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래

Search Result 18,03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Exploring Future Promising Technologies Based on AI Using US e-Navigation Patent Information (미국의 e-내비게이션 특허정보를 활용한 AI(인공지능) 기반 미래유망기술 탐색)

  • Song, Hwan Bee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329-350
    • /
    • 2017
  • e-내비게이션은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가 2020년 국제적인 시행을 목표로 도입한 차세대 해양안전 종합관리시스템이다. 각종 해상 운항정보를 디지털화 해 선박 운항자에게 실시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 준다. 육상에서 차량용 내비게이션처럼 선박을 운항하는 데 운항항로, 날씨, 돌발 변수 등을 제공하면서 선박 사고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크루즈와 같은 큰 선박부터 작은 낚시용 선박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해수부는 2020년 이후 약 1,000조원의 시장이 열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진입 장벽이 높은 해상장비 시장에 우리나라도 ICT 강점을 바탕으로 디지털로 변화하는 이 시장에 주도권을 잡기 위해 노력중이다. 이를 위하여 e-내비게이션 분야의 미국 특허정보를 확보하여 DB화 하고, DB에서 제공하는 특허적 행위(M&A, 특허 매입, 신규 R&D 등)를 중심으로 하는 미래기술예측 분석틀을 활용하여 유망기술을 발굴하고자 한다. 미래기술예측 분석틀은 미래기술예측의 3대 주제를 (1) 미래 기술의 대상과 범위, (2) 미래 기술의 주인과 수혜자, (3) 미래 기술로의 투자 시점으로 설정하고, 3~10년까지의 근미래(Near Future Only), 측정 및 검증 가능한 미래(Data Oriented), 미래를 만드는 힘 있는 주체에게만(Activity Oriented) 집중하여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 PDF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Libraries' Future Competency Programs and Social Awareness Survey (공공도서관의 미래역량 프로그램 현황 및 사회적 인식조사 연구)

  • Youngji Shi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4 no.4
    • /
    • pp.151-178
    • /
    • 2023
  • At a time when librari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institutions and spaces that can foster future capabilities, this study conducts a general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library programs related to the future capabilities and investigate the social awareness on libraries and future capabilities through big data analysis. As a result, first, programs are being planned and provided with the keyword of future capabilities, but most of them are limited to makerspace programs, edutech programs, and experience programs. Also, the detailed types of programs are limited to 3D print, coding, AR, VR, etc. In addition, current library programs related to future capabilities are not subdivided by each competency, these programs are provided in the comprehensive sense of future competency. Second, in the awareness survey through big data analysis, education, future capabilities, and libraries were found to be highly frequent, and it was seen that library reading, books, culture, and programs were related to strengthening future capabilities. Accordingly, in the future, libraries need to develop and provide systematic programs to cultivate future capabilities, and there is also a need to develop future capabilities improvement programs that take the life cycle into account.

미래의 직업-미국 정부가 제공하는 미래 부상 산업과 직업군

  • Park, Yeong-Suk
    • 대학교육
    • /
    • s.151
    • /
    • pp.40-45
    • /
    • 2007
  • 국민들의 최대 관심사는 과거가 아닌 미래이다. 세계 각국에서는 이러한 국민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20여 년 전부터 필수로 미래 예측을 하고 있으며, 예측한 정보를 자국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 2003년부터 교육부와 노동부가 함께 부상하는 직업이나 산업 등에 대한 정보를 거의 매일 알려주는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여기서는 미국 정부차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미래 부상 산업과 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미래 인터넷 서비스 기술

  • Kim, Do-Hyeon;Lee, Yeong-Hu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3
    • /
    • pp.11-20
    • /
    • 2008
  • 본고에서는 미래인터넷 등장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미래인터넷의 설계에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서비스 측면의 요구사항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인터넷 서비스 기술의 특징을 살펴보고 미래인터넷에 활용될 수 있는 서비스응용에 대해 알아본다.

'첨단기술 발전과 미래 도시 계획' 국제 포럼

  • Kim, So-Jin
    • 주택과사람들
    • /
    • s.197
    • /
    • pp.88-89
    • /
    • 2006
  • 미래 도시계획 학자들은 출생률 저하와 고령화가 심각해지면서 도심의 공동화가 심화될 것이라고 한다. 또 첨단 시대에 더욱 효과적인 주택 및 부동산 정책을 펴기 위해서는 미래의 인구 이동과 도시 변화에 대해 예측ㆍ분석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첨단기술 발전과 미래 도시계획'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국제 포럼에서 미래 학자들의 아이디어와 식견을 들어보자.

  • PDF

Projection in future drought of South Korea on SSP scenarios using SPI and SPEI (SPI와 SPEI을 이용한 SSP 시나리오에 대한 미래 가뭄 예측)

  • Song, Young Hoon;Choi, Hyuk Su;Chung, Eun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00-400
    • /
    • 2021
  • 다양한 기후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기후의 변화로 인한 기후 위기는 전지구적으로 아열대화와 사막화를 전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기후 변화로 인하여 담수 자원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부분 가뭄은 기본적으로 강수량 부족에 의해 발생되며, 기상변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가뭄을 정량화하기 위한 연구들이 빈번하게 수행되며 다양한 가뭄지수들이 개발되고 있다.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SPEI(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는 가뭄 연구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이며 특히, SPEI는 강수와 증발산 사이의 물수지에 대한 평균 조건을 고려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미래 가뭄 연구는 CMIP(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의 미래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데 새롭게 개발된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는 미래의 완화와 적응을 기반으로 5개의 시나리오로 구분되며, 사회 및 경제적 요소를 함께 내포하고 있어 현실적인 미래 기후를 예측할 수 있다. 과거 미래 가뭄 연구는 CMIP5의 미래 시나리오인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시나리오를 사용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새롭게 개발된 SSP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미래 가뭄 예측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SSP 시나리오의 중간 단계인 SSP2-4.5와 가장 높은 단계인 SSP5-8.5의 기후 요소를 토대로 사용하여 우리나라 미래 기간의 SPI와 SPEI를 4개(3-, 6-, 9-, 12-month)의 기간으로 구분하여 산정하였다. 시·공간적 분석을 하기 위해 가까운 미래(2025-2060)와 먼 미래(2065-2100)로 구분하였으며, 격자별로 가뭄의 심도와 발생 면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SPI의 근 미래 극한 가뭄(<-2.0)은 높았으나, 먼 미래는 오히려 전국적으로 가뭄이 줄어들었다. SPEI는 일부 지역에서 적당한 건조상태(-1.5 ~ -1.0)가 산정되었으나, 대부분 극한 가뭄이 발생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the large-scale climate ensemble simulations to analyze future changes of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미래의 강수 특성 변화 분석을 위한 대규모 기후 앙상블 모의자료의 적용)

  • Kim, Youngkyu;Son, Minwoo;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25-325
    • /
    • 2022
  • 본 연구는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현재 기후조건 대비 미래 기후조건에서의 강우 특성의 변화 분석을 목적으로, 대규모 기후 앙상블 모의실험 기반으로 생성된 d4PDF(Data for Policy Decision Making for Future Change)를 적용하였다. d4PDF 자료는 현재 기후조건에서 3000 개의 연 강수 자료를 제공하고, RCP 8.5 시나리오를 따르는 미래 기후조건에서 5400 개의 연 강수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각 기후조건에서 대규모 표본크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현재 기후조건과 미래 기후조건 사이의 강수 특성의 변화를 합리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연평균강수량 및 계절별 평균강수량은 미래 기후조건에서 10% 이상 증가하였다. 10 mm 이상의 규모를 나타내는 호우의 발생일 수는 3 일에서 4 일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연 최대 일강우량의 변화 및 특정 장기간 재현기간을 나타내는 확률강우량의 변화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래 기후조건에서 더 높은 평균 및 표준편차를 나타냈다. 이 결과는 미래 기후조건에서 연 최대 일강우량 계열들이 더 높은 규모를 나타내고, 더 넓은 분포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특징은 미래 기후조건의 특정 재현기간을 나타내는 확률강우량의 규모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현재 기후조건 대비 미래 기후조건의 확률강우량은 재현기간 10 년, 20 년, 50 년, 100 년, 200 년, 400 년에서 약 20%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특정 규모에서 강우의 재현기간이 미래 기후조건에서 더 짧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극한 규모의 강우량의 발생가능성이 미래 기후조건에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d4PDF 는 미래 기후에 따른 기존 강우의 특성 및 극한강우량의 변화 분석에 충분히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UI, Supporting Old Age's Prospective Memory (노인의 미래기억을 보조하는 UI)

  • Yoon, Yong-Sik;Lee, Seung-Yong;Lee, Kyung-Soo;Yoon, Jong-Sung;Song, Sun-Mi;Oh, Chang-Young;Sohn, Young-W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655-660
    • /
    • 2006
  • 노인들은 연령에 따라 기억력의 저하가 일어나면서 일상생활을 영유하는데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다. 정해진 시간에 약을 복용하는 것을 기억하거나 가스 불에 물을 끊인 후 끄는 것을 기억하는 것 등 의도한 행위를 실제로 수행하거나, 진행 중인 행위와 미래에 수행하여야 할 행위 등을 기억 (미래기억; prospective memory) 해야 하는 데 부담을 갖는다. 특히 노인은 시간-의존 미래기억(time-based PM)에서 다른 미래기억보다 연령에 따른 낮은 기억 수행을 보였다. (Einstein & McDaniel, 1995) 본 논문은 인터뷰와 설문을 통해 노인의 일상생활의 패턴을 파악하고, 일상생활과 비슷한 상황에서 노인의 시간-의존 미래기억(time-based prospective memory)과 노인의 자율성(autonomy)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UI 방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노인 실험 참가자는 사건의존 미래기억에서 의도와 연합된 '맥락 단서'를 제시하는 방식을 더 선호하였으며, 시간의존 미래기억 실험에서는 대학생 집단보다 미래기억 수행 시 외부 도구에 대한 강한 의존도를 보였다. 이는 적절한 미래기억 보조도구가 제시된다면 더 높은 수행을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roadmap through statistical meta analysis (통계적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기술개발로드맵 도출에 관한 연구)

  • Yu, Yeong-Sang;Park, Jeong-Seok;Jeong, Nae-Yang;Park, Chan-Geun;Heo, Tae-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104-112
    • /
    • 2008
  • A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rket goes more uncertain, foresight activities becomes more important. A number of foresight activities, such as trend analysis, have been used to predict customer needs. However previous studies tend to lack objectivity and systematization. In this study, we suggest a meta analysis methodology which combines both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 in order to systematize the analysis process. Secondly, we applied this approach to ICT market to identify essential future technologies.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meta analysis, we have constructed the future technology roadmap.

  • PDF

미래를 위한 선택(I)

  • Lee, Seong-Guk;Lee, Won-Ung
    • ETRI Journal
    • /
    • v.7 no.3
    • /
    • pp.68-82
    • /
    • 1985
  • 미래는 과거와 현재역사의 연속이다. 미래를 정확히 예측한다거나 예견할 수는 없다. 신이 아닌이상 지시할 수도 없다. 문제는 우리가 미래에 대해서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느냐가 문제이다. 우리 사회의 특성을 나타내는 급격하고도 커다란 변화들은 역설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미래대안"을 예측함으로써 이러한 혼돈된 결과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명성이 있는 여덟명의 석학-Zbigniew Brzezinski, Herman Kahn, Anthony J. Wiener, Daniel Bell, Willis Harman, Dennis Meadows, Willam Brown 그리고 Leon Martel-들의 장기예측 방법들을 평가, 분석하여 "Options for The Future"란 책을 펴낸 Tomas E. Jones의 견해를 중심으로 미래연구의 시작과 개발 그리고 예측방법론들을 정리해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