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기록속

검색결과 777건 처리시간 0.027초

가루풀잠자리과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 Conwentzia pineticola (풀잠자리목: 가루풀잠자리아과)의 보고 (Genus Conwentzia (Neuroptera: Coniopterygidae: Coniopteryginae) New to Korea)

  • 김슬기;구준모;조수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9-42
    • /
    • 2018
  • Conwentzia와 C. pineticola를 한국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성충에 대한 간략한 기재와 성충 사진 및 생식기 사진과 함께, 16S rRNA 와 COI 염기서열을 제공한다.

한반도 미기록속 식물: 대청지치(지치과) (The first record of Thyrocarpus glochidiatus (Boraginaceae) in Korea)

  • 양종철;이유미;박수현;하상교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1-73
    • /
    • 2010
  •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도에서 발견된 지치과 미기록속의 1분류군을 한반도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이 분류군은 중국일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Thyrocarpus glochidiatus Maximowicz로서, 한국명은 발견된 지역명을 따라 '대청지치'로 명명하였다. 이 분류군에 대한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였고, 도해 및 생태 사진을 제시하였다.

제일보 쉬파리과와 검정파리과의 미기록종에 대하여 (Studies on the Flies in Korea 1. On the Unreported Species of " Sarcophagidae" and "Calliphoridae : (Diptera) in Korea)

  • 박성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8
    • /
    • 1962
  • 1. 대구인근산 Sarcophagidae와 Calliphoridae 약 6,000 여개체를 채집한 바 9 속 34종을 얻었는데 이중에는 Sarcophagidae 의 한국미기록 1 속 10종 과 Calliphoridae 한국미기록 2 속 2 종이있었다. 2 . 필자가 추가한 15종과 소림('18, '22, '24, '25, '29, '39, '40)와 굴('52) 에 의해 보고된 개지종과 합하면 한국산 Sarcophagidae 는 1 속 26 종 , Calliphoridiae 는 8 속 14 종이 된다.

  • PDF

한국산 미기록과 애기버섯벌레과(딱정벌레목: 거저리상과)에 속한 Octotemnus Mellie 2 미기록종과 숙주버섯 (First Record of the Family Ciidae (Coleoptera: Tenebrionoidea), from Korea, with two Unrecorded Species of Octotemnus Mellie on Fungi)

  • 정부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83-88
    • /
    • 2010
  • 한국산 미기록과 애기버섯벌레과(Ciidae, Leach)(신칭)에 속한 Octotemnus Melli$\acute{e}$(딱정벌레목: 거저리상과)(신칭)의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속에 속한 Octotemnus laminifrons (Motschulsky)(턱애기버섯벌레)(신칭)와 Octotemnus japonicus Miyatake(일본턱애기버섯벌레)(신칭) 등 2종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분류학적으로 검토하고 야외관찰과 실내사육을 통해 숙주버섯을 밝혔다. 각 종에 대한 검색키, 기재문, 진단형질 그림, 성충사진과 숙주버섯을 제공하였다.

한국산(韓國産) 자낭균류(子囊菌類) 버섯의 미기록종(未記錄種) (Notes on Unrecorded Fleshy Ascomycetes in Korea)

  • 홍순우;장용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6-79
    • /
    • 1987
  • 자낭균류에 속하는 100여 개체의 버섯표본을 관찰한 결과 3속 9종의 미기록 속과 종이 동정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미기록 속은 땅주발버섯 속(Tarzetta,), 살갗버섯 속(Mollisia), 점버섯속(Hypocrea) 등이다. 미기록 종은 노란긴대주발버섯(Cyathipodia cupuliformis), 솜털긴대주발버섯(Cyathipodia villosa), 갈색땅주발버섯(Tarzetta catinus), 오목땅주발버섯(Tarzetta cupularis), 갈색투구버섯(Cudonia confusa), 작은잎맥섯(Rutsroemia petiolorum), 노란상수리술잔고무버섯(Hymenoscyphus pileatus), 연한살갗버섯(Mollisia ventosa), 점버섯(Hypocrea rufa) 등이다.

  • PDF

한국 미기록속 Helina Robineau-Desvoidy (국명: 어리가시집파리속)의 보고 (New Record of the Genus Helina Robineau-Desvoidy (Diptera: Muscidae) from Korea)

  • 김동민;조태호;서상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07-314
    • /
    • 2023
  • Helina Robineau-Desvoidy (어리가시집파리속, 신칭)은 집파리과(Muscidae) 가시집파리아과(Phaoniinae)에 속하는 큰 분류군 중 하나로 전세계에 540여종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기록이 이루어진 바가 없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미기록속 Helina Robineau-Desvoidy 및 미기록종 H. deleta (Stein, 1914), H. evecta (Harris, 1780), H. subpubiseta Xue, 1986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또한, 분류학적 정보, 형태학적 사진 및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한국미기록 황민무늬수염밤나방(나비목, 밤나방과, 수염밤나방아과) (A Newly Recorded Species, Pseudalelimma miwai Inoue (Lepidoptera, Noctuidae, Herminiinae) from Korea)

  • 변봉규;류동표;박상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61-263
    • /
    • 2013
  • 본 연구를 통해 한국미기록속인 Pseudalelimma속과 본 속에 속하는 1종, Pseudalelimma miwai Inoue가 강원도 영월지역에서 채집되어 한국 미기록종으로 기록된다. 본 고에서는 이들의 채집지 기록, 국내외분포 및 알려진 기주식물 정보 등을 정리하여 보고한다.

한국산 미기록속 밑들이자루맵시벌속(신칭) (벌목: 맵시벌과: 짧은자루맵시벌아과)의 1미기록종 보고 (New Record of the Genus Notopygus Holmgren, 1857 (Hymenoptera: Ichneumonidae: Ctenopelmatinae) from South Korea)

  • 최진경;이종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25-12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미기록속인 밑들이자루맵시벌속(신칭)과 미기록종인 밑들이짧은자루맵시벌(신칭)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밑들이자루맵시벌속은 잎벌류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마디 끝부분이 위쪽으로 굽어져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논문에는 미기록속, 미기록종의 기재문과 사진을 제공한다.

한국 미기록 4종의 식물기생선충에 관하여 (Four Unrecorded Plant Parasitic Nematodes from Korea (Tylenchida: Nematoda))

  • 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9-125
    • /
    • 1984
  • 식물기생성 선충을 조사중 Tylenchida 목에 속하는 Aphelenchoides parasaprophilus, Paraphelenchus myceliophthorus, Helicotylenchus belli, Quinisulcius capitatus 등 4종의 우리나라 미기록종을 발견하고 형태적 특성을 기술하였다. 이중에 Paraphelenchus 속과 Quinisulcius 속은 우리나라 미기록속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식물기생 선충은 2목 18과 44속 102종이 발견되였다.

  • PDF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III) -수종 미기록 고약버섯류에 대하여-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III) -on some unrecorded corticioid fungi-)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4호통권79호
    • /
    • pp.265-273
    • /
    • 1996
  • 1994년 10월부터 1995년 6월까지 8개월 동안 우리나라의 중부와 남부의 전역을 통하여 도합 28차례에 걸쳐 12개 국립공원, 2개 도립공원, 및 6개 일반 산악지역을 위시한 우리나라의 전역을 중심으로 정기적인 고등균류 탐색을 실시하여 도합 634점의 목재부후균류를 채집하고 그중 90% 이상을 차지하는 당자균류 민주름버섯류에 대한 체계적인 동정과 분류를 시도하여 국내 민주름버섯류의 미기록종과 고유종의 발굴을 수행하고 도합 9과 49속 92종의 민주름버섯목 균류를 일차적으로 확인하였다. 동정된 균류중 1속 6종은 국내 미기록으로 확인되었고 해당 미기록속은 Phlebiopsis (좀아교고약버섯속, 신칭)이며, 해당 미기록종은 고약버섯과의 Athelia bombacina (막부후고약버섯, 신칭), Ceraceomyces sublaevis (참밀고약버섯, 신칭), Hyphoderma sibiricum (틈목재고약버섯, 신칭), Hyphodontia arguta (침돌기고약버섯, 신청), Phlebiopsis gigantea (좀아교고약버섯, 신칭), 및 Radulomyces confluens (이빨버섯)이다. 1994년 정학성은 한국균학회지에 게재한 한국산 목재부후균류의 분포상에 대한 연구 제 2보를 통하여 국내 목재부후균류의 민주름버섯류를 98속 217종 1변종으로 확인한바 있으며, 이어 1995년도에 게재한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제 1보에서 발표한 2속 7종 미기록과 1996년도에 게재한 제 2보에서 발표한 1속 6종 미기록과 함께 본 연구의 1속 6종 미기록을 합산하면 한국산 목재부후 민주름버섯류는 도합 17과 102속 236종 1변종으로 집계되었다. 이들 미기록종중 막부후고약버섯은 상수리나무, 참밀고약버섯은 미확인 활엽수, 틈목재고약버섯은 오리나무, 침돌기고약버섯과 이빨버섯은 벚나무, 좀아교고약버섯은 소나무에서 발견되었다. 이들 미기록종은 서울 근교의 북한산과 관악산에서 채집되었으며 과거 서울근교에서 조사된 균류의 분포기록이 미비한 점과 대도시의 공해와 등산객의 행락에 의한 오염에도 불구하고 다양하고 특이한 균류의 분포상이 발견되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서울 근교와 서울 주변의 경기도 일대는 도시오염과 관련하여 민주름버섯류의 분포상 조사에 매우 적합한 지역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