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기록 외래식물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 산형나도별꽃, 갈퀴지치 (Two unrecorded alien plants in South Korea: Holosteum umbellatum L. and Asperugo procumbens L.)

  • 이혜정;정수영;박수현;윤석민;양종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76-280
    • /
    • 2014
  • 충청남도 홍성군과 인천광역시에서 각각 석죽과와 지치과의 미기록 외래식물 2분류군을 발견하였다. 산형나도별꽃(Holosteum umbellatum L.)과 갈퀴지치(Asperugo procumbens L.)는 종과 속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새롭게 침입한 외래식물들의 인지와 확산방지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형태 및 특성을 보고 한다.

미기록 침입외래종 보고 : Ludwigia peploides (Kuntze) P.H.Raven (Report : Unrecorded alien plant in South Korea : Ludwigia peploides (Kuntze) P.H.Raven)

  • 김혜원;장창석;박수현;조혜련;손동찬;장계선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2-72
    • /
    • 2018
  • 의도적 도입 또는 비의도적 도입에 의해 국내에 확산되고 있는 침입외래식물은 경제적, 환경적인 해를 가할 수 있으며 자생종의 감소나 절멸을 초래하는 등 생물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습지나 저수지 및 하안 생육지는 스트레스와 교란에 의해 외래식물 유입과 확산이 용이하므로 국립수목원에서는 이를 관리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 하천변에서 발견한 바늘꽃과에 속하는 Ludwigia peploides (Kuntze) P.H.Raven가 생태계교란종으로 확산 될 우려가 있어 본 종에 대한 기재, 도해, 칼라도판 등을 첨부하여 침입외래식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 PDF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 털다닥냉이(십자화과)와 들괭이밥(괭이밥과) (Two unrecorded alien plants of South Korea: Lepidium pinnatifidum Ledeb. (Brassicaceae) and Oxalis dillenii Jacq. (Oxalidaceae))

  • 홍정기;김종환;김중현;최지은;김진석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31-335
    • /
    • 2016
  •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인 털다닥냉이(십자화과)와 들괭이밥(괭이밥과) 2종을 인천시 월미도와 경서동에서 각각 발견하였다. 털다닥냉이는 경생엽이 줄기를 감싸지 않고, 수술이 4개라는 형태적 특징에 의해 근연종들과 구분된다. 들괭이밥은 화경과 소화경에 강모가 밀집하며, 종자에 흰색의 능선이 있다는 형태적 특징으로 근연종들과 구분된다. 본 연구는 미기록 외래식물 2종에 대한 기재와 화상자료를 제공하고,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작은잎물통이(쐐기풀과)와 남방향유(꿀풀과) (Two Unrecorded Alien Plants of Korean Peninsula: Pilea microphylla (L.) Liebm. (Urticaceae) and Elsholtzia griffithii Hook. f. (Lamiaceae))

  • 홍정기;김중현;김유리;김진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9-97
    • /
    • 2021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인 작은잎물통이(쐐기풀과)와 남방향유(꿀풀과) 2분류군을 발견하였다. Pilea microphylla (L.) Liebm.는 서울시 및 제주도에서 관찰되었으며, Elsholtzia griffithii Hook. f.는 인천시에서 확인되었다. P. microphylla는 잎이 주걱형 또는 도란형이며, 길이는 2-7 mm로 작고 가장자리 전체가 밋밋한 특징에 의해 국내 자생하는 근연분류군과 구별된다. E. griffithii는 수상화서, 3 mm 길이의 좁은 피침형의 포와 약 2.5 mm의 상대적으로 짧은 화관을 갖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2분류군에 대한 국명, 종기재문, 사진 제공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미기록 외래식물: 세열미국쥐손이(쥐손이풀과), 유럽패랭이(석죽과) (Two unrecorded alien plants of South Korea: Geranium dissectum L. (Geraniaceae) and Dianthus armeria L.)

  • 정수영;홍정기;박수현;양종철;윤석민;강영식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72-277
    • /
    • 2015
  • 미기록 외래식물인 세열미국쥐손이(쥐손이풀과)와 유럽패랭이(석죽과) 2종을 각각 제주도 서귀포시와 경남 합천에서 발견했다. 세열미국쥐손이는 열매에 선모가 있으며, 종자에 뚜렷한 망상무늬가 있는 특징으로 근연종들과 뚜렷하게 구분된다. 유럽패랭이는 꽃이 취산화서로 달리며, 꽃받침에 털이 있는 특징으로 근연종들과 구별된다. 이에 대한 기재, 도해, 사진 및 근연분류군과의 검색표를 제시한다.

미기록 침입외래식물: 서양전동싸리 (콩과) (Unrecorded iNvasive Alien Plant: Melilotus dentatus (Waldst. & Kit.) Pers. (Fabaceae))

  • 이세령;강은수;정현진;손동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49
    • /
    • 2022
  • 경기도 화성시 일대에서 미기록 침입외래식물인 서양전동싸리(Melilotus dentatus)를 발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종은 아시아, 유럽 원산이며, 주로 경작지와 공원, 정원 등의 인공적인 환경에서 발견된다. 국내에서 발견된 서양전동싸리는 경작지 내 작물의 종자와 함께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농수로를 따라 인근 주변에서 약 15개체의 생육이 확인되었다. 국내 전동싸리속은 모두 외래식물로 현재 4종(M. suaveolens, M. albus, M. indicus, M. officianalis)이 보고되었으며 탁엽 기부가 엽병에 합착되고, 3출 우상복엽이며, 긴 총상화서, 난형 또는 난상타원형 열매를 가지는 공통된 형태적 특징으로 서양전동싸리와 혼동되기 쉽다. 그러나 본 종은 탁엽이 피침형이고, 소엽이 장타원형이며, 거치가 뚜렷하고, 배주가 2개이며, 종자의 색이 녹갈색인 특징으로 국내 근연 종들과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양전동싸리의 실체와 생육환경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형태학적 기재 및 화상자료를 비롯하여 주변식생 목록과종 식별을 위한 검색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형태와 DNA 바코드에 근거한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의 보고, 미국잔디갈고리(콩과) (New record of an alien plant, Desmodium paniculatum (Fabaceae), in Korea based on a morphological examination and DNA barcoding)

  • 진동필;김중현;심선희;서화정;김진석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33-140
    • /
    • 2021
  •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일본에서는 외래식물로 알려진 미국잔디갈고리(Desmodium paniculatum)가 국내의 화성시와 대전시에서 발견되었다. 본종은 다년생 초본이며, 협과는 4-5개의 소절과로 연결되고, 소절과 사이의 배축면이 완만하게 좁아지는 점에서 국내의 근연분류군들과 구분된다. 미국잔디갈고리는 강변과 도로변에서 자라고 있어, 하천정비나 도로 공사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추측된다. Internal transcribed spacer 계통수상에서 한국산 미국잔디갈고리는 일본산 개체와 단계통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잔디갈고리의 형태적 특징에 대한 기재와 사진, 도해, 분포 위치에 대해 보고하였다.

미기록 외래식물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닭의장풀과)의 보고 (Report of Unrecorded Alien Plant,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Commelinaceae))

  • 강은수;김창욱;손동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2-52
    • /
    • 2022
  • 제주도 서귀포시와 경북 안동시에서 사마풀속(Murdannia Royle)에 속하는 미기록 외래식물인 Murdannia nudiflora (L.) Brenan를 발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Murdannia nudiflora는 열대 아시아 원산으로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와 가까운 일본에도 도입되어 있다. 종소명인 'nudiflora'는 본종의 조락하는 소포엽의 특징을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M. nudiflora는 소포엽 외에 국내 자생하고 있는 사마귀풀[M. keisak (Hassk.) Hand.-Mazz.]과 뿌리, 꽃, 열매 및 종자의 외부형태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M. nudiflora는 사마귀풀과 달리 뿌리줄기가 없고, 말단 혹은 액생하는 화서에 여러 개의 꽃이 피며, 꽃은 수술 2개, 헛수술 2-4개를 가지고, 열매는 자실 당 2개의 종자를 가지며, 종자는 작은 구멍이 있는 망상형 표면을 가진다. M. nudiflora는 닭의장풀과(Commelinaceae)에 속하는 분류군 중에서도 병해충을 유발하여 작물의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잡초로 악명이 높으며, 주로 목화, 벼, 참깨 등과 같이 주요 작물이 재배되는 경작지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종의 발견지들은 모두 해당 작물을 재배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경작지로 M. nudiflora는 수입된 재배종 종자와 섞여 비의도적으로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M. nudiflora의 화상자료 및 형태적 기재와 함께 국내 근연 분류군과 구별할 수 있는 검색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서양쐐기풀 (New Record for Alien Plant, Urtica dioica L. (Urticaceae) in Korea)

  • 심선희;김진석;진동필;이웅;현창우;김중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0-108
    • /
    • 2022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인 서양쐐기풀(쐐기풀과)를 한강 수계에서 발견하였다. 서양쐐기풀은 유럽, 온대 아시아, 서북아프리카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의 여러 지역에 도입되어 있는데 특히, 동아시아(일본),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에서 외래종으로 보고되었다. 본 분류군은 단성화이며, 자웅이주를 가지는 특징에 의해 근연분류군과 구분된다. Neighbor-Joining 계통수에서 국내 난지한강공원과 양재천에서 채집된 서양쐐기풀은 U. dioica s.s.군으로 유집되었다. 주요 형질에 대한 기재문과 화상자료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미기록 침입외래식물: 좀들묵새(벼과) (Vulpia octoflora (Walter) Rydb. (Poaceae), a New Invasive Alien Plant in Korea)

  • 김영수;장주은;김지은;정현진;강은수;손동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59
    • /
    • 2022
  • Vulpia octoflora (Walter) Rydb.가 경기도 여주시 강천리 일대에서 발견되었다. 본 종은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호주와 일본, 우크라이나에서 침입외래식물로 보고된 바 있다. V. octoflora는 주로 건조한 건조한 모래나 자갈 모래밭에 자라는 잡초성 식물로, 도로변을 따라 개방된 지역이나 인위적 교란 지역에서 빈번하게 발견된다. 학자에 따라 북아메리카 지역에 분포하는 개체들의 지리적 분포와 형태 변이를 근거로 종하분류군으로 세분화하기도 하지만, 형태 변이의 일관성 부족으로 인해 종내 변이로 인식하여 통합하여 처리하는 것이 타당하게 여겨진다. 본 종은 최근에 국내에 보고된 침입외래식물인 들묵새아재비와 유사하나, 소수당 달리는 소화의 수가 더 많고, 호영 정단부의 까락의 길이가 짧은 것으로 명확히 구분된다. 좀들묵새에 대한 생태계 위해성 연구는 진행된 바 없으나, 최초 발견지인 여주시 강천섬 일대는 멸종위기 2등급종인 단양쑥부쟁이의 자생지이기 때문에, 새롭게 유입된 외래식물의 잠재적 생태 교란에 따른 위해성 평가 및 확산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형질에 대한 기재와, 지리적 분포, 도해도, 화상자료와 국내에 분포하는 동속 분류군과의 검색표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