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디어 환경

Search Result 5,336, Processing Time 0.064 seconds

Dynamic Multimedia Sonics Distribution Architecture by using Proxy in Wireless Network (무선 네트워크에서 Proxy를 이용한 동적 멀티미디어 서비스 분배 아키텍쳐)

  • 최기철;우시남;안순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703-705
    • /
    • 2004
  • 최근 무선 통신이 급속도로 발달하면서 무선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전송에 관한 많은 연구가 되어지고 있고, 그 중에서도 미디어 서버를 두어 무선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용시키는 경우도 많아졌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인코딩, 압축 방법 및 무선 전송방법에 대해서 연구가 되어졌다. 네트워크 관점에서 무선 멀티미디어 환경은 미디어 서버 성능의 제약성 때문에 많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멀티미디어 서비스 분배 아키텍쳐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미디어 서버의 오버헤드를 줄임으로 인해 보다 효율적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 PDF

Adaptive Scene Description Method for Heterogeneous Devices (다양한 단말에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적응적 장면 기술 방법 연구)

  • Kim, Byungchul;Kim, Kyu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248-251
    • /
    • 2010
  • 현재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기존의 텍스트 위주의 사용자 환경에서 벗어나 오디오, 비디오뿐만 아닌 이미지, 그래픽, 텍스트 및 미디어 관련 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과거 TV와 컴퓨터 등 한정된 기기에서만 제공되었지만, 최근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 등 미디어 기기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단말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다양한 단말을 대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의 기술에서는 동일한 콘텐츠를 각각의 단말의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였다. 그러나 IPTV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고, 유선과 무선 간에 자유롭게 데이터를 주고받는 환경에서 단말 마다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서비스 시나리오의 복잡도를 높이고, 다양한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통합되지 않은 서비스를 제공 받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동일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단말기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인 적응적 장면 기술을 제시하고, 그 효율성에 관하여 검증한다.

  • PDF

An Error Manager for Web Based Multimedia Collaboration Work Environment (웹 기반 멀티미디어 협력 작업 환경에서의 오류 관리기)

  • 고응남;황대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252-25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멀티미디어 협력 작업 환경에서의 오류 관리기에 대해서 기술한다. 웹 기반 멀티미디어 협력 작업 환경은 멀티미디어 협력 작업에 웹의 동기화 기술을 확장한 웹노트, 즉 복제형 구조에 기반한 응용 공유의 동작 원리를 이용하여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오류 관리기의 기능에는 오류 검출과 복구가 있다. 웹 상에서의 세션 유지와 복원을 위하여 웹 세션과 직접 연관된 프로세서만을 주기적으로 폴링(polling)하여 오류 감지를 수행하고 복구를 위하여 복원이 가능한 경우에는 단순 재실행 방법을 사용한다.

  • PDF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4 s.59
    • /
    • pp.30-32
    • /
    • 1998
  •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상호작용하며 주로 멀티미디어 지향적이다. 그들은 부가적인 멀티미디어 요소들은 거의 포함하지 않고 있다.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주요기능들은 상호작용하는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지향, 동기성 등이다. 동기성과 지향성 환경은 결정적이다.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저장된 방대한 양의 미디어 요소들은 반드시 구획화되고 효과적으로 접속되어야 한다.

  • PDF

멀티미디어 기술 기반 방송제작 체계

  • 김경수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20 no.5
    • /
    • pp.10-16
    • /
    • 2002
  •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의한 디지털 방송의 도입은 방송환경에 커다란 변혁을 초래하고 있다. 기술의 발전은 방송, 통신, 컴퓨터를 융합시킨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를 등장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미디어의 융합은 지금까지 독자적인 영역에서 발전하여 오던 각각의 미디어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성 또는 단점을 상호보완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서비스 능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와같은 디지털 시대의 대변혁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그 중심축으로 하고 있으며, 이른바 방송통신 융합시대의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미디어간, 국가간의 경계영역을 초월한 글로벌 경쟁체제가 급속히 진전되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미디어의 융합 현상에 따라 제작 환경도 새로운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도록 전환되어야 한다. 디지털 방송의 특징인 고품질 및 다채널 시대를 맞아 방송 콘텐츠의 재활용도를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데이터 방송, 인터넷 방송 등 다양한 기능의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해선 제작 체계의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제작 환경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컴퓨터 기반의 제작 환경 구축에 핵심 요소인 넌리니어 편집시스템과 방송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테이프 대신 하드디스크를 기록 매체로 하는 넌리니어(non-linear) 시스템의 등장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정립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 제작환경, 즉 네트워크에 의해 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제작으로부터 송출가지 통합관리가 가능한 새로운 방송 프로그램 제작환경, 이른바 멀티미디어 제작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디지털 방송 시대의 방송 사업자에게 가장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가 되었다. 멀티미디어 제작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영상, 음성 및 다양한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필요한 영상 이미지를 자유롭게 합성, 조작하는 등, 매우 다양하고 편리한 제작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를 응용한 제작 분야로서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은 방송의 사전제작에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으며, 이미 선거방송을 비롯한 여러가지 프로그램은 가상스튜디오와 가상캐릭터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방송사업자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제작시스템을 근간으로 영상검색, 영상 합성, 스크립트 편집, 가상현실 응용 등 고도의 제작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사용자 친화성, 다이나믹한 표현, 실시간, 대화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f Media Trust Factors using YouTube Data (YouTube 데이터를 활용한 미디어 트러스트 요소 연구)

  • Moon, Seunghyeon;Jung, Sungkwan;Park, Hea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11a
    • /
    • pp.158-159
    • /
    • 2018
  • 정보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적절한 검증을 거치지 않은 미디어 콘텐츠가 공급되고 소비되는 미디어 소비 환경이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적절치 않은 미디어 콘텐츠의 유통을 제어 하기 위해 기존의 보안 및 인증 기술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기에 새로운 접근 방법의 고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전한 미디어 콘텐츠 소비환경 조성을 위한 미디어 트러스트(Trust)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위한 미디어 트러스트에 영향을 주는 4 가지 트러스트 요소들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된 요소들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YouTube 데이터의 활용 방안에 대해 기술한다. 이러한 접근 방법을 통해 미디어 소비환경에서의 트러스트 개념에 대한 연구 및 기술개발을 활성화 시키고자 한다.

  • PDF

A Concept of Media-Environment and Its Policy Implications: Focusing on the Policy Discussions Concerning the Public Interest Idea (미디어 환경개념의 정책적 함의: 공익성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 Kim, Pyung-Ho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43
    • /
    • pp.152-172
    • /
    • 2008
  • The convergence of media poses serious challenges to technologies, industries and policy makers. At the core of the challenges lies a socially and culturally problematic condition of 'media unlimited.' Under the circumstances, the idea of public interest of the media seems to lose its intervening leverage as it flounders in countering 'the media torrent' rushing from the exponential growth of ICTs that overwhelms contemporary life and society. It is an urgent task for the critical community to blaze fresh new thoughts about the idea to intervene in the current age of media excess. Beyond the conventional content-conduit-centered perspective on the media, this study suggests a media-environment concept based on media ecology as an engaging leverage to replenish the public interest idea. The environmental approach to the media means literally to conceptualize the media as environment--a cultural eco-system.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ecological approach in enriching the conceptual terrain of policy discussions and policy-making processes concerning the public interest idea that hopefully enlightens all the media actors concerned.

  • PDF

An Error Control for Media Multi-channel Running on Home Network Environment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미디어 다중채널을 위한 오류 제어)

  • Ko E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1-164
    • /
    • 2006
  • 미디어 데이터는 별도의 채널을 할당하여 채널 별로 단일 미디어 정보를 순서대로 전송 함으로서 동일 미디어 데이터는 순서가 변할 우려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다채널 방식에서는 미디어간 동기화 문제를 유발 시키는데 수신 측에서는 새로 발생된 데이터의 시작 시점을 서로 맞춤으로서 미디어간 동기화를 실현하였다. 새로운 미디어의 시작 시 항상 제어 데이터를 먼저 전송하여 새로운 미디어 데이터의 생성을 모든 참여자 프로세스에 알린다. 제안하는 오류 제어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프레임워크에서 오류 발생시 오류를 하나의 미디어로 취급하며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프레임워크에서 다채널 방식을 사용한다.

  • PDF

Design of a Multimedia System on the Web (웹 기반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설계)

  • 임재걸;이계영;태돌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664-666
    • /
    • 2000
  • 기존에는 웹 환경에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고정된 미디어들 위주로 표현하였지만, 최근 웹이 상업화, 대중화, 멀티미디어화 됨에 따라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미디어들이 결합된 연속적인 멀티미디어로 표현되어야 한다. 이러한 미디어들간의 통합 작업에서 요구되는 것이 미디어들 간의 동기화이다. 본 논문에서는 웹 환경에서 연속적인 멀티미디어를 작성하고, 재생할 수 있는 웹 기반의 멀티미디어 시스템(Multimedia System on the Web:MSW)을 설계하고, 멀티미디어의 모델링과 미디어들 간의 동기화를 위하여 MPNW(Multimedia Petri Net on the Web)을 제안한다.

  • PDF

A Web Note Error Manager for Multiple Session on a Web Based Collaboration Work (웹 기반 공동작업에서의 다중 세션을 위한 웹 노트 오류 관리)

  • 고응남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965-96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서의 다중 세션을 잘 유지하기 위하여 웹 노트 오류 제어를 위한 관리기에 대해서 기술한다. 웹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은 멀티미디어 협력 작업에 웹의 동기화 기술을 확장한 웹 노트, 즉 복제형 구조에 기반을 둔 응용 공유의 동작 원리를 이용하여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각 세션의 생성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는 생성된 서비스 제공자 인스턴스를 생성하게 되고 이 인스턴스는 부모인 서비스 제공자의 자원을 이용하여 다수 세션을 지원한다. 이러한 환경에서의 웹 노트 오류 제어 시스템을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