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기상 관측

Search Result 19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hase Noise Evaluation of Multi-mode based-COMS Communication Transponder (다중모드 기반 천리안 위성통신 중계기의 위상잡음 특성 평가)

  • Kim, Young-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1
    • /
    • pp.20-25
    • /
    • 2012
  • The COMS, which is a multi-purposed satellite that provide the oceanic measurement data and meterological image data, is operating since 2010. Ka-band satellite communication transponder in COMS gets the MSM function that can provide the required multi-beam and transmits the multi-mode signal with high data rate. The phase noise of COMS communication transponder can be increased because of several local oscillators for MSM function and the utilization of Ka-band frequency. The phase noise affects the performance for the multi-mode and high rate data based- transmission method, it is not possible to recover the transmission data in system with the high system phase noise. In this paper, the phase noise of COMS was measured and the effects of the measured phase noise are analysed and evaluated in the viewpoint of the noise bandwidth of transmission system, Also the transmission performances for multi-mode and high rate data are evaluated in the presence of COMS phase noise.

The Meteor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erosol during Haze Event in May 2003 (2003년 5월의 연무 관측시 에어로졸의 기상 · 물리 · 화학 특성)

  • Lim, Ju-Yeon;Chun, Young-Sin;Cho, Kyoung-Mi;Lee, Sang-Sam;Shin, Hye-J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20 no.5
    • /
    • pp.697-711
    • /
    • 2004
  • Severe haze, mist, and fog phenomena occurred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during 15~25 May 2003 resulted in poor visibility and air quality. When these phenomena occurred, Korean peninsula was under the effects of anticyclone. The atmosphere was stable, and wind speed was so weak. Under this meteorological conditions, air quality was worse and worse. The characteristics of aerosol in Seoul, Incheon, and Gosan (Jeju) during this period are investigated from the $PM_{10}$. TSP concentrations and aerosol number concentrations. Concentrations of $PM_{10}$ and TSP measured at KMA increased upto 176 and 230 J.${\mu}g/m^3$ on 22 May 2003, respectively. Aerosol number concentrations of size range from 0.82 to 6.06 ${\mu}m$ increased in Seoul on 17, 19, and 21~24 May 2003, and the concentrations of $NO_2$ and $SO_2$had maximum value of 0.165 ppm at Gwanak Mt. and 0.036 ppm at Guro-dong on 23 May 2003, respectively. Result from analysis on heavy metal elements showed high concentrations of Zn, Pb, Cr, Ni, Cu, and Cd during 20~24 May 2003. This event is examined by comprehensive analyses of synoptic weather conditions, satellite images, concentrations of suspended particles and air pollutants, and heavy metal elements.

Study on Parameter Optimization in Daegok & Sayun Dam Basins Using HEC-HMS (대곡.사연댐 유역의 HEC-HMS를 이용한 매개변수 최적화 연구)

  • Yoon, Guk-Hui;Park, Myung-Ky;Choi, Byung-Man;Kim, Y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03-1107
    • /
    • 2009
  • 최근 기상이변에 따른 국지성 호우 등으로 인하여 지역별로 홍수량 차이가 많이 나고 있는 상황으로 유역내 중요시설물 및 인명의 보호를 위해서는 유역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한 홍수분석이 필수적인 실정이다. 유역 주요지점의 정확한 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지역특성이 반영된 호우를 선정하고, 유출모의를 위한 유역특성이 잘 구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홍수량산정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수의 정확한 산정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미공병단(US Army Corps)에서 개발하여 배포한 차세대 프로그램인 HEC-HMS(v3.3)를 이용하여 집중시간, 저류상수, Curved Number, 감수상수, 초기손실, 초기기저유량, Threshold 등 7가지 매개변수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종래에는 첨두홍수량을 중시하여 집중시간과 저류상수는 최적화하고 나머지 변수들은 실측치 및 계산값을 적용하였으나, 금번 연구에서는 첨두홍수량 및 총유출량 모두 관측값에 최대한 일치하도록 7가지 매개변수를 최적화하는 방안 및 최적화시 초기값 선정이 매개변수 최적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매개변수 최적화 순서는 먼저 전체적인 평균유출량 또는 평균유출고가 실측치와 모의치 간에 일치하도록 CN, RC를 보정하고 다음 단계로 첨두발생시간이 일치하도록 Tc, K를 보정하고, 마지막으로 홍수 수문곡선의 형태를 결정하는 나머지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전체적인 수문곡선의 형태와 첨두홍수량이 일치하도록 수행하였으며, Tc, K, CN 등의 중요 매개변수는 신뢰구간(계산치의 0.8${\sim}$1.2)을 설정하여 목적함수의 수렴을 유도하였다. 위를 이용하여 수렴된 매개변수들로 강우-유출 모의를 분석한 결과를 기존 홍수사상과 비교한 결과 상당히 근접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 매개변수는 7가지 모두에 대한 최적화를 가능한 것으로 연구되었으나 목적함수들의 수렴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좀 더 심도있는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Estimation Algorithm of Near-Surface Air Temperature for Warm and Cold Seasons in Korea (온난 및 한랭시즌의 우리나라 지상기온 평가 알고리즘 개발)

  • Kim, Do 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4
    • /
    • pp.11-16
    • /
    • 2015
  •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on near-surface air temperature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the estimation algorithm of near-surface air temperature in Korea was developed by using spatial homogeneous surface information obtained from satellite remote sensing observations. Based on LST(Land Surface Temperature), NDWI(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and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proposed for the estimation of near-surface air temperature. The different regression constants and coefficients for warm and cold seasons were calculated for considering regional climate change in Korea. The near-surface air temperature values estimated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lgorithm showed reasonable performance for both warm and cold seasons with respect to observed values (approximately $3^{\circ}C$ root mean-square error and nearly zero mean bias). Thus;the proposed algorithm using remotely sensed surface observations and the approach based on the classified warm and cold seasons may be useful for assessment of regional climate temperature in Korea.

A Multiple Regression Model for the Estimation of Monthly Runoff from Ungaged Watersheds (미계측 중소유역의 월유출량 산정을 위한 다중회귀모형 연구)

  • 윤용남;원석연
    • Water for future
    • /
    • v.24 no.3
    • /
    • pp.71-82
    • /
    • 1991
  • Methods of predicting water resources availiability of a river basin can be classified as empirical formula, water budge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to estimate the monthly runoff required for long-term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 Using the monthly runoff data series at gaging stations alternative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constructed and evaluated. Monthly runoff volume along with the meteorological and physiographic parameters of 48 gaging stations are used, those of 43 stations to construct the model and the remaining 5 stations to verify the model. Regression models are named to be Model-1, Model-2, Model-3 and Model-4 developing on the way of data processing for the multiple regressions. From the verification, Model-2 is found to be the best-fit model. A comparison of the selected regression model with the Kajiyama's formula is made based on the predicted monthly and annual runoff of the 5 watershed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resent model is fairly resonable and convinient to apply in practice.

  • PDF

Regional estimation of baseflow index in Korea and analysis of baseflow effects according to urbanization (국내 하천 기저유출지표 산정 및 도시화에 따른 기저유출 영향 분석)

  • Kang, Hyeongsik;Hyun, Yun-Jung;Jun, Sang-Mo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2
    • /
    • pp.97-105
    • /
    • 2019
  • In this study, the baseflow indices in Nakdong river watershed and the whole country's river were calculated by using SWAT model and PART method. The annual averaged baseflow in the Nakdong river watershed was estimated at 40% - 44% of the total discharge rate, and it is found to be higher than 90% during the winter months of December and January. An analysis of the baseflow index from 317 gauge stations across the country revealed that the contribution of baseflow to the nation's stream flow rate stood at an annual average of 40%, ranging from less than 20% to over 80% by region. Also, the impact of the decreasing baseflow due to land use changes in 1975 and 2000 was analyzed in Keumhogang river watershed under the same weather condi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days under the standard instream flow increased by 19-24 days as a result of the increase in the urbanization rate.

Spatio-temporal pattern of energy fluxes in Northeast Asia using CLM5 (CLM5 기반 동북아시아 에너지 플럭스 분석 및 검증)

  • Yulan Li;Nguyen Thi Ngoc My;Minsun Kang;Minha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34-434
    • /
    • 2023
  • 다양한 지면 모형은 대기 강제력 데이터 세트에 의해 구동되며 육지의 물, 에너지 및 생지화학적 순환의 해석에 활용된다. 그 중 에너지 플럭스 교환을 추정하는 것은 극심한 가뭄, 폭염, 물 부족 등 극한 기후 현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에너지 플럭스는 기상기후조건과 토지피복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는데 그 영향을 구체적으로 조사하는 것은 생태계 프로세스의 매커니즘을 구성하는 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신버전인 Community Land Model 버전 5.0 (CLM5)를 이용하여 동북아시아 지역의 에너지 플럭스의 시공간분포를 분석하였다. CLM5의 시뮬레이션은 1991년부터 2010년까지 2.5° × 2.5° 그리드에서 실행되었고 주요 에너지 인자인 순복사량, 현열, 잠열을 모의하였으며, 실행결과는 FLUXNET의 동북아시아 사이트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검증 및 평가하였다. 대기 강제력 변수의 차이는 모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문인자와 토지피복유형에 따른 에너지 플럭스의 변동성을 분석하였고 잠열을 식생 증발산열과 지면 증발열로 파티션하여 연구지역에 따른 각 구성요소의 비율을 산정하였다. 20년간의 순복사열, 잠열과 온도의 시공간적 변동성의 연 추세를 분석한 결과 동북아시아의 대부분 지역에서 잠열과 온도는 소폭 증가되였고 순복사열은 중국 내륙과 몽골지역에서 감소되였다. 본 연구는 지표와 대기 사이의 에너지 교환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후 증발산 및 물 플럭스와의 연동성과 관계성 분석에 활용하여 기후변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of multiple-satellite precipitation data by rainfall intensity (다중 위성 강수자료의 강우강도별 특성 평가)

  • Kim, Kiyoung;Lee, Seulchan;Choi, Minha;Jung, Sungho;Yeon,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83-383
    • /
    • 2021
  • 강수는 수자원 분석 및 지리학적 연구에 가장 핵심적으로 쓰이는 수문인자이며, 최근 기후변화와 방재 관련한 다양한 연구에서 정확한 강수자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강수는 지표에서의 유출, 침투, 증발 등 다양한 수문현상으로 이어지므로, 수문순환, 물수지 분석에 있어 강우강도 등 강수 발생 양상과 유형에 대한 정확한 자료는 필수불가결하다. 강수량은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을 통해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되고 있으나, 이러한 계측자료는 기상학적, 지형적 영향을 크게 받으며 대표성이 좁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유출 및 기후 등 공간적 범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활용하기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상강우레이더를 통한 국지적 강수자료 및 인공위성 기반 전 지구적 강수 관측 자료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인공위성을 활용한 강우 측정방법은 미계측 유역에서 수자원 측정 및 관리 계획을 세우거나 전 지구적으로 장기적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어 가장 활용도가 높다.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의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TRMM)을 포함한 기존 강수측정 보조 위성에 더하여 2014년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GPM) 핵심 위성이 발사된 이후 다양한 기관에서 여러 인공위성을 결합한 강수 산출물들을 제공하고 있다(NASA-IMERG, JAXA-GSMAP, NOAA-CMORPH).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위성 기반 강수 자료의 산출 알고리즘을 비교□분석하고, 강우강도에 따른 산출물들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높은 강우강도 발생 시 나타나는 위성 강수자료의 불확실성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후 신뢰도 높은 다중 위성 융합 강수 산출물을 구현하기 위한 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rovement of Drought Forecasting and Warning Criteria for Water Manage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농업용 저수지 이수관리를 위한 가뭄 예·경보 기준 개선)

  • Mun, Young-Sik;Nam, Won-Ho;Lee, Hee-Jin;Woo, Seung-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08-508
    • /
    • 2022
  • 1973년 기상관측 이후 5년에서 7년 주기로 전국적 및 국지적 가뭄이 반복되고 있으며, 2010년을 기점으로 매년 가뭄이 발생하는 등 지역적 가뭄의 발생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뭄은 특히 농작물 생육 및 수확과 같은 농업 부분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뭄의 선제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진행 상황이나 강도를 객관적인 기준을 통해 파악해야 한다. 가뭄의 경우 2016년 범부처 가뭄예·경보제를 시범 운영하여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매월 시군별 지역에 대한 농업용수의 가뭄 상황을 4단계 (관심, 주의, 경계, 심각)로 구분하여 발표하고 있다. 농업가뭄의 경우 저수지, 양수장과 같은 농업수리시설의 능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가뭄이 발생했을 경우, 용수공급시설에서 용수공급이 가능한 물의 양을 파악하여 가용용수 능력을 평가함으로써 농업가뭄에 대응할 수 있는 정도를 파악해야 한다. 현행 농업용 저수지 물 관리 운영의 경우 과거 경험에 의존하는 실정으로 용수관리 및 물 관리자의 개인 역량에 따른 편차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전국 모든 농업용 저수지에 평년 저수율을 적용하여 가뭄단계를 산정하기 때문에 개별저수지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예·경보를 위한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의 가뭄단계별 기준을 개선하고자 한국농어촌공사 관할 농업용 저수지 3,400개를 대상으로 백분위수 (Percentile)를 적용한 저수지 이수관리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빈도분석 및 연속이론 (Run theory)을 적용하여 과거 및 현행 가뭄 판단 및 이수관리 기준들의 가뭄에 대한 선제적 대비능력 및 민감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 PDF

Modification of WASP5 for Ungauged Watershed Management and Its Application (미계측 유역관리를 위한 WASP5 모형의 개선 및 적용성 검토)

  • Kim, Jin-Ho;Shin, Dong-Suk;Kwun, Soon-Kuk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9 no.1
    • /
    • pp.29-36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water quality simulation model for the evaluation of an ungauged watershed. For this purpose, the WASP5 model was selected and modified. The model consists of three sub-models, LOAD-M, DYN-M, and EUT-M. LOAD-M, an empirical model, estimates runoff loadings using point and non-point source data of villages. The Geum River Estuary watershed was selected to calibrate and verify the Modified-WASP5. The LOAD-M model was established using field data of water quality and quantity at the gauging stations of the watershed and was applied to the ungauged watersheds, taking the watershed properties into consideration. The result of water quality simulation using Modified-WASP5 shows that the observed average BOD data from Gongju and Ganggyeong were 2.6 mg/L and 2.8 mg/L, and the simulated data were 2.5 mg/L and 2.4 mg/L, respectively. Generally, simulation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This study focused on formulating an integrated model for evaluating ungauged watersheds. Even though simulation results varied slightly due to limited availability of data,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be a useful tool for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ungauged watersh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