계에 활용할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점적 호스의 성능은 길이(보통 300~400m)에 대한 유량의 균등성을 유지하는 것이며 균등성은 압력보상에 의해 이루어진다. 원통형 미로는 점적 호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원통 부분에 형성된 미로의 길이에 따른 유량의 균등성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점적 호스의 원통 주변에는 8개의 미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로의 길이를 금속 평면으로 금형 제작하여 투명판에서 미로의 형상을 보이게 하였다. 또한 입구부분에 물을 공급하고 미로의 각 위치별 배출구를 설치하여 압력에 따른 유출량을 전자저울에 측정하여 압력별 유량의 균등성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유입구의 압력을 0.5, 1.5, 2.5, 3.0bar로 각각 공급하였으며 유출량은 미로의 8개 구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경질 미로의 유출량은 미로의 길이가 짧을수록, 압력이 커질수록 유출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로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유출량의 차이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으나 미로의 길이가 길수록 압력에 대한 유출량에 대한 차이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경질 미로에서 미로의 길이를 길게 할 경우에는 유출량을 비교적 균일하게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미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압력변화에 따른 유출량이 지수적으로 감소함을 나타내고 있다. 미로의 길이가 7번과 8번에서는 상당히 균일한 성능을 보여주므로 경질 미로의 배출구를 전체적으로 모두 활용함으로써 압력보상을 비교적 균일하게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압력보상은 탄성을 가진 실리콘과 미로로 구성될 경우에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지만 점적 호스와 같이 경질 미로만으로 압력보상을 해야 할 경우에는 경질 미로의 길이가 매우 중요하다.

  • PDF

A Learning Method of Stack and Queue through Solving Maze Exploration Problems with Robots (로봇의 미로 탐색 문제해결을 통한 스택과 큐 학습 방안)

  • Hong, Ki-Che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1
    • /
    • pp.613-618
    • /
    • 2012
  • ICT education guidelines revised in 2005 reinforce computer science elements such as algorithm, data structure, and programming covering all schools. And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s STEAM education. Most important is that "How instruct them". This means necessity of contents. So this paper suggests learning method of Stack and Queue using LEGO MINDSTORMS NXT. The main purpose is that how stack and queue are used, when robot explore realistic maz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re algorithm, flowchart, and NXT-G programming. Simple maze has path in left or right, but complex maze has three-way intersection. These are developed by authors. Master robot explores maze and push stack, and then return to entrance using stack. Master robot explores maze and transmits path to slave's queue. And then slave robot drives without exploration. Students can naturally learn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them. Through these studies, it can improves ability of logical and creative thinking. Furthermore it can apply to ICT and STEAM education.

A Historical Study of the Form and Meaning of the Garden Labyrinth (정원 미로의 형태와 의미에 관한 역사적 고찰)

  • Hwang, Ju-Young;Zoh, Ky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4
    • /
    • pp.84-95
    • /
    • 2010
  • This study is an introductory survey of the labyrinth/maze in gardens. The term 'garden labyrinth' may seem an oxymoron given that the garden represents the terrestrial paradise, while the labyrinth is a symbol of the most chaotic face of the world. In etymological and ontological terms, however, gardens are enclosed places and this characteristic corresponds to the character of the labyrinth, which is the one of the oldest signs in human civilization, symbolizing the paths of human life filled with uncertainty and complexity. The garden labyrinth has developed in various forms and shapes since the Renaissance period. Literature and paintings contributed to the dissemination of the concepts of the garden labyrinth, especially in the form of the 'garden of love'. While the labyrinths in ancient and medieval times focused on plane shapes and symbolic and/or spiritual meanings, later garden labyrinths emphasized the three dimensional form and synesthetic pleasures. New patterns, which deviated from the classical unicursal form, emerged in the Petit Parc at Versailles in the 17th century. The garden labyrinth/maze was easy to adopt in formal gardens because of its geometric form, but for that reason, it went on to decline during the fad of picturesque garden. In this study, a brief history of labyrinths, the patterns, forms, and arrangement of the garden labyrinths in the formal gardens of the Renaissance and Baroque periods and its meanings are reviewed.

Target Object Search Algorithm under Dynamic Programming in the Tree-Type Maze (Dynamic Programming을 적용한 트리구조 미로내의 목표물 탐색 알고리즘)

  • Lee Dong-Hoon;Yoon Han-Ul;Sim Kwee-B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5 no.5
    • /
    • pp.626-631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the target object search algorithm under dynamic programming (DP) in the Tree-type maze. We organized an experimental environment with the concatenation Y-shape diverged way, small mobile robot, and a target object. By the principle of optimality, the backbone of DP, an agent recognizes that a given whole problem can be solved if the values of the best solution of certain ancillary problem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optimality. In experiment, we used two different control algorithms: a left-handed method and DP. Finally we verified the efficiency of DP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using a real robot.

예술.문화 - 문경새재 옛 길과 묵조밥

  • Kim, Sun-Gyeong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v.1 no.1
    • /
    • pp.123-126
    • /
    • 2008
  • 청정한 오지로 불리는 문경새재는 2004년 말 영동고속도로 여주분기점과 경부고속도로 김천을 잇는 중부내륙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서울과 대구 등지에서 2시간대로 닿는다. 영남 예순여섯 고을 사람들이 수백 년을 밟아 다져놓은 미로 같은 고갯길과 산속 원주민들이 숙명처럼 먹었다는 도토리묵과 묵조밥이 옛 그대로 전해져온다.

  • PDF

PathFind Method Research (PathFinding Method 연구)

  • Choi, Won-Jin;Gu, Bo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05a
    • /
    • pp.696-698
    • /
    • 2022
  • 게임에서는 장애물이 가로 막고 있을 때 길 찾기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Path Finding Method 는 길과 장애물을 고려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찾는 방법을 말한다. A* 알고리즘은 이런 복잡한 미로 찾기에 최적화된 Path Finding 알고리즘이다. 하지만, 모바일 같은 저비용 기기에서 A* 알고리즘을 사용하기엔 단순한 지형에서도 연산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의 공간에서 Grid를 구축하여, 통행이 가능한 곳과 불가능한 곳을 나누어 최종 지점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Path Finding Method 는 최종 지점이 막다른 길인 경우 가장 가까운 이동 가능한 경로로 길을 안내하도록 설계하여 예외 상황에 대처했다. 대표적인 길 찾기 알고리즘인 Dijkstra 알고리즘은 최소 비용을 고려해서 최단으로 가는 거리를 비교하여 길을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Dijkstra 알고리즘 경우 비용이 양수가 아닌 음수의 경우 무한 루프에 빠지는 등 결과 값이 제대로 나오지 않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Path Finding Method 는 최소 비용을 노드별로 비교하는 방식이 아닌 초기 비용을 알 수 없는 분야에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Path Finding Method 를 적용하여 Web 게임을 제작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향후, Path Finding Method 결과에 위치 정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중복된 지역을 가는 확률을 최소화하면서 정리된 Path 가 돌출되도록 연구할 예정이다. 본 논문의 Path Finding Method 은 게임 개발 분야에 적극 기여되길 바란다.

Characterization of amylopectins isolated from dry and moist type sweet potato starch (분질 및 점질 고구마 전분의 아밀로펙틴 특성)

  • Kim, Sung-Ran;Ahn, Seung-Yo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4 no.1
    • /
    • pp.26-31
    • /
    • 1991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from dry(Suwon 147) and moist type(Hwangmi) sweet potato were investigated and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ir amylopectins were also studied by gel chromatography. Suwon 147 starch bad lower swelling power and higher gelatinization temperature than Hwangmi starch. $\beta-Amylolysis\;limit(%)$ of Suwon 147 and Hwangmi amylopectin were 57.6% and 57.0%, respectively. Average unit chain length of amylopectins were 24.8 glucose units for Suwon 147 and 21.9 for Hwangmi. The elution profiles by Sephadex G-50 after debranched amylopectins of the two starches were similar but DPs of each peak were different.

  • PDF

The Detectability of Submarine's Turbulent Wake on the sea surface using Ship-Wake Theory (Ship-Wake 이론을 이용한 잠수함 항적탐색 가능성)

  • Lee, Yong-Ch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4
    • /
    • pp.773-779
    • /
    • 2011
  • The width of a submarine's turbulent wake, using Shear-free and Ship wake theory, is proportional to $x^n,\;({\frac{1}{5}}{\leq}n<{\frac{1}{2}})$ If we assume submarine's length, width, velocity are 65m, 6.5m, 6kts respectively, and the minimum diffusion of turbulent wake ; ${\infty}\;x^{1/5}$, the width of wake behind the submarine is about 20m at 1.2km, 30m at 15km when there is no breaking waves on the sea surface. However, in the case of breaking waves, it is very limited to identify submarine's wake on the sea surface because wind generated turbulent wake has higher turbulent kinetic energy than that of submarine's wake. As a resul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o detect submarine's wake on the sea surface in the shallow water such as the Yellow-Sea using a proper detection method such as SAR. This means that in anti-submarine operations, non-acoustic sea surface serveillance applied turbulent wake will be very effective way to detect a submarine in near future. To do this we have to develop exact theory of submarine's turbulent wake above 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