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디어 지능화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Development of Fir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tandardized Data Transformation on Digital Twin (디지털 트윈에서의 표준 중개변환기술을 활용한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 Hong, Sang Gi;Im, Seon-Hwa;Kim, Su-Cheol;Lee, Ga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5-17
    • /
    • 2021
  • 사물인터넷 등, ICT 기술을 활용하여 현실의 공간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초정밀 가상 공간정보 기술과 융복합하여 제공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트윈 기술은 제조, 교통, 에너지, 환경, 의료 등 다양한 현실 세계의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확장되고 있다. 본 논문은 재난 안전, 특히 화재 안전분야에서 디지털 트윈 시스템 적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화재 안전과 관련하여 다양한 센서의 수집 및 융복합처리와 디지털 트윈을 위한 표준중개 변환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센서객체 및 공간 객체 모델링을 통하여 디지털 트윈 공간을 구성하고 수집된 다양한 화재안전정보와 맵핑 및 분석을 수행하는 디지털 트윈 화재 안전시스템을 제안하고,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 PDF

Trends in Programmable Object-Based Content Production Technologies (프로그래밍 방식의 객체 기반 영상 콘텐츠 제작 기술 동향)

  • Lee, J.Y.;Kim, T.O.;Choo, H.G.;Lee, H.K.;Seok, W.H.;Kang, J.W.;Hur, N.H.;Kim, H.M.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7 no.4
    • /
    • pp.70-80
    • /
    • 2022
  • With the rapid growth in media service platforms providing broadcast programs or content services, content production has become more important and competitive. As a strategy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global consumers for a variety of content and to retain them as long-term repeat customers, global over-the-top service providers are increasing not only the number of content productions but also their production efficiency. Moreover, a considerable amount of scene composition in the flow of content production work appears to be combined with rendering technology from a game engine and converted to object-based computer programming, thereby enhancing the creativity, diversity, quality, and efficiency of content production. This study examines the latest technology trends in content production such as virtual studio technology, which has emerged as the center of content production, the use cases in various fiel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metadata standards for content search or scene composition.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ossibility of using object-based computer programming as one of the future candidate technologies for content production.

Design of Solution for An Efficient Automatic Order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기반 효율적인 자동 발주 솔루션 설계)

  • Kim, Chang-Hwan;Keum, Min-Kyung;Oh, Am-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559-560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생산 업체와 공급 업체 간의 공급망의 가시성, 안전성, 효율성 향상을 위한 물류 표준을 준수하며 고도화 및 지능화된 스마트 SCM 솔루션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물 인터넷,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공급망의 가시성, 안전성, 효율성 향상을 위한 물류 표준을 준수하며 고도화되고 지능화된 효율적인 자동 발주 솔루션을 제시한다. 자동 발수 솔루션은 협력업체와의 생산계획정보, 발주정보, 납품정보, 품질판정정보, 재고현황 등의 제품 데이터를 실시간 공유하는 웹 기반 솔루션이다.

  • PDF

A study on the integrated interworking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warning system for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재난정보전달을 위한 예·경보 시스템 통합 연동 및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 Oh, Seung-hee;Jung, Woo-Sug;Lee, Yong-Tae;Kim, Ky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492-49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단체(지자체)에서 관리하는 다양한 예·경보시스템들이 별도의 서버로 관리되어 다원화 운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공하는 정보의 내용과 범위도 통일되지 않았던 문제점과 중앙 정부에서 재난정보 전달에 대한 결과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이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및 시스템에 대해서 제안한다. 제안하는 차세대 통합 예·경보 플랫폼은 웹서비스 형태로 접속하여 부여된 권한에 따라 재난정보를 한 번의 클릭을 통해 다양한 매체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난정보 전달에 대한 결과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예·경보시스템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차세대 통합 예·경보 플랫폼의 구조 및 전달하는 재난정보 프로파일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기존 예·경보 시스템을 통합 연동 및 관리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 PDF

A Development of FMCW Radar Signal Processing System (FMCW 레이더 신호처리 시스템의 개발)

  • 박홍민;최진우;신천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20-23
    • /
    • 2001
  • 전자공학 기술의 응용으로 자동차를 지능화하고, 안정성을 현격하게 높이려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지능화에서 중요한 요소 기술이 되는 것이, 자동차의 주변 즉 전방/후방의 차량이나 장애물을 인식하는 주변감시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자동차용 장애물 인식 레이더 시스템인 FMCW 레이더 신호처리시스템을 개발한다. 이 차량용 시스템이 실제 도로 환경에서 이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스템의 안정된 신뢰도가 요구되며, 즉, 기상환경 및 다양한 도로환경에 무관하게 안정적인 시스템 신뢰도를 유지하기 위한 개발에 그 최종적인 목적이 있다. 이에 레이다 시스템을 통해 자차와의 거리 및 상대속도를 인지함으로서 최종적인 장애물(선행차, 교행차) 및 자차의 주행상황을 통해 안정적인 주행경보시스템을 개발한다.

  • PDF

Media and AI Technology: Media Intelligence (미디어와 AI 기술: 미디어 지능화)

  • Cho, Y.S.;Lee, N.K.;Choi, D.J.;Seo, J.I.;Lee, T.J.;Park, J.K.;Lee, H.W.;Kim, H.M.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5 no.5
    • /
    • pp.92-101
    • /
    • 2020
  •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become the hottest topic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in recent years.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AI technology,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cloud, and high-speed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re being applied to existing media areas in earnest, affecting all parts of the media value chain from content production to consumption. AI technology is now spreading across the media industry faster than any other industry. In the future, the gap between those with and without AI technology will widen, further deepening the polarization of the media ecosystem. Media intelligence, which combines media and AI technologies, is now perceived as essential, not optional.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by major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on how AI is being utilized in the media industry. In addition, we discuss what technology should be developed to lead media intelligence.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Strategy of Education based on Smart Media in the Environment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nvergence (방통융합 환경에서의 스마트미디어 기반 교육 현황 및 전략 연구)

  • Lee, Sa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513-516
    • /
    • 2020
  • 방통융합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가 진화함에 따라 기존 미디어 환경은 실감화, 지능화, 연결화, 융합화 되는 스마트미디어 시대로 진입하면서 인간 생활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기존 교육 환경이 학교의 틀에서 일방향의 형태로 지식을 전달하는 체제이지만,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진입하면서 사회는 굳은 조직과 질서의 틀을 벗어나 빠르게 다변화 하고 복잡해지는 사회 구조가 되어 가고 있어 지식을 쌓는 전통적인 교육보다는 당면한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 역량을 키워주어야 사회에서 적응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미디어를 교육 시스템에 활용하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적합한 창의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며 학습의 성취도, 만족도, 몰입도 등에서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현재와 미래의 융합미디어 환경에서 바람직한 교육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Collaborative Filtering Analysis and Application (협업 필터링 방안 분석 및 적용 분야 연구)

  • Lee, Seung-Hee;Park,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353-354
    • /
    • 2010
  • 최근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필터링하여 자동으로 추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참여형, 개방형, 공유형 서비스들의 증가와 함께 웹 3.0 시대에는 더욱 지능화되고 개인화된 서비스가 중요시되고, 이를 위한 맞춤형 정보 제공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맞춤형 추천 방법의 대표적인 기술인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방안 분석에 대해 설명하고, 협업 필터링 방법의 적용 연구를 설명한다.

핫클립 생성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 지능화

  • 홍순기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8 no.2
    • /
    • pp.43-52
    • /
    • 2023
  • SBS에서는 다년간 지속적으로 핫클립 생성 딥러닝 기술을 방송 시스템에 적용하여 업무 효율을 높이려는 시도를 하였다. 본 기고문에서는 그동안 누적된 SBS의 핫클립 생성 딥러닝 기반 방송 시스템의 기획, 개발, 적용 및 운영 사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려 한다. 또한 구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과 그에 대한 해결책도 공유하려 하였다. 본 기고문에서 소개할 딥러닝 기반 방송 시스템은 하이라이트 구간 예측, UHD 방송 A-ESG 서비스 운영 시스템, 유튜브 채널 운영 시스템, 매쉬업 콘텐츠 제작 지원 시스템 등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