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기록과

검색결과 1,921건 처리시간 0.037초

한국의 미기록속 Ectopsocus McLachlan, 1899 (다듬이목: 외다듬이벌레과)의 보고 (A New Record of the Genus Ectopsocus McLachlan, 1899 (Psocodea: Ectopsocidae) from South Korea)

  • 김재윤;홍기정;이원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09-112
    • /
    • 2023
  • 국내 미기록속인 Ectopsocus를 미기록종인 E. briggsi McLachlen,1899 (외다듬이벌레; 신칭)와 함께 보고한다. E. briggsi은 한반도의 남부지역인 거제, 진주, 울산, 제주에서 채집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이 종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외형과 진단형질의 사진을 제공한다.

한국산 검정꼬마자루맵시벌속과 가시자루맵시벌속의 (벌목, 맵시벌과, 배자루맵시벌아과) 3미기록종에 관한 보고 (Three New records of the Genera Cremastus and Pristomerus (Hymenoptera, Ichneumonidae, Cremastinae) from South Korea)

  • 최진경;강규원;이종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69-17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검정꼬마자루맵시벌속 (Cremastus Gravenhorst, 1829)과 가시자루맵시벌속 (Pristomerus Curtis, 1836)의 3미기록종 (Cremastus crassitibialis Uchida, 1940, Pristomerus rufiabdominalis Uchida, 1928 and P. scutellaris Uchida, 1932)을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보고 한다. 이 중 검정꼬마자루맵시벌속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속이다. 본 연구결과인 3 미기록종을 포함하여 현재 배자루맵시벌아과는 국내에 4속 11종이 기록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산 배자루맵시벌아과의 속 검색표, 미기록종의 재기재문 및 이미지를 제공하였다.

제주도산 단미류(갑각류 : 십각류)의 분류학적 연구 (The Brachyuran Crabs of Cheju Island , Korea (Crustacea : Decapoda))

  • 김훈수;장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권1_2호
    • /
    • pp.41-60
    • /
    • 1985
  • 제주도산 게류상을 밝히고 이것들을 분류하기 위하여 미동정 기존 표본등과 1985년 1월-5월사이에 15개 지소에서 채집된 표본들을 동정하고 아울러 문헌상의 기록도 종합·정리하였다. 그 결과 16과 104종의 분류목록을 얻었다. 104종 중 제주도 미기록종이 8종이며, 이중 Pugettia minor, Menaelthius monoceros , Echinoecus pentagonus 등 3 종은 한국미기록종인 바 도판과 함께 Remarks 등을 기록했다. 제주도산 게류 104종은 한국 기지종 183종의 56.8%를 차지하며, 104종 중 41%(39.4%)은 한국에서는 제주도 해역에서만 발견된 것이고 62종은 남방형이다.

  • PDF

한국산 수피나무좀과 암브로시아 나무좀의 추가 기록 (Supplementary Notes on the Bark and Ambrosia Beerles of korea)

  • 추호렬;우건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9
    • /
    • 1989
  • 1987년 1종의 긴나무좀과 52종의 나무좀이 채집되었다. 그중 Hylurgops Palliatus와 Xyleborus amputatus 2종은 미기록종이었다. 한편 기록뿐인 나무좀들로 몇몇 확인되지 않았던 종들도 조사기간동안 채집되었으며 미기록종의 형태적 특징을 기술하였다.

  • PDF

울릉도의 균류상(VI) -자낭균류, 목이류, 및 복균류에 대하여- (Fungal Flora of Ullung Island (VI) -on ascomycetous, auriculariaceous, and gasteromycetous fungi-)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72호
    • /
    • pp.1-9
    • /
    • 1995
  • 1989년 10월부터 1993년 10월까지 도합 10차례에 걸쳐 울릉도 전역을 탐색하여 채집한 70 여점의 목이류, 복균류, 및 자낭균류의 표본을 분류 동정한 결과 자낭균아문의 반균강 주발버섯목이 3속 4종, 반균강 고무버섯목이 2속 1미기록속 2종 1 미기록종, 핵균강 맥각균목이 1속 1종, 핵균강 콩버섯목이 3속 1종 3 미기록종, 담자균아문의 균심강 목이목이 1속 1종, 및 복균강 말불버섯목이 3속 4종으로서 2 아문, 4 강, 6목, 10 과, 13속 1 미기록속에 13 기록종과 4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확인된 미기록속은 Dasyscyphus(신칭(新稱), 털종지버섯속(屬))으로, 미기록종은 Dasyscyphus virgineus (신칭(新稱), 솜털종지버섯), Hypoxylon serpens(신칭(新稱), 주름방석꼬투리버섯), Hypoxylon rubiginosum(신칭(新稱), 갈색방석꼬투리버섯), 및 Eutypa scabrosa(신칭(新稱), 돌기마른버짐버섯)으로 판명되었다. 본 목록에다 기존에 발표된 보고서의 기록종을 합하면 울릉도의 목이류, 복균류, 및 자낭균류는 도합 2 아문, 4 강, 9 목에 15 과, 22 속, 27종으로 집계되었다. 울릉도의 목이류, 복균류, 및 자낭균류에 대한 전반적인 균류상은 육지의 경우에 비하여 매우 제한된 종류의 분포상을 보이고 있었다. 육지의 산림에서 흔히 채집되는 자낭균류의 안장버섯, 곰보버섯, 콩꼬투리버섯, 담자균류의 흰목이, 어리알버섯, 찻잔버섯과 같은 종류들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며, 반면에 동충하초, 콩버섯, 및 털목이 종류가 우점종으로 주로 발견되었다. 특히 털목이는 전적으로 말오줌때의 죽은 나무에 서식하고 있으며 울릉도의 주민들은 이 나무를 "목이나무"라고 부르고 있어서 섬지방의 삼림환경에 잘 적응된 균류로 사료되었다. 이들 균류들은 울릉도의 부식토, 토양, 나무가지, 죽은 나무 등지에서 주로 발견되었으며, 이 지역에 적응하여 서식하는 우점종들은 섬의 도처에서 주기적으로 채집되었으나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종류들은 단지 육지에서 찾아 볼 수 있는 균류상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아 육지로부터 고립된 도서지방의 균류상의 한계성을 찾아 볼 수 있었다.

  • PDF

한국미기록속 및 종인 큰머리긴고목벌레(신칭)(딱정벌레목, 톱가슴긴고목벌레과)에 대한 보고 (A Newly Recorded Genus and Species in Korea, Mimemodes emmerichi Mader, 1937(Coleoptera: Monotomidae))

  • 강태화;안미영;박해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9-192
    • /
    • 2008
  • 한국미기록속인 큰머리긴고목벌레속(신칭) 및 한국미기록종인 큰머리긴고목벌레(신칭)를 보고 하고, 이들이 배속된 과명에 대한 논란과 변천을 소개하고자 한다. 큰머리긴고목벌레는 일본에서만 알려져 있었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 한국의 서해도서지역에서도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 한국산 긴고목벌레과는 기존에 알려진 종을 포함하여 총 5종이 기록된다.

낙엽날개뱀잠자리붙이아과의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 Drepanepteryx phalaenoides (Linné) (풀잠자리목:뱀잠자리붙이과) (A New Record of the Genus and Species, Drepanepteryx phalaenoides (Linné) (Neuroptera:Hemerobiidae:Drepanepteryginae) from Korea)

  • 김슬기;조수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09-312
    • /
    • 2016
  • 그 동안 국내 Drepanepteryginae 아과(낙엽날개뱀잠자리붙이아과; 신칭)에는 오직 Neuronema albostigma만이 기록되어 있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록속인 Drepanepteryx와 이 속에 포함되는 미기록종 Drepanepteryx phalaenoides (낙엽날개뱀잠자리붙이; 신칭)를 새롭게 보고한다. 이 종에 대한 간략한 기재와 속내 분류키, COI 바코드 염기서열, 그리고 성충 및 수컷 생식기의 사진을 제공한다.

북한산(北韓産) 잎말이나방과(科) (나비목(目))의 2미기록종 및 새로운 채집지 보고 (Two Unrecorded Species of Tortricidae (Lepidoptera) from North Korea, with Notes on Collection Localities of North Korean Tortricids Deposited at the Hungarian Natural History Museum)

  • 변봉규;이봉우;배관호;최준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3-59
    • /
    • 2013
  • 지난 1970년이래 헝가리자연사박물관의 북한지역 탐사를 통해 채집조사되어 보관된 표본을 대상으로 검경한 결과 북한산 잎말이나방과 12종이 추가로 분류 동정되어 보고한다. 이중 2종(Notocelia rosaecolana Doubleday, Rhopobota ustomaculana Curtis)은 북한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북한미기록종이었다. 이외에 보고되는 10종은 주로 기존문헌에 목록에만 포함되어 있어 정확한 분포정보들이 없어왔던 종들로 금번연구를 통해 새로운 분포지가 기록되는 종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번에 보고되는 2종의 북한미기록종과 새롭게 채집지가 확인된 10종의 목록을 정리하여 보고하며 각 종별로 채집지기록, 국내외 분포 및 기주식믈정보 등을 제시하였다.

한국산 미기록 3종의 미소나방에 관한 보고 (나비목: 우묵날개뿔나방과, 집나방과, 둥근날개뿔나방과) (New records of three micromoths (Lepidoptera) from Korea)

  • 이강운;박규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517-52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묵날개뿔나방과(Peleopodidae), 집나방과(Yponomeutidae), 둥근날개뿔나방과(Depressariidae)의 3 미기록종(Acria emarginella Donovan, 1806, Yponomeuta cinefactus Meyrick, 1935, Depressaria leucocephala Snellen, 1884)을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중 우묵날개뿔나방과와 둥근날개뿔나방과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과(Family)이다. 본 논문에서는 3종의 미기록종에 대한 애벌레, 번데기의 사진과 성충의 생식기를 제공하였다.

한국미기록 Cameraria속(屬) (나비목(目): 가는나방과(科): 가는나방아과(亞科))의 3미기록종(未記錄種) 보고 (The Genus Cameraria Chapman, 1902 (Lepidoptera: Gracillariidae: Lithocolletinae), New to Korea)

  • 김다솜;안능호;변봉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313-318
    • /
    • 2022
  • 본 연구를 통해 가는나방과의 Cameraria속(屬)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며, 본 속(屬)의 3종 이 한국미기록종으로 기록된다. 본 연구에서 보고되는 모든 종에 대한 분류 및 기주식물 정보를 종합하여 정리하였으며 성충 및 생식기의 특징을 도해와 함께 재기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