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래유망기술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1초

인간의 6감각 기반의 미래 기술예측조사 및 유망기술 발굴 체제 연구 (A Study on Future Technological Foresight and Promising Emerging Technology Selection Frameworks based on Six Human Senses)

  • 조일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1-212
    • /
    • 2016
  • 기술예측이란 전략적 연구개발 분야 및 미래유망기술 도출을 위해 장기적인 과학, 기술, 경제, 사회 현상을 조사하기 위한 과정이다. 미래 기술예측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체계적인 방법론과 프로세스를 개발 적용하여 미래 기술의 수용성과 예측성, 참신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인간의 6가지 감각을 기반으로 한 미래 기술예측조사 및 유망기술의 발굴 및 선정을 위한 새로운 접근방식으로써 예측조사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 PDF

온톨로지 학습을 이용한 쿨벤더의 미래유망기술 키워드 추출 (Extracting keyword of emerging technology using ontology learning in cool vendor)

  • 이태균;신건철;김수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76
    • /
    • 2016
  • 최근 많은 기업 중에서 가트너는 매년 미래유망기술과 쿨벤더를 발표한다. 우리는 쿨벤더에서 제공하는 여러 정보들을 분석하여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키워드를 찾고 이것을 실제 기술명과 연관짓고자 한다. 이 모든 과정의 전체적인 그림이 온톨로지 모델에 담긴다. 이 연구는 향후 어떤 집단의 미래를 이끌어갈 핵심 기술을 찾고자 하는 결정권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IT KOREA 미래전략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R&D 발전방향

  • 김흥남
    • 정보와 통신
    • /
    • 제27권1호
    • /
    • pp.21-27
    • /
    • 2009
  • IT KOREA 미래전략 '5대 핵심과제'의 전략분야별 주요 이슈와 현재 R&D현장에서 추진 중이거나 추진 예정으로 있는 연구개발 방향과 유망기술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IT융합 부문은 IT와 상호 Win-Win 가능한 자동차 조선 의료 등 비(非)IT산업의 IT융합을 촉진하고, 시스템반도체 스마트SOC Green IT 등을 고도화한다는 전략을 토대로 4개 전략분야에서 23개의 유망기술을 발굴 제시하였다. SW 부문은 IT 분야 중 가장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SW산업을 하드웨어 인프라 등과 연계하여 세계시장 진출이 가능한 수준으로 동반성장 시킨다는 전략을 기반으로 R&D 연관성이 높은 2개 전략분야에서 11개의 유망기술을 발굴 제시하였다. 주력 IT기기 부문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등 이미 세계 시장에서 독자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하드웨어산업의 글로벌 주도권을 더욱 확고히 한다는 전략에 따라 5개 전략분야에서 유망기술 10개를 발굴 제시하였다. 방송통신 부문은 WiBro DMB 등 세계적 수준의 방송통신기술을 바탕으로 4G 3DTV 등 차세대 방송통신기술의 핵심원천기술을 개발하고, 국제표준을 확보한다는 전략을 기반으로 4개 전략분야에서 유망기술 8개를 발굴 제시하였다. 인터넷 부문은 UBcN 미래인터넷 정보보안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미래인터넷의 경우, 초기 개발단계부터 핵심원천기술 확보를 목표로 시스코 구글 등과 같은 세계적인 기업들을 배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는 전략에 따라 4개 전략분야에서 유망기술 8개를 발굴 제시하였다.

디지털 시큐리티 기술동향 (Trends of Digital Security Technology)

  • 오진태;김기영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1권5호
    • /
    • pp.110-119
    • /
    • 2016
  • 미래유망기술의 발굴은 국가차원의 미래 먹거리 창출이라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하지만 미래사회의 불확실성, 과학기술의 융복합화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실효성 높은 유망미래기술을 도출하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미래 비즈니스에 대한 통찰을 기반으로 미래 먹거리 창출이 가능한 기술에 대한 메가트렌드로 2015년 가트너가 제시한 '디지털 비즈니스를 향한 가트너 로드맵' 의 5번째 단계인 디지털 비즈니스에 대하여 알아보고, 디지털 비즈니스를 실현하기 위한 미래 핵심기술인 디지털 시큐리티를 기존 사이버 보안기술과 연계하여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미래 유망기술의 Weak Signal 탐지 방안 (Detecting Weak Signals of Emerging Technologies)

  • 최수길;김기영;오진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1권2호
    • /
    • pp.18-27
    • /
    • 2016
  • 국가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게 하려면 미래 유망기술의 발굴이 중요함은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융 복합화와 불확실성의 증가 그리고 기존 기술의 틀을 깨는 혁신적 기술의 등장 등으로 인해서 실효성 높은 미래 유망기술의 발굴이 어려워지고 있다. 미래 유망기술 선점을 위해서는 fast follower 전략에서 first mover 형으로 전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기술태동 초기의 weak signal을 파악해야 한다. 지금까지 weak signal 탐지는 주로 전문가 기반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분석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대상 분야가 넓어지고 분석할 데이터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정량적 데이터 분석을 보완적으로 사용하는 방향으로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텍스트 분석을 통한 weak signal 탐지기술은 아직 기초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어서 관련 연구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 PDF

TCM 기반의 미래기술 전망 (Prospect on the Future Technologies Based on TCM)

  • 정지형;이승민;김정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0권2호
    • /
    • pp.14-21
    • /
    • 2015
  • 나날이 빨라지는 기술혁신의 시대에 새로운 경제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미래 유망기술을 선제적으로 포착하고 연구개발을 통해 해당 기술의 주도권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 시장, 산업, 기술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미래에 유망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개발 영역을 발굴하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ICT 융합기술의 발전 방향성, 인문사회적 미래변화 양상, 기술이 탄생되고 소비되는 산업과 시장의 특성 변화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해 미래 유망기술을 분석하고 전망하는 방법론으로써 TCM(Tech-Contour Map)을 제안한다. TCM 방법론을 매력도와 생존력이라는 관점에서 미래기술이 가진 특성을 분석해 향후 기술의 진화양상을 전망한다.

  • PDF

기술예측결과로 도출된 아이템의 재평가 방법 (Evaluating the Items Derived from Technology Foresight)

  • 박영욱;홍성화;이준영;김강회;여운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797-809
    • /
    • 2012
  • 미래유망기술은 그 중요성으로 인해 국내외 유수의 기관에서 발표를 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후행평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잘못된 정보는 큰 시행착오를 초래하게 되므로, R&D 기획 단계에서 과거에 발표되었던 유망기술을 한 번 더 확인하는 작업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평가 프레임워크가 과거 발표된 미래유망기술에 대해 신속하고,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인 평가방법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제품화가능성과 구매가능성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각각 특허와 뉴스 정보를 근거로 측정되는 것으로, 제품화가능성은 유망기술이 관련 응용 제품으로 구현될 가능성을 계량화한 것이고, 구매가능성은 소비자들이 응용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을 수치화한 것이다. 제안된 평가프레임워크를 설명하기 위하여 LED와 LCD를 비교했하였고, 그 결과 평가시점(2011년)에서의 유망성은 LCD가 LED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보고서의 결과와 일치한다.

미국의 e-내비게이션 특허정보를 활용한 AI(인공지능) 기반 미래유망기술 탐색 (Exploring Future Promising Technologies Based on AI Using US e-Navigation Patent Information)

  • 송환빈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9-350
    • /
    • 2017
  • e-내비게이션은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가 2020년 국제적인 시행을 목표로 도입한 차세대 해양안전 종합관리시스템이다. 각종 해상 운항정보를 디지털화 해 선박 운항자에게 실시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 준다. 육상에서 차량용 내비게이션처럼 선박을 운항하는 데 운항항로, 날씨, 돌발 변수 등을 제공하면서 선박 사고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크루즈와 같은 큰 선박부터 작은 낚시용 선박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해수부는 2020년 이후 약 1,000조원의 시장이 열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진입 장벽이 높은 해상장비 시장에 우리나라도 ICT 강점을 바탕으로 디지털로 변화하는 이 시장에 주도권을 잡기 위해 노력중이다. 이를 위하여 e-내비게이션 분야의 미국 특허정보를 확보하여 DB화 하고, DB에서 제공하는 특허적 행위(M&A, 특허 매입, 신규 R&D 등)를 중심으로 하는 미래기술예측 분석틀을 활용하여 유망기술을 발굴하고자 한다. 미래기술예측 분석틀은 미래기술예측의 3대 주제를 (1) 미래 기술의 대상과 범위, (2) 미래 기술의 주인과 수혜자, (3) 미래 기술로의 투자 시점으로 설정하고, 3~10년까지의 근미래(Near Future Only), 측정 및 검증 가능한 미래(Data Oriented), 미래를 만드는 힘 있는 주체에게만(Activity Oriented) 집중하여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 PDF

바이오 미래유망 연구분야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mising Future Biotechnology)

  • 감주식;김무웅;박상대;현병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45-368
    • /
    • 2012
  • 과학기술이 경제사회의 핵심동력으로 작용하면서 향후 산업발전 및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과학기술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신규 유망기술 발굴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주요 선진국에서는 미래 유망기술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이 추진 중에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미래기술 예측을 위한 모델 및 조사체계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성장동력으로 각광받고 있는 바이오 분야에 대한 미래유망 연구 및 기술에 대한 도출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바이오 분야 논문을 수집 및 분석하고 주제를 확인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주요 연구 분야를 도출하고자 한다. 텍스트마이닝 기법으로 논문등고선을 분석하여 바이오 분야의 중점 연구분야를 도출한 후, 심층분석을 통해 세부적인 연구동향 파악으로 미래유망 바이오 중점 연구테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유망기술 후행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ng Forecasting Result about Emerging Technologies)

  • 박영욱;홍성화;이준영;여운동;이후민;최성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9-440
    • /
    • 2011
  • 미래유망기술정보는 차세대 제품을 개발하려는 기업뿐만 아니라 R&D를 수행하는 연구자에게도 중요한 정보이다. 그런데,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많은 기관에서 발굴은 하지만 그 결과를 평가하는 사례는 드문 게 사실이다. 본 고에서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미래유망기술정보의 후행평가 모델을 정립하기 위하여 국내외 사례를 조사,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미래유망기술 후행평가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