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끄럼방지기술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4초

자동차 미끄럼방지 제동장치의 유압 제어 특성 (Hydraulic Control Characteristics of the ABS for an Automotive)

  • 김병우;박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0-17
    • /
    • 2007
  • 자동차 미끄럼방지 장치의 최적 제어를 위해서는 유압 모듈레이터 특히,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한 정확한 동특성 해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솔레노이드 밸브 자체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실제 자동차 미끄럼방지 장치에 제한적으로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압 모듈레이터에 작용하는 압력을 고려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특성 해석을 위하여 실험과 이론 해석을 실시하였다. 작동 압력이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특성에 끼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해석하였고 설계인자를 변화시키면서 성능향상 방안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행한 솔레노이드 밸브 동특성 해석결과는 자동차 미끄럼방지 장치의 최적 제어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바닥의 미끄럼 방지기술에 관한 실험적 검토 (Experimental Examination of Nonslip Technique of Floors)

  • 신윤호;백권혁;최수경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학계
    • /
    • pp.235-238
    • /
    • 2009
  • The study of ou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rough experiments the performance on nonslip techniques, which has been nationally applied and represented,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In wearing shoes condition, regardless the shape of the surface and surface condition of the object, it satisfied the performance standard in cleaned and dried condition and the pulverulent body mixed liquid dispersed moisture condition. However, for the case of the non-slip agent treatment, not likely as the non-slip tape treatment case, the effect was not approved as it shows almost the same CSR as none treatment. 2) In bare foot condition, it satisfied the performance standard in most of the objects except for the Ceramic tile (A), Ceramic tile (B), pure and soapy water dispersed condition.

  • PDF

로프 브레이크의 최적형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n Shape of Rope Brake Device)

  • 이종선;김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62
    • /
    • 2004
  • 본 논문은 엘리베이터의 미끄럼이나 과속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 제동장치인 로프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제동시 반력의 최대 영역 즉, 취약 부분(weak point)으로 예상되어지는 하우징 영역의 보강형상을 위치와 높이를 변화시켜서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최대응력과 최대변형률을 비교 분석하여 하우징의 안전성을 검토한 후, 최적형상의 하우징을 적용시킨 로프 브레이크의 설치 각도에 따른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구조적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cylinder type과 groove type의 살균효과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the Sterilization Effect of Ballast Water with Cylinder Type and Groove Type)

  • 강아영;김상필;김영철;송주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16-622
    • /
    • 2015
  • IMO에서 규제중인 선박평형수의 처리기술은 현재 대부분 화학적 처리법 및 전기적인 처리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들은 2차오염의 위험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력을 활용한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2차 오염 없이 선박평형수를 처리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균일장치의 원리를 이용하여 전단응력으로 균을 파쇄시키는 원리인데, 내부 실린더와 외부 실린더의 표면이 매끄러운 경우에는 미끄럼 현상이 나타나 효율적인 살균효과를 얻기가 어려워서 전단응력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다양한 요인 가운데 표면의 모양을 다르게 하여 두 가지 type의 장치에 대한 살균 성능을 비교하였다. 기본 장치는 cylinder type이나, 내부 실린더와 외부 실린더에 일정 간격과 깊이로 홈을 파낸 groove type과 멸균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미끄럼을 방지한 groove type에서 cylinder type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테이퍼 롤링형 판재 누름키의 개발 (Development of Tapered Rolling Type Strip Pressure Key for the Prevention of Scratch)

  • 김태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715-4720
    • /
    • 2010
  • 본 논문은 판재 성형을 위한 제관 라인의 판재 이송부에 장착되는 판재 누름키의 설계 개선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블록형 누름키가 판재의 종 방향 및 횡 방향 이송 과정에서 깊은 스크래치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이퍼진 롤러가 누름키 내부에 장착되어 가이드하도록 하는 테이퍼 롤러 누름키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판재의 종 방향 이송시 테이퍼 형상의 효과로 접촉부의 압력 스파이크를 저감시켜 판재의 스크래치 발생을 최소화하고 횡방향 이송시 미끄럼 접촉이 아닌 구름 접촉으로 유도하여 표면 스크래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스크래치 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IoT를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보행보조기구 시스템 (A System of Customized Walking Aids based on IoT.)

  • 김송은;안수현;정가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32-103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IoT 기술을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보행보조기구 시스템을 제안한다. 아두이노 기반으로 제작하는 맞춤형 보행보조기구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 블루투스, 가속도 센서 외 다양한 센서들로 기능을 제공한다. 안전한 환경 제공을 위한 야간 조도 조절과 토양 상태 파악을 통한 미끄럼 방지 및 계단 보행보조를 통해 2차 부상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올바른 사용을 위한 균형 제어와 길이 제어 및 위생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대여시스템을 제공하여 맞춤형 기능을 선택하고 병원에서 환자 정보를 연동하여 편리한 시스템을 개발한다.

자동차 능동형 샤시시스템 개발동향

  • 허승진
    • 기계저널
    • /
    • 제32권10호
    • /
    • pp.847-857
    • /
    • 1992
  •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샤시(chassis)라 하면 총체적인 개념에서 자동차로부터 차체(body)를 제외한 부분을 일컫는데, 구동 및 제동장치, 바퀴 현가장치, 조향장치, 타이어 및 휠 등이 이에 속한다. 1970년대 마이크로 컴퓨터의 응용기술이 도입되면서 엔진분야에서 시작한 자동차 전자화기술은 구동 및 제동분야에서의 전자제어식 제동잠김 및 구동 미끄럼방지 시스템(ABS/TCS)의 응용기 술을 거쳐 1980년 중반부터 차량의 현가 및 조향분야에서 능동형의 시스템이 개발되기 시작하 였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자동차용 적응식 및 반 능동식 가변댐퍼(variable damper), 능동식 현가시스템(active suspension system) 그리고 4륜조향 시스템(four wheel steering system)을 들 수 있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이러한 각종 능동형 시스템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설계되는 이 른바 자동차의 샤시 통합제어 시스템(chassis integrated control system)또는 능동형 샤시 시스템 (active chassis system)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 글에서는 최근에 가장 대표 적인 능동형 샤시시스템으로서 각종 능동식 현가시스템 및 4륜조향 시스템의 개발동향 및 기 술적,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종합적인 검토를 하고자 한다.

  • PDF

노치형 웨이퍼 정렬기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afer Notch Aligner)

  • 나원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12-41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노치형 웨이퍼 20~25개를 일련번호가 같은 위치에 자동으로 정렬이 되도록 하여 반도체 공정 전, 후 감지기에 의해 웨이퍼의 공정상태 파악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개발 및 정확하게 노치를 정렬하는 보정 알고리즘, 스테핑 모터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웨이퍼 회전 시 표면 재질이 적당한 마찰 계수를 가지며 웨이퍼의 회전으로 파티클(Particle)이 발생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여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었다. 또한 미끄럼 방지를 위한 기구설계 기술을 개발하였고, 수학적 검증을 통한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개발 시스템은 반도체 공정 진행 중 웨이퍼의 오염 방지로 반도체 수율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향후 450mm 이상의 대형 웨이퍼 생성 시에도 탄력적으로 적용 할 수 있다.

  • PDF

시험시공을 통한 소입경 골재노출 콘크리트 포장의 배합, 시공 및 품질관리 기준 제안 (A Suggestion of Mix, Construction Method and Quality Control Criteria of Fine-size Exposed Aggregate PCC Pavement by Experimental Construction)

  • 이승우;김영규;최돈화;심재원;유태석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51-63
    • /
    • 2011
  • 소입경 골재노출콘크리트포장은 콘크리트 포장 시공 시 포장표면에 적정 응결지연제를 분사한 후 표면 모르타르를 제거하여 굵은 골재를 노출시킴으로서 표면조직을 형성하는 공법으로써 기존 콘크리트 포장의 소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저소음 공법이다. 소입경 골재노출 콘크리트 포장은 강도를 크게 개선할 뿐만 아니라 소음저감 효과 및 우수한 미끄럼 저항성을 확보하여 도로이용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법이다. 현재 국외 도로 선진국의 경우 골재노출 포장의 상용화가 이루어진 상태이지만 국내의 경우는 실용화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현장적용을 위해서는 국내 여건에 맞는 합리적인 관리 기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소입경 골재노출 콘크리트 포장의 최적배합 및 노출기법 연구, 굵은 골재의 선정 및 입도 설계, 환경하중 저항성 평가 등 실내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소입경 골재노출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을 위한 시공 장비를 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험시공을 통해 도출된 결과와 기존 실내시험에서 도출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시험시공 분석을 통하여 골재 탈리 방지, 강도 및 내구성 확보를 위한 표준배합을 제시하였다. 환경 및 시공조건이 상이한 3차례 시험시공 구간을 선정하여 시공현장여건에 유동성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시공 기술 및 시공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장 단기 공용성 평가를 통하여 도로 포장의 기능성 측면에서 우수한 소음저감 및 미끄럼 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는 노면조직의 품질관리 기준을 제시하였다.

주생활단원의 노인주거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 - 중학교 3학년 기술 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Teachers' Importance Perception on Elderly Housing Contents in the Housing Chapter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 전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교과서의 노인주거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을 조사하여 노인주거 교육내용 구성과 교수학습 과정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7차 교육과정 기술 가정 교과서 10종의 주생활단원 노인주거 내용을 5개 내용요소의 67개 항목으로 분석하였으며, 기술 가정 교사 233명을 대상으로 중요도 인식을 조사하였다. '안전성과 안전관리'의 11개 항목 중 욕실과 화장실의 안전에 관한 항목이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욕실 화장실의 안전에 관한 항목(욕실 화장실 바닥 미끄럼 방지 처리, 욕실 화장실 안전 손잡이, '샤워기 욕조 세면대의 위치와 높이조정)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도 높았다. '노인실 계획'의 7개 항목에서는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 지침(긴급 통보 장치, 화장실을 가깝게 배치,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가족축소기 및 주거의존기'의 20개 항목에서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설비 갖추기와 노후기 주거 상황에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항목(긴급 통보 장치,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 미끄럽지 않은 바닥)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3세대 동거 주택'의 11개 항목에서는 안전에 관한 원칙적 내용이나 세대간의 독립성 확보에 관한 항목(노인을 위한 주거 안전 고려, 독립성을 보장하는 세대간의 공간 배치, 노인 전용의 욕실 화장실 두기)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25개 항목에서는 욕실 화장실의 안전한 사용이나 이동의 편리성을 보장하는 항목(욕실 화장실의 안전 손잡이,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 휠체어가 회전할 수 있는 문이나 통로, 휠체어가 통과할 수 있는 문이나 통로)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노인주거 교육내용 구성과 교수학습에 대해 제언할 점은 첫째, 여러 내용요소에 공통으로 포함되며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높은 4개 항목(긴급 통보 장치, 욕실 화장실 안전 손잡이,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 미끄럽지 않은 바닥)을 보편적인 노인주거 교육내용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둘째, '안전성과 안전관리'의 중점은 욕실 화장실의 안전이 되어야 하며, 셋째, '노인실 계획'의 중점은 화장실의 근접 배치와 보편적 디자인 지침이 되어야 하며, 넷째, '가족축소기 및 주거의존기'의 중점은 안전사고 방지 설비와 보편적 디자인 지침 및 고령화 대비와 연계되는 내용이 되어야 하며, 다섯째, '3세대 동거 주택'의 중점은 노인 주거 안전과 세대 간의 독립성 확보에 관한 내용이 되어야 하며, 여섯째, '유니버설 디자인'의 중점은 보편적 디자인 지침과 이동의 편리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관련법과도 일치하는 내용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