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끄럼 마찰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38초

마찰시험기의 시스템 동적변수 변화에 따른 미끄럼마찰 특성 (Sliding Frictional Characteristics with the Change of Dynamic Parameters in the Friction Measurement)

  • 공호성;윤의성;권오관;오재응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5년도 제21회 학술대회
    • /
    • pp.37-47
    • /
    • 1995
  • 본 논문은 마찰력을 측정하는 시스템에 동특성 변화를 주어서, 이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현상의 변화와 수직하중의 변동특성에 관하여 측정을 하였으며, 미끄럼속도 및 하중조건 변화와 미끄럼운동을 하는 두물체 재료조합 변화에 따른 상기의 마찰특성변화에 관하여 실험적 및 이론적 고찰을 행하였다. 시스템의 동특성 변화를 주기 위하여 시스템의 강성(Stiffness)의 변화를 주었고, 또한 수직 하중 부과 방법을 Dead weight를 이용한 방법과 공압(Pneumatic)에 의한 방법을 비교함으로써 관성력 및 감쇠(Damping) 특성에 변화를 주었다. 시험 대상의 물체들은 강(Steel) 및 폴리머류의 Rosin과 PTFE를 선정하여, 재료변화에 따른 마찰특성 변화를 유도하였다.

  • PDF

탄소 섬유 복합재의 마찰 및 마모 특성에 미치는 속도 효과 (Effect of sliding velocity on the wear and friction characteristics of a carbon fiber composites)

  • 고성위;양병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4호
    • /
    • pp.337-343
    • /
    • 2004
  • 탄소 섬유강화 에폭시기지 복합재의 경면 가공한 스테인레스 강 상대재와 마찰과 마모에 바탕을 둔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방향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의 마모 거동에 미치는 미끄럼 방향의 효과는 다르며 작용하는 마모 메커니즘의 형태에 의존한다. (2) 상온에서 경면 가공한 스테인리스 스틸에 대하여 미끄럼이 일어나면 AP 방향에서 높은 마모 저항과 낮은 마찰계수가 관찰되었다. (3) 복합재의 비마모율은 미끄럼 속도가 증가하면 N방향과 P방향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AP 방향에서는 증가하다가 감소한다. 이것은 마모 메카니즘의 영향으로 속도가 증가하면 마모 이착막의 생성이 빨라져 이착막 속의 탄소섬유가 윤활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4) 복합재의 마찰계수는 미끄럼 속도가 증가하면 3방향 모두 증가하다가 일정한 값에 수렴하면 N방향이 가장 크며, P방향과 AP방향 순이다. 이는 N방향에서 마찰초반에 발생한 섬유의 쟁기질에 의한 상대재 표면의 손상과 돌기변형에 따른 것이며, AP방향의 마찰계수가 가장 낮다.

Zn/Al 금속용사 방식공법을 적용한 고력볼트 접합부의 미끄럼계수 평가 (An Evaluation of Slip Coefficient in High Strength Bolt Joint using Zn/Al Metal Spray Corrosion Resistance Method)

  • 김태수;이한승;태성호;안현진;오상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114-122
    • /
    • 2007
  • 강구조물의 고력볼트 마찰접합부에 있어서 마찰면의 부식은 장기적으로 마찰력 감소와 접합부 내력저하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고력볼트 접합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소요 역학적 성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접합부의 마찰면에 Zn/Al 금속용사 방청처리 한 고력볼트 접합부를 대상으로 마찰면의 표면처리방법과 피막두께를 주요 변수로 하여 인장시험을 실시하였고, 실험으로 부터 마찰면 표면거칠기와 미끄럼계수를 측정하였다. 무도장 샌드블라스트 처리한 접합부 및 샌드블라스트 처리 후 금속용사를 실시한 볼트 접합부의 미끄럼 계수는 국내 규준의 규정 값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우수한 미끄럼계수 값을 나타냈다.

마찰시험기의 하중부와 방법과 강성 변화에 따른 미끄럼 마찰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liding Frictional Characteristics at the Different Loading Mechanisms and Dynamic Stiffness)

  • 윤의성;공호성;권오관;오재응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6년도 제23회 춘계학술대회
    • /
    • pp.108-116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하중부와 방법을 추(dead weight)와 공압(pneumatic)을 이용한 방법에서 스프링을 이용한 방법을 추가하였으며, 압축형 스프링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마찰시험기 수직방향에서의 강성을 큰 변화 폭으로 변화시켰다. 또한 선행된 연구를 통하여 수직하중의 변동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는 디스크 시편의 misaligment 효과를 상사하고 극대화 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경사진 디스크 시편을 추가로 사용하였다. 상기조건으로 마찰시험기 시스템의 각 하중부과 방법과 수직강성 변화가 마찰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측정 평가하였으며, 마찰시험기 동특성계 모델의 이론적 해석을 통하여 마찰특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미끄럼 접촉 시의 수직력과 마찰력을 측정하고, 데이터의 통계적 처리방법에 따른 마찰계수의 변화 특성도 평가하였다.

  • PDF

주행속도 기반 도로 평면선형 설계 안전성 평가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Design of Road Horizontal Alignments Based on the Operating Speed)

  • 김용석;조원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25-32
    • /
    • 2004
  • 현 도로설계기준은 설계속도가 주행속도를 대표하는 값임을 내재하고 있다. 역으로, 설계속도와 주행속도의 불일치는 현 도로설계가 주행 안전 및 쾌적감을 보장하지 못함을 의미하게 된다. 이런 맥락에서, 지방부 2차로 도로를 대상으로 운전자의 주행속도를 조사하여 설계속도와 주행속도 사이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였다. 추가적으로, 주행속도로부터 도출된 수요 횡방향 미끄럼 마찰계수와 공급 횡방향 미끄럼 마찰계수를 주행 역학적 안전성 관점에서 비교하였다. 주행속도와 공급 설계속도를 비교한 결과, 평면 곡선반경 약 200m 이하 구간에서 주행속도가 공급 설계 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면 곡선반경에 작을수록 두 속도 사이의 차이가 큰 경향을 나타냈다. 유사하게, 평면 곡선반경 약 200m이하 구간에서 수요 횡방향 미끄럼 마찰계수가 공급 횡방향 미끄럼 마찰계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면 곡선반경이 작을수록 두 값 사이의 차이가 큰 경향을 나타냈다.

접선하중과 비틀림모멘트를 받는 직교이방성 마찰조건의 정지미끄럼접촉 해석 (Analysis of Incipient Sliding Contact with Orthotropic Friction Condition Subjected to Tangential Load and Twisting Moment)

  • 이성철;곽병만;권오관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8호
    • /
    • pp.2026-2038
    • /
    • 1994
  • A numerical scheme is developed for the analysis of incipient sliding contact with orthotropic friction condition subjected to tangential load and twisting moment. The inherent nonlinearity in the orthotropic friction law has been treated by a polyhedral friction law. Then, a three-dimensional linear complementarity problem(LCP) formulation in an incremental form is obtained, and the existence of a solution is investigated. A Lemke's complementary pivoting algorithm is used for solving the LCP. The scheme is illustrated by spherical contact problems, and the effects of eccentricity of elliptical friction domain on the traction and stick region are discussed.

지방부 도로에서 평면선형 설계관리의 필요성 (A Need of Management of Horizontal Alignment Design at Rural Roads)

  • 김용석;조원범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25-31
    • /
    • 2010
  • 현 도로설계기준은 설계속도에 기반하여 선형설계에 관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설계속도가 도로 공용 후에 운전자의 주행 속도와 거의 동일할 것임을 전제하고 있다. 도로 평면 곡선부의 설계도 주어진 설계속도에 따라 운전자가 쾌적성을 유지한 채 통과할 수 있는 최소곡선반경을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쾌적성에 기초한 횡방향 미끄럼마찰계수는 실제 습윤노면에서 관측되는 물리적인 횡방향 미끄럼마찰계수보다 낮기 때문에 기준에 제시된 곡선반경은 최소의 의미보다는 권장 값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아울러, 최소곡선반경보다 여유로운 설계 값을 선호하는 실무관행으로 도로 공용 후 운전자의 주행속도는 설계속도를 상회하여 설계속도가 주행속도를 대표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현 설계기준의 주요전제를 위반하게 될 것으로 본다. 이러한 연구 가정을 검토하기 위해 지방부 도로에서 노면 미끄럼 마찰계수와 운전자의 주행속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로, 쾌적성에 기반한 미끄럼 마찰계수와 물리적인 미끄럼마찰계수와의 차이에 따른 안전여유를 정량적으로 제시했고, 안전여유 및 설계관행에 따른 여유로운 설계로 인해 설계속도와 주행속도 간에 괴리가 발생함을 제시했다. 이를 토대로, 현 설계속도 기반의 선형설계는 최소기준과 더불어 설계속도와 주행속도 사이의 괴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형 설계 관리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바닥의 미끄럼 저항이 보행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oor Slipperiness on Gait Characteristic)

  • 김택훈;한석규;최수경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3-141
    • /
    • 2015
  • 바닥의 미끄럼 저항은 보행자 안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성능이다. 본 연구는 실제 인간의 미끄럼과 잘 대응하는 미끄럼 시험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지면 마찰력(RCOF)과 표면 거칠기(Rz) 및 3가지 미끄럼 저항계수(C.S.R, BPN, SCOF)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보행 속도가 증가할수록 보간 거리, 보폭, 분당 보행 수 모두 증가하며, 보행 속도와 RCOF 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그러나 RCOF와 각 미끄럼 저항계수 간에는 상관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RCOF만으로는 바닥의 미끄럼 저항 특성을 파악하기 힘들다.

$Al_2O_3-ZrO_2$ 세라믹 재료의 순도에 따른 트라이볼로지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Tribological Characteristics of Purity $Al_2O_3-ZrO_2$ Ceramics materials)

  • 오성모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76-79
    • /
    • 2006
  • 세라믹 재료에 대한 트라이볼로지 특성은 기계장치의 실 링, 펌프부품, 미터 계 부품 등에 이용할 때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각기 순도가 다른 알루미나와 지르코니아를 기계적 및 트라이볼로지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 하였다. 실험은 미끄럼거리와 미끄럼 속도, 그리고 마모량과 마찰계수 등을 서로 다른 순도에 따라 측정한 결과 알루미나의 순도 99.7%가 마찰계수와 마모 저항성이 매우 좋은 특성을 얻었으나, 지르코니아의 순도 95%는 상대적으로 마모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