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래과제

Search Result 74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effect of task appropriate processing of on-going task on event-based prospective memory (동시과제의 처리 적절성이 미래계획기억 수행에 미치는 효과)

  • Park, Young-Shin;Rim, Jae-Hee;Jang, Mi-Suk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2 no.4
    • /
    • pp.449-467
    • /
    • 201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ask appropriate processing on prospective memory(PM). The TAP was manipulated with list type within study phase and association category type among PM target words. Associated word lists used for ongoing task were consisted of semantically associated lists and orthographically associated lists. Target words for PM task were consisted of city names or words for ending with the letter of '도'. According to the TAP view, PM performance would be better in the condition of task appropriate processing rather than in the condition of task inappropriate processing. Total fifty students volunteered for two experiments for the present study. The main finding was that PM performance was influenced by the task appropriate processing with ongoing task. In other words, PM performance was facilitated when association type between ongoing list and PM target word was same. Second, ongoing task performance was also influenced by task appropriated processing.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ask appropriated processing theory and previous studies.

  • PDF

미래의 원자력 안전과 도전 과제

  • Choe, Gwang-Sik
    • Nuclear industry
    • /
    • v.27 no.9 s.295
    • /
    • pp.8-13
    • /
    • 2007
  • 본 특집은 '제13회 원자력안전의 날'을 맞이하여 향후 2030년의 미래 원자력 안전을 전망하면서 여기서 예상되는 도전 과제를 도출하여 이의 대응 방향을 논의하고 산업계.연구계.학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중장기적 원자력 안전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자 '미래의 원자력 안전과 도전 과제'라는 주제로 개최한 2007년 제2회 원자력안전포럼(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주최 / 2007. 9.11.)의 내용이다.

  • PDF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적응정책

  • Bae, Deok-Hyo;Kim, Seong-Jun;Kim, Hyeong-Su
    • Water for future
    • /
    • v.47 no.1
    • /
    • pp.40-47
    • /
    • 2014
  • 기후변화-수자원 적응과제들의 성공적인 수행과 결과물의 활용을 위해서는 안전행정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물관련 정부부처간의 긴밀한 협조체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1)안전행정부의 재난관련 방재패러다임 전환 및 위기관리 체계강화를 위한 추진과제(자연재해 지자체 방재시스템), (2)환경부의 기후변화에 따른 물환경관리 대책 추진과제(비점오염, 수질, 수생태, 습지), (3)농림축산식품부의 농업수자원 및 산림자원 확보 추진과제(농업용수, 산림재해) 등의 진행상황 및 결과의 공유체계 및 공동활용을 위한 채널구축이 필요하다. 포럼에서의 의견으로서, 타분야 특히 산업일선에서는 이미 기후변화에 따른 적응정책과 더불어 관련기술의 개발이 진행되어 우리 수자원분야는 많이 늦은 감이 있다는 지적, 그리고 제시된 기획과제 중에서 제4세부과제인 수자원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술개발이 매우 중요하다는 언급이 많았다. 이에 저자들은 수자원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농업 그리고 에너지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협력연구(Water-Food-Energy Nexus)를 통하여 세 분야의 통계기반, 정보공유, 융합가치 등의 제반연구는 매우 중요한 미래과제라고 강조하였다.

  • PDF

STEPI 포럼 지상중계 - 미래창조과학부의 2014년 정책과제와 방향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Science & Technology Policy
    • /
    • v.24 no.1
    • /
    • pp.88-92
    • /
    • 2014
  • 1998년 10월 제1회를 시작으로 2014년 3월까지 총 372회를 개최한 과학기술정책포럼은 산 학 연의 기술혁신, 연구개발전략 및 과학기술정책 전문가와 정부의 정책담당자를 직접 초청해서 과학기술정책 현안과제에 대해 공개적인 토론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정기적인 세미나이다. 이 글에서는 2014년 3월 5일 미래창조과학부 이상목 제1차관을 초청해서 진행된 372회 과학기술 정책포럼 "미래창조과학부의 2014년 정책과제와 방향"에서 논의된 내용들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