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래주택의 실내공간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레이너 밴험의 제2기계시대 건축디자인에 나타난 과학주의에 관한 연구 - 1950-60년대의 건축디자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cientifism in Architectural Design in the Second Machine Age of Reyner Banham - Focused on Architectural Design in the 1950's and 1960's -)

  • 김원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7호
    • /
    • pp.29-38
    • /
    • 2003
  • Reyner Banham characterized the Second Machine Age as the age of domestic electronics and synthetic chemistry in opposition to the First. It means technology and science would be popularized in the Second Machine Age. The Second Machine Age began in the mid-50's in which pop culture and SF became popularized. The architects in both Machine Age choose the scientifism as the motive of architectural design. But not all of them approach to the design with the pure theory of science. This study analyses the types of scientifism in architectural design in the 1950's and the 60's based on approaches to technology which might be classified as pragmatic, radical, and pop.

주부들이 원하는 아파트 실내공간의 평면구성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Space Composition of Apartment desired by Housewives)

  • 이선미;이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호
    • /
    • pp.173-180
    • /
    • 1998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grasp the current trends and to predict the future trends of spac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floorplans drawn by housewives as their ideal apartments.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This research used data from a competition held in 1993 by a housing construction company. Among 3,102 floorplans collected 12,232 were selected by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ome major features were interpreted as current trends; respondents wanted new rooms that could accomodate various functions separated the private spaces from public trends; they wanted to expand the verandah both visually and actually put importance on the number of bathrooms and have the space for outdoor living and leisure activities.

  • PDF

국내 미래주택관을 통해서 본 미래 주거기능 경향 연구 - 수도권 미래주택관 5곳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uture Dwelling Functions through Domestic Future House Pavilions - Focused on 5 cases of Future House Pavilion in the Metropolitan Area -)

  • 박종혜;신경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3-13
    • /
    • 2012
  • With the emergence of the smart era, interest in future society and new dwelling spaces is growing. This research analyzes the planning items applied to future house pavilions in Korea to examine which functions will be more emphasized and considered importantly in the dwelling spaces. This research paper aims to identify those dwelling functions that will occupy greater importanc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it comprised a literature review and an analysis of case stud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It was arranged that the dwelling functions were safety, amenity, convenience, independence, economics, society, relaxation, aesthetic appearance. 2) For future dwelling environments,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y for conservation of energy was important in addition to intellectual cutting edge technologies, 3) Safety was most basic among all dwelling functions, 4) Planning items related to amenity and economics were found to be most common, indicating that they were important functions in future dwelling environments, 5) With regard to convenience, planning items related to increasing efficiency of household chor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ubiquitous technology were found to be most common, 6) There was no indication of planning items related to independence and society, 7) Cutting edge technology and emotional technology appear to be integrated in planning items related to relaxation and aesthetic appearance, and 8) Each future dwelling pavilion suggested that over 80% of the planning items were related to amenity, convenience, and economics. We expect that the results from our research will be useful in creating a life-centered design of future dwelling spaces that account for dwelling functions.

  • PDF

내장타일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Wall Tile Design)

  • 김명근
    • 디자인학연구
    • /
    • 제21권
    • /
    • pp.185-194
    • /
    • 1997
  • 건축물의 마감재료인 내장타일은 생활공간에 많은 부분에 쓰여지고 있지만 제품이 연구되고 생산되고 판매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별로 많은 관심을 가지지 못했다. 생활문화의 발전과 주택의 고급화는 실내공간에서 차지하는 마감재에 많은 느낌과 관심을 가지게 되어 타일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디자인을 전공하는 디자이너들에게는 타일산업은 단지 요업분야로만 생각되어져 있어 별로 큰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 이러한 사고의 바탕으로 본 연구는 타일산업에서 차지하는 디자인의 비중과 디자인 방향과 역할을 여러 각도에서 접근하여 우리 나라 타일산업의 발전과 미래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도시형 타운하우스의 특성을 고려한 주택상품개발의 기본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ic Direction of Housign Product Develop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Townhouse)

  • 성기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77-89
    • /
    • 2020
  • 최근 주택시장의 경향을 반영하여 도시형 타운하우스의 개발이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생활주택으로서의 특성과 소비자들의 니즈를 잘못 판단하여 도시생활에 적합하지 않거나 무분별한 지역개발의 산물로 전락하는 등 많은 시행착오를 거듭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도시형 타운하우스의 장점은 사생활 침해나 가구 간 소음문제가 없으며, 개별정원과 주차공간의 확충, 접지성 확보, 개성 있는 내·외부 계획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방범, 방재, 보안 등 공동관리 효율성, 출입문 분리를 통한 연속벽 건축, 중앙광장, 공원 등 공용공간 계획 등의 공동주택 측면의 장점도 갖추고 있어서 도시형 주거유형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생활공간에 적합한 주택상품개발을 위한 기본 방향을 구축하여 도시형 타운하우스의 역할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생활주택으로서의 공간적 요소와 기능적 요소 및 재료활용을 파악하여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도시형 타운하우스의 주택상품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주생활 영역 교과내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필요성 및 요구도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Necessity and Demands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Housing Content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 최혜미;김선중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5-89
    • /
    • 2007
  •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 가정 주생활 영역 교과 내용에서 교사와 학생의 필요성 인식 및 요구사항을 비교하여 앞으로 주생활 영역의 새로운 탐색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교육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조사대상을 울산 지역의 중학교 가정 담당 교사와 고등학교 1학년 남 여 학생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메일 및 우편,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주생활 영역에 대한 교육 필요성 인식정도를 알아본 결과, 생활공간의 활용 영역에서 교사는 가구 이용과 배치, 물건의 정리와 수납이 높게 나타났고 학생은 가구 이용과 배치, 가구 종류와 선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내환경과 설비 영역에서 교사는 통풍과 환기, 온도와 습도가 높게 나타났고 학생은 통풍과 환기, 온도와 습도가 높게 나타났다. 주택의 유지와 보수 영역에서 교사는 주택의 유지 관리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생은 주택설비와 보수에 관한 내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앞으로 채택되길 바라는 주생활 영역의 교육내용을 알아본 결과, 주거 관련 일반 영역에서 교사는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주택, 미래에 나타날 주택에 관한 정보, 학생은 친환경적 주거환경,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주택이 채택되길 희망하였다. 실내디자인 영역에서 교사는 컴퓨터를 활용한 실내 공간 표현, 주택 재료의 종류와 특성, 학생은 사용하던 가구를 재활용하는 방법, 주택 재료의 종류와 특성이 채택되길 희망하였다. 주택 마련 방법 및 직업 영역에서 교사는 주택 관련 직업에 관한 종류, 학생은 주택 구입을 위한 자금 마련 방법과 주택의 절차 및 고려사항이 채택되길 희망하였다. 셋째, 주생활 영역에 대한 교사와 학생간의 필요성의 인식정도와 요구도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분석한 결과 서로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으로는 교사가 학생보다 필요성의 인식정도와 요구도가 높았으나 주택 설비 유지, 친환경적 주거환경에 관한 내용은 학생이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도심형 레지던스의 서비스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Space Planing of Urban Type Residence)

  • 이민혜;이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9-62
    • /
    • 2007
  • A tendency of active exchanges of newly-generated culture and mind following with the world globalization has been leading totally new concept of social level, its life style and spending habit. According to these social movements, people's way of thinking has been shifted from we-centered to I-centered, which generate (cause) individualism. The tendency of putting much weight on individuality prevailed in the society grows the social awareness on individual's needs and tastes and ultimately lead overall movement of longing for single life style. The rate for singles also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these days, and expects reach 30 percents of overall popularity in 2010. Therefore, various new concepts of residences for singles have been introduced recently, such as an office apartment, condominium and serviced residents, which combines concepts of both a hotel and an apartment. In this thesis, six examples of newly-styled residence for singles would be researched in every aspect, such as its service, facilities and so on. Although the fact of that overall service quality of new type residence now is well constructed and performed is derived from this research, I expect to contribute more various and advanced service quality into new social movement and new type of residences for single life, and finally provide satisfactory life style for singles.

  • PDF

BIM 설계 기술을 융합한 1인 주거공간디자인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patial Design in the One-Person Housing Space by Combining BIM Design Technology)

  • 김지은;박은수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2호
    • /
    • pp.101-112
    • /
    • 2019
  • 인간의 일상이 펼쳐지는 장소인 주거 공간은 크기에 상관없이 공간에 요구되는 역할 및 사항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주택 거주자의 수가 적을수록, 크기가 협소할수록 작은 공간 안에서도 모든 편의적 행위와 안락한 생활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세심한 고민과 디자인적 해결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1인 가구에 최적화된 새로운 개념의 1인 맞춤형 주거공간디자인 설계안을 바탕으로 보다 실질적인 부분의 설계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BIM의 장점을 활용한 융합 설계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BIM 설계 기술 공법을 1인 주거 평면디자인에 적용하여 실내건축 설계의 적합성 검토 및 공간 최적화 설계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공간 사용성 개선, 주거환경고려, 부재간섭 체크, 친환경 주거 시스템 적용, MEP 설계 항목에서 효용성 검증이 도출되었다. 이로써, 주거공간에서의 BIM 공간 설계는 다양한 공간디자인 요소를 실제 공간에 적용시키기 위해 2D화되어 있는 설계의 한계 및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적용된 대상인 1인 주거공간모델은 연구진이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다양한 1인 주거의 사회문화적 특수성을 근거로 하여 고안된 순수창작물로서, BIM 기술에 적용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설계의 가능성을 타진함에 그 의의가 있다.

스마트 공간에서 감성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건설사 미래 주택전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in Smart Space - Centered on Future Housing Gallery of Construction Companies -)

  • 김미실;문정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27-35
    • /
    • 2011
  • Various thoughts about the concept of space have brought a variety of paradigms to the trend. Just as existing information innovation applied activity and function of physical space for computers to overcome time and space limits, future space transplants intelligence to all the objects as organic whole in electronic and physical space by using IT technology to create emotional space. The most universal housing space in our living has had considerable changes in application of life style and technology. However, advanced technology space which corresponds to acceptance and desires of residents does not meet the needs and emotion of residents because of its limited network system. Therefore, it should be transformed into smart space which stimulates human emotion in the trend of advanced technology culture. As future residential space needs technological elements and design process which can stimulate human emotion, this study is to analyse it as a base of emotional design. This study aims to present characteristics of space image for space realization which meets the age of smart technology in terms of unifying smart space with emotional design, focusing on four future housing galleries shown by construction companies. First, the study speculated smart space in theory and classified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mart space into connectivity, sensitivity, reiteration and variability according to changes in space paradigm. Second, the study identified the background and main points emotional design appeared, analysed types of smart space based on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tion, connectivity and symbolism and speculated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in each type. In respect to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in smart space, organic connection and sensitivity are remarkably presented through experimentation and reiteration is presented through organic connection and experimentation, and variability through symbolism and experimentation.

중학생의 주생활 교육내용에 대한 관심도와 활용도 조사 연구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 and Practice of Housing Education Contents Based on Jeonbuk Province)

  • 진상윤;곽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81-94
    • /
    • 2004
  • 본 연구는 전북지역 중학교 3학년생 529명을 대상으로 기술$\cdot$가정 교과서의 주생활 교육내용에 대한 관심도와 활용도와의 관련성을 밝힘으로써 앞으로 효율적인 주생활 교육과정 운영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학생의 주생활 교육내용의 영역별 관심도는 전체적으로 중간정도였다. 모든 영역에서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관심도는 '생활공간의 활용' '실내환경과 설비' '주택의 유지와 보수' 의 세 영역에서 전체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생의 학업성적이 중위권 이상일수록, 부모의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상일수록.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위권 이상 높을수록 학생들의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주생활 교육내용 활용도도 중간정도이며. 모든 영역에서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났다. 즉, 세 영역에서 전체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생의 학업성적이 중위권 이상일수록, 부모의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상일수록 아버지의 직업이 전문직이거나 행정관리직 일수록.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위권 이상으로 높을 수록 학생들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학생의 주생활 교육내용에 대한 관심도와 활용도의 상호 관련성은 의미있는(p<.01) 수준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 주생활 교육내용에 관심도가 높을수록 실생활에 활용하려는 태도가 매우 높았으며. 긍정적인 활용태도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주생활 교육내용이 학습자의 적극적인 관심을 유발하고 실생활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미래사회에 적응해 나가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사회와 가족형태를 반영하고 그 속에서 가장 기본적인 인간의 욕구충족이나 의사소통, 역할수행 등에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환경오염. 에너지 절약. 자원의 재활용 둥의 개념과 실천방법도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하여야 할 것이다. 실생활에서 학습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방법을 찾아내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점진적인 개선을 한다면 보다 좋은 결과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