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디어경험

Search Result 93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Remediation of Digital Camera and Connection of Media (디지털 카메라의 재매개와 미디어의 연계)

  • Park, Seong-J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678-684
    • /
    • 2007
  • 미디어 융합과 포화의 문화에서 미디어의 전경과 미디어를 매개로한 문화는 과거와 다른 새롭고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하나의 미디어는 고립되어 존재하지 않으며, 다른 미디어들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고 이용자 수준에서는 다양한 미디어들과 연계를 통해 새로운 경험과 문화를 형성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사진 이미지를 미디어와 미디어 이용의 차원에서 이론적으로 또 경험적으로 접근하고 설명하려는 한 시도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미디어로서 과거와 동시대의 다른 미디어들과의 관계 속에서 미디어 및 관련기술들의 발달에 따른 영향을 주고받으며 더 나은 카메라로 개선되고 카메라 이상의 또 다른 미디어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용자 수준에서 디지털 카메라로 생산된 디지털 사진 이미지는 미디어들의 연계를 통해 관리, 유포, 감상, 소비되면서 다양한 유형의 경험과 새로운 이미지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카메라의 변화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디지털 카메라 이용자들에 대한 미디어 이용 조사를 통해 하나의 미디어로서 디지털 카메라가 다른 미디어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용자 수준에서 디지털 사진을 매개로한 미디어 연계를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미디어 융합과 포화의 문화에서 미디어 변화와 미디어 연계의 한 사례를 설명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Relationship of Webmedia addictive Experience and Self-identity (웹미디어의 중독적 이용 경험과 개인의 자아정체성에 관한 연구)

  • Kim, Sung-Byuk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28
    • /
    • pp.7-41
    • /
    • 2005
  • This study emphasized the self-examination to using webmedia. Proliferation of media-mediated experience cause the reduce and infringe of human experience, and It is suggested to problem to negative operation for Self-identity. Expecially, A tendency of addictive using of Webmedia produce the serious anxiety. Based on this discussion, the relationship of web-media addictive experiences and Self-identity has been studied. There are 9 groups of panels who are divided by using degree of web media experience, the quantitative dimension and addictive involvement, the qualitative dimension. As a result high significance was suggested between the level of web-media addictive experience and Self-identity. Expecially, highly web media experienced group has less Self-identity than low web-media experience group. therefore, Concerns on Web-media mediated experiences were demonstr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erms of web-media experiences, addictive involvement level affects more meaningfully to the Self-identity than quantitative dimension approach.

  • PDF

Co-Experience: Enhancing Interactive Experience of Users on Social Media through Tangible Interaction (공동경험 -촉지적 상호작용을 통한 소셜 미디어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에 향상에 대한 연구)

  • Lim, Seong-Taek;Park, Cha-La;Cha, Sang-Yun;Moon, Jee-Hyun;Lee, In-Seong;Kim, Jin-W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868-875
    • /
    • 2009
  • 최근 페이스북 (Facebook), 유투브 (YouTube) 등과 같은 소셜 미디어 서비스가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이론으로는 사용자간 상호작용에 중점을 둔 소셜 미디어 상의 사용자 경험을 충분히 설명하기에 부족한 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에 대한 철학적인 고찰을 통해 기존 사용자 경험 개념을 보완하는 개념인 공동경험을 재정의하였다. 촉지적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들간에 향상된 품질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져, 사용자들의 공동경험 지각이 증가한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 목적의 소셜 미디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 시스템 상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에 대한 분석과 연구의 의의가 제시되어 있다.

  • PDF

Media Experience in multi-Layered Space through Media Art (미디어아트 기반 다층공간에서의 미디어 경험)

  • Kang, Yoon Jeo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3
    • /
    • pp.635-641
    • /
    • 2024
  • Based on Merleau-Ponty and Lakoff's research on the inseparability of body and mind, this thesis seeks to explore the impact of experiences in multi-layered spaces based on media art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existence. The sensory experience provided by media art strengthens the viewer's physical presence and induces a new perception of reality by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Through this, it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newly recognize and explore the deep relationship between human existence and the world. This paper analyzes how media art can be an important means of expanding existential experience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body and mind, and explains how the combination of art and technology contributes to ontological understanding.

User Expectation Experience of Flexible Display Interfac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기대경험)

  • Chung, Seung Eun;Yoon, Young Sun;Lee, Ram;Lim, Yeon Sun;Choi, Ho Jeong;Ryoo, Han Young
    • Design Convergence Study
    • /
    • v.15 no.2
    • /
    • pp.301-317
    • /
    • 2016
  • Flexible display interface is capable of creating new user behaviors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of outstanding surface representation and display transformations such as bending, rolling, and folding. Thus, it is being discussed that the newly emerging flexible display interface can offer a different user experience that the previous flat display couldn't. However, as it is hard to find studies that identify the general attributes of user experience in the area of flexible display research,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and label experience that users expect in a flexible display interfa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literature reviews about user experience in previous digital media interface and flexible display interface and conducted interview research in order to reflect the users' perception, collecting 52 items that represent user experience. In addition, these items were used as measurements to deduct different types of user experience, and 308 interviewee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research process. As a result, 10 types of user experience were developed from the results of the survey: functionality, understandability, pleasure, convenience, familiarity, stimulation, adaptability, collectivity, reality, and aesthetic.

Experience Expansion of Interface through Meta-Thinking in Digital Media -Focused on Augmented Things and Media Art Cases- (디지털 미디어에서 메타적 사고를 통한 인터페이스의 경험 확장 -증강된 사물, 미디어 아트 사례를 중심으로-)

  • Seo, Hyun-Seok;Song, Sang-Min;Han, Ki-E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009-1014
    • /
    • 2009
  • Meta-thinking is a kind of thinking beyond certain scope or border, which sees objects as an expanded definition exceeding its essence. It can be experienced when people come into contact with new things. As for digital media, experience acquired from computer screen makes users' thinking be changed continuously and help their thinking to be expanded. Today, studies on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regarding virtual reality (VR) and experience obtained from digital media become a topic of conversation, however, this experience depends on the sense of sight through screen. Actually, transparent experiences in digital media are not the same with those in real worl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experience expansion through interaction with real things which are much closer to daily lives than virtual experiences. It can be found in media art which induces positive participation of audiences and shows them a new meaning through delight and amusement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Visual expression in digital media should be more than spectacular which is only full of excessive images. In addition, interface should not be remained as an expression from technological attempts, instead, it is necessary to find humans aspiration with meta-thinking which accepts things expansively and visualize their experiences.

  • PDF

A Study of the Influence of Digital Media's Consumer Experience on Brand Equity and Purchasing Intention -Focused on Interactive Digital Media Consents using Iris Recognition Techniques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소비자 경험이 브랜드 자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채 인식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를 중심으로 -)

  • Kim, Shinyoup;Baek, Jee 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0
    • /
    • pp.677-68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due to recent increase of digital outdoor media, is to analyze the consumer experience of interaction with digital media.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experience factor consisting of cognitive, emotional, and interactional factors has a mediating effect on brand preference and brand reliability which in turn influence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verified that the consumer satisfaction of the experience does not directly influence purchasing intention, but only through the mediation of brand reliability. This research has implications on the academic field as well as in work-level practices, as a study based on an actual operating digital media, not a laboratory simulation that verifies the importance of digital media experience in forming brand equity through immediate influence on brand preference and brand reliability.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and the Media Literacy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미디어 교육 경험과 미디어 리터러시가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 Lee, Wonsup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0
    • /
    • pp.795-809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and the media literacy,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se media rightly. In the research results in this study,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Especially,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in school influences all constituents of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ositively and the experience of media education in home also does the constituents except for only truth-seeking positively. The industrial motivation, one of factors of the media literacy, has influence on all constituents of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he technical use ability, one of them, does the constituents except for systematicity. And inquisitiveness, objectivity, systematicity, and self-confidence of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re affected by the self-expression of the media literacy. The media audience factor has open-mindness, systematicity, and self-confidence of the disposition, and the media language factor does truth-seeking, open-mindness, and objectivity.

A Study on the Structure of Discourse with Visual Language on Media Reality (미디어 리얼리티의 담화작용과 언어구조의 특성에 관한 연구)

  • Hahm, 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198-199
    • /
    • 2009
  • 인간의 경험에 대한 지각은 다양하다. 일차원적인 직접 경험에 대한 것은 확신의 문제이다. 또한 보편적인 다른 경험은 알게 되면서 인식하는 또 다른 경험의 결과이다. 미디어에서 또한 리얼리티의 담화 작용을 통해 수용자에게 경험에 대한 인식과 가치를 제공하고, 새로운 간접 경험에 대한 경험을 재현을 통해서 그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리얼리티의 담화작용과 의미전달에 있어서 수용자의 믿음적 상징체계의 특성과 사회문화적 현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Possibility Study about Digital Media Art as a social Capital (디지털 미디어아트의 사회자본으로서의 가능성 연구)

  • Lee, Min-Soo;Chang, Geun-Oh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462-467
    • /
    • 2006
  • 이 연구는, 대중매체를 미술에 도입한 미디어아트가 대중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고 콘텐츠의 범위가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총체적 의미의 사회자본이 된다는 가능성의 연구이다. 이러한 가정 하에 현시점의 미디어아트와 대중의 유대관계, 그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양상에 대해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미디어아트가 사회자본으로서 영향을 미치기 위한 전제를 세가지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사회 참여적인 미디어 장치로서 저널리즘의 속성을 가진 미디어아트, 두 번째는 다양한 문화활동의 프로토타입이 되는 미디어아트, 세 번째로는 일상공간에서의 미디어아트이다. 대중매체의 이용이 사회자본의 구성 요소인 신뢰와 사회적 연계 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기존에 발표된 연구들과 2003년 수행된 대규모 매체 이용행태 자료에서 이미 검증되었다. 디지털미디어아트가 사회자본의 하위구성 요소인 신뢰와 정치참여, 문화적 아이콘으로서의 역할 및 예술생산품으로서의 기능에 대해서는 현재 국내에서 대중과의 소통을 위한 미디어아트의 시도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웹 아티스트, 미디어 아티스트로 알려진 '장영혜중공업' 은 온라인미디어를 통해 현대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이슈와 화두들을 강력하게 표현하고 있고, 대중매체의 조명을 받고 있는 아티스트 '낸시랭' 은 'SSAMZIE' 브랜드를 통해 예술의 문화적, 경제적 활동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사용자에게 총체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일상 생활공간 속에서의 미디어아트는 예술의 대중화를 실현하고 있으며, 일상에서의 경험으로 인하여 대중에게 시각적, 과학적, 심미적 즐거움을 주고 있다. 이처럼 디지털미디어를 이용한 예술은 인터넷을 비롯한 대중매체를 통해 디지털미디어아트의 공적 신뢰를 확대시키고 콘텐트의 범위와 가치를 증대 시키며, 사용자경험의 폭을 확대시켜 점차 새로운 가치체계를 형성해 나갈 것이다. 이는 디지털미디어아트가 사회자본으로서 아직은 미약하지만 사용자의 조작과 참여의 경험으로 인해 디지털 세대에게 적합한 문화아이콘을 만들어 나가며, 사회의 새로운 이용자 패턴, 참여 의식의 확대, 예술의 대중화로 인하여 미래 우리의 삶을 구성하는 사회자본이 될 것으로 그 가능성을 전망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