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래인재

Search Result 337,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Con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PA Analysis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유아역량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 Boo, Eun-Soon;Park, Ji-E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6
    • /
    • pp.536-544
    • /
    • 2020
  •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finding a plan for future teacher education in the future society by conducting an IPA-analysis of the abilities required for early-childhood who will become talented persons of the future society and the perceptions of early-childhood teachers about the era of the 4th-Industrial-Revolut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94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early-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Jeju. It used a questionnaire of the demand survey for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 for early-education based on the 4th-Industrial-Revolution. In the era of the 4th-Industrial-Revolution, the capabilities needed for early-childhood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in 2016 at the World Economic Forum "Jobs Future Report".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s background variables, the perceptions of early-childhood teachers and teacher education needs, and a t-test was conducted for each item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rly-childhood's competence. In the importance of competence required for infants who become talents for the future, the results showed that early-childhood teachers chose to have a high level of caring-sharing and curiosity-interesting ability. In the performance, they have a high level of caring-sharing and cooperation-communication ability.

입학사정관제 실시에 따른 창의적 체험학습활동의 현황과 과제

  • Lee, S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0.11a
    • /
    • pp.417-426
    • /
    • 2010
  • 현 정부의 대입제도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21세기형 우수인재를 발굴 육성을 위하여 공교육 정상화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아울러 입학사정관제를 활성화하여 사교육에 의존하는 사회풍조를 개선함과 더불어 과열경쟁으로 인한 사교육비를 경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창의적 체험학습활동을 통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고 글로벌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를 관리하기위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육과정의 현황을 창의적 체험학습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향후 과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Robot Based Curriculum for a University Education (대학에서 로봇이용교육 교육과정 개발)

  • Lho, Young-Uhg;Jung, Duk-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473-476
    • /
    • 2008
  •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는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과 탐구력, 문제해결력, 창의성을 갖춘 인재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인재를 키우는 것이 한 나라와 사회의 미래를 결정 짖는 핵심적이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이용교육과정을 제시한다. 그리고 개발된 교육과정에 따라 강좌를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상태로 설문 조사하고 이에 대한 분석과 개선점을 제안한다.

  • PDF

Education Based Robot for Improving Initiativeness (창의력 향상을 위한 로봇 이용 교육)

  • Lho, Young-Uhg;Jung, Duk-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8a
    • /
    • pp.117-120
    • /
    • 2008
  •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는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과 탐구력, 문제해결력, 창의성을 갖춘 인재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인재를 키우는 것이 한 나라와 사회의 미래를 결정 짖는 핵심적이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의 요소들을 분석하고 초중등학교에서의 로봇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동향을 분석한다. 그리고 대학에서 로봇 이용 교육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로봇이용 방법론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Learning to Creative Solve Problems using RDS (RDS를 이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방법에 관한 연구)

  • Ho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a
    • /
    • pp.154-155
    • /
    • 2010
  • 21세기 지식정보화 시대의 정보과학기술은 중요한 교육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 6T를 기반으로 융합 IT는 미래사회의 중요한 과학기술로 연구 발전 시켜나가고 있다. 최근 이러한 융합적 IT기술의 근원은 창의성 계발과 아이디어를 중요시하고 있으며, 창조적 인재육성을 지향하고 있다. 창조적 인재육성은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에 의한 두뇌의 발달과 창의적 설계를 가능하게 하므로 새로운 학습방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RDS를 이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융합 IT분야에서도 미래사회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지능로봇 분야의 창의적 설계와 응용을 학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RDS는 지능로봇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서비스 컴포넌트 기반으로 창의적 설계에 대하여 3차원 가상공간에서 학습자가 직접 프로그램으로 제작 실험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수학적, 과학적 학습의 효과를 동시에 IT에 접목할 수 있는 종합교육학습 시스템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시각적 시뮬레이션 환경(VSE)은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을 위한 경험과 실험을 동시에 실시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 PDF

한전 전력기술발전기본계획 발표 내용 및 의의

  • Byeon, U-Sik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359
    • /
    • pp.69-76
    • /
    • 2006
  • 우리나라처럼 가진 것 없는 나라가 성공할 수 있는 비결은 딱 두 가지다. 바로 기술과 인재다. 70~80년대 우리나라에게 기적적인 경제성장을 가져단 중 것 역시 사람과 기술이었다. 지금도 IT, 조선 등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일부 산업은 전 세계의 경제를 좌지우지 할 만큼 성장해 있다. 전력산업의 경우는 어떨까. 현재의 수준은 최고 수준이다. 하지만 미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갖췄다고 하기에는 아직 무리이다. 결국 미래에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장을 장악해 나가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은 사람이 만들어내는 것이다. 그에 따른 인재 양성도 어느 때보다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 한전 등 전력그룹사에서는 이러한 현안 과제를 해결하고 글로벌 종합에너지그룹 달성을 위한 세계 최고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목표 아래 향후 10년간 추진할 전력기술발전기본계획을 수립했다. 기본계획의 내용을 종합 정리해봤다.

  • PDF

A Study on the Project Learning for The Game Developers (게임 개발자 양성의 프로젝트학습 연구)

  • Oh, Hyoun 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99-10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게임 교육기관의 개발자 양성에 있어 프로젝트 학습법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교육에 있어 프로젝트 학습법의 기본 개념정리와 함께 이에 대한 궁극적인 목표, 운영과정과 활용에 대하여 선행이론을 검토하고 긍정적 효과와 유의점 등을 살펴보았다. 사례로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게임콘텐츠스쿨의 프로젝트 운영과정과 이에 대한 성과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긍정적인 면을 강조하는 동시에 한계점을 밝혔다. 미래사회의 다양성과 변화를 대비하는 측면에서의 교육 방향이자, 게임 개발자 인재육성에 가장 효율적인 학습법이 프로젝트 학습법임을 강조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이고 견고한 분석과 점검을 통해 한계점을 극복하고 더욱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향에서 학습자 중심의 미래형 인재 육성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rend Change and Policy Implications in SW Education (SW교육의 트렌드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연구)

  • Kim, Yo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623-625
    • /
    • 2019
  •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대가 되었고, 이를 학생들에게 교육하여 미래의 AI/SW 인재를 양성하는 것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해외 주요국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AI/SW 분야의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여러 부처에서 관련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W교육 관련 소셜미디어와 언론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국내 AI/SW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총 5개년도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연도별 SW교육의 흐름, 주요 등장 키워드, 연관 검색어들을 파악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미래의 AI/SW 교육 정책 수립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