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국산

검색결과 558건 처리시간 0.034초

미국산 활엽수재의 수요와 그 전망 (U.S. Hardwood Markets and Future)

  • 허남주;박재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65-71
    • /
    • 1988
  • 캐나다가 미국산 활엽수재의 가장 큰 수입국이며 수입된 일부 제재목과 수입원목으로 제조된 단판중 일부는 유럽으로 재 수출되고 있다. 수입 물량적인면에서 캐나다는 다른 국가와의 격차는 좁혀지더라도 미국산 활엽수재의 제1위 수입국의 위치를 당분간 유지할 것이다. 유럽에서의 제재목 수요가 1973년부터 1983년간의 10년간에는 급진적으로 증가 되었지만 1984년에 는 갑자기 감소되었다. 이와같은 현상은 과거 유럽 전통가구에 소재(素材)를 많이 사용했지만 현재는 소재(素材)를 적게 사용하고 단판이나 인쇄한 종이를 붙인 파아티클 보오드(PB)를 더욱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유럽지역에서는 가구의 크기를 줄이거나 가구에 사용되는 원자재의 비용을 줄임으로 제품의 가격을 싸게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할려고 하고 있으며 활엽수재의 가격이 너무 비싸 가구제조업체들은 소재(素材)를 다른 것으로 대체하고 보다 값싼 수종을 모든 지역에서 찾고 있는 중이다. 태평양 연안국가에서의 미국산 활엽수재의 수입 물량은 계속 증가되어 미국산 활엽수 총 수출 물량의 약 23% 정도 된다. 자유중국과 일본에서 미국산 활엽수재를 가장 많이 수입하고 있다. 자유중국은 주로 수출용 가구부품및 가구에 사용되는 red oak와 white oak 가 주 수종이고 가구는 미국으로 재 수출하고 있다. 일본은 주로 black cherry, yellow poplar와 cotton wood를 수입하는데 수입량의 약 67%는 대패질한 건조 가공품이다. 자유중국에서와는 달리 일본에서의 미국산 활엽수의 용도는 일본산 활엽수의 대체수종으로 허용되고 있다. 앞으로 일본에서의 미국산 활엽수재의 수요는 일본 국내시장의 요인에 의해 좌우될 것인데 한정된 물량의 일본산 활엽수재와 온대 활엽수재의 요구에 영향을 받을 것이다.

  • PDF

국내산과 미국산 블루베리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American blueberries)

  • 문혜경;이수원;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24-531
    • /
    • 2013
  • 국내산 블루베리와 미국산 블루베리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과 당도를 분석한 결과 미국산과 국내산 값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pH는 국내산 4.49, 미국산 3.46으로 낮게 나타내었으며 색도는 L, a, b 값 모두 미국산이 국내산 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국내산이 205.29 mg%, 미국산이 182.87 mg%로 나타났고, DPPH radical 소거 활성능은 국내산이 93.48%, 미국산이 84.32%를 나타내었다. 유리당 함량은 국내산은 fructose 2,514.10 mg%, glucose 2,315.81 mg%, sucrose 69.01 mg%가 함유되어 있었고, 미국산은 fructose 2,106.06 mg%와 glucose 1,825.20 mg%만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기산 함량에서 국내산은 lactic acid 3.65 mg%와 tartaric acid 0.30 mg%가 함유되어 있었고, 미국산은 tartaric acid 2.51 mg%, succinic acid 2.47 mg%, malic acid 1.34 mg%, oxalic acid 0.24 mg%, lactic acid 0.16 mg%가 함유되어 있었다. 유리아미노산 40종 중 국내산 12종, 미국산 9종의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었고, 총함량은 국내산 3,90.74 mg/100g, 미국산 295.61 mg/100g 으로 미국산에 비해 국내산이 32% 더 많이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함량은 미국산은 2,897.08 mg%로 국내산 2,783.51 mg%보다 조금 높았으며 oleic acid>linoleic aicd>palmitic acid 순을 나타났다. 무기질 P, K, Ca 함량에서 국내산은 각각 728.903 mg%, 460.281 mg%, 157.527 mg%, 미국산은 6,948.421 mg%, 491.750 mg%, 189.152 mg%로 나타났으며, P>K>Ca>Mg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국내산 블루베리가 유효 화학성분이나 생리활성적 특성이 미국산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산지가 다른 메밀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uckwheat Starches from Different Areas)

  • 김진기;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98-603
    • /
    • 2004
  • 산지가 다른 지역(대만, 중국, 한국, 미국)에서 자란 4종의 메밀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전분의 외형은 4종 모두 다각형의 입자로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X-ray 관찰결과 대다수의 천연 전분과 마찬가지로 4종 모두 A형에 속해 있었다. 수분함량은 6.3-9.58%사이에 있었으며, 조 단백은 대만산과 중국산이 한국산과 미국산시료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지방함량은 한국산과 중국산이 다른 2종의 시료보다 높게 나타냈다. 청가(BV)를 살펴보면 중국산이 0.3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한국산이 0.3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미국산이 27.6으로 가장 높고, 한국산이 가장 낮았다. 물결합력에서는 대만산의 시료가 가장 높고, 미국산이 가장 낮았다. 아밀로오스 함량이 비교적 높은 중국산과 미국산은 팽윤력과 용해도에서 낮게 나타났다. 신속점도측정기(RVA)에 의한 측정결과 최고점도, 가공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breakdown, 노화에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는 setback 모두 미국산이 가장 높게 나타나 미국산이 비교적 hard gel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국산 보리와 미국산 보리의 제맥특성 (Malting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North American Barley Varieties)

  • 이원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03-208
    • /
    • 1989
  • 한국산 맥주맥 8종, 미국산 맥주맥 9종 및 한국산 6조맥 겉보리 3종의 제맥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미국산 보리는 한국산 보리에 비하여 발아력이 우수하고 추출수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당화력도 우수하였다. 미국산 보리의 단백질함량은 $11.8{\sim}14.2%$로 비교적 일정하였으나 한국산 보리의 단백질 함량은 $9.7{\sim}15.5%$로 다양하였다. 한국산 6조맥 입식용 겉보리는 2조맥 맥주맥에 비하여 발아력, 추출수율, 당화력이 떨어지고, 맥즙의 점도가 현저히 높아 여과에 어려움이 있어 맥주제조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 PDF

국내산과 수입산 석류의 화학적 성분과 기능적 특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imported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 김미숙;윤설희;나환식;박학재;최경철;양수인;이지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2-347
    • /
    • 2013
  • 본 연구는 고흥산과 수입산 석류의 화학적 성분분석 및 생리활성 기능을 분석하여 기능성 물질의 소재 개발과 착즙 후 버려지는 부산물 활용 방안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석류 과즙 중 주요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주요 유리당으로는 fructose, glucose가 확인되었다. 석류의 폴리페놀 함량은 고흥산 과피에서 149.91 mg/g으로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함량을 보인 과즙보다는 약 100배 정도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석류의 부위별 ellagic acid 함량을 분석한 결과 고흥산 과피에서 14.22 mg/g으로 미국산에 비해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고흥산과 미국산 모두 과즙이나 씨 보다는 과피에서 ellagic acid 함량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석류 부위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고흥산과 미국산 모두 과피, 씨, 과즙 순으로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다. 고흥산과 미국산 부위별 추출물의 전립선암 세포증식 억제능을 분석한 결과 산지에 관계없이 과피, 과즙, 씨 순으로 암세포 성장억제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과즙과 씨에서는 고흥산이 미국산에 비해서 암세포 성장억제능이 더 우수하였으며 과피 추출물에서는 미국산이 더 우수하였다.

아미노산 조성(組成)으로 본 국산소맥(國産小麥)의 제(製)빵특성(特性) (Bread Bak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Varieties seen from their Amino Acid Composition)

  • 류인수;오남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5-208
    • /
    • 1980
  • 제빵 적성면(適性面)에서 본 우리나라 소백 품종의 단백질(蛋白質) 및 아미노산 조성상(組成上)의 특징(特徵)은 다음과 같다. 1. 국산 소맥분의 단백질 함량은 미국산 제빵용 소백분에 비해 상당히 떨어지는 10%미만으로서 제빵용으로는 약간 부족(不足)한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 2. 우리나라 소맥 품종의 아미노산 조성상(組成上)의 특징(特徵)으로는 제빵적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있는 g1utamic acid의 경우 미국산(美國産) 제빵용 소맥분에 비해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위시료중(單位試料中) 함양(含童)으로는 약 25%의 낮은 수준을 보였다. 3. 국산소맥의 proline 및 cystine의 조성(組成)은 미국산 제빵용 소맥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lysine, ammonia와 aspartic acid의 경우는 약간 높은 수준을 보였고, 필수아미노산 조성(組成)은 약간 낮은 경향을 보였다. 4. 일반적으로 국산소맥의 단백질 함량 및 아미노산 조성(組成)은 미국산 제빵 및 제과용 소맥분의 중간(中間)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산 소맥중에서는 영광(永光)이 미국산 제빵용 소맥분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원산지가 다른 대두박의 영양적 가치평가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Nutritional Value of Soybean Meal from Various Geographic Origin and Effect of Their Dietary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of Broilers)

  • 이보근;김재영;김지숙;유선종;안병기;김은집;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3호
    • /
    • pp.217-224
    • /
    • 2009
  • 본 연구는 일반대두박인 아르헨티나, 인도 및 한국산 그리고 탈피대두박인 미국산 대두박의 육계 사료원료로서의 영양적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두박의 영양적 가치평가를 위해 일반성분, 아미노산 함량, TME, TMEn, 아미노산 이용률, urease 활성도 및 KOH 용해도를 측정하였고, 육계의 생산성 평가를 위해 20일령의 육용종 수평아리 (Ross) 400수에게 옥수수-대두박을 기초로 각 처리구 별로 원산지가 다른 대두박을 이용한 실험사료를 15일간 급여하였으며, 4처리 4반복 (반복당 25수)으로 완전 임의 배치하여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대두박의 일반성분과 아미노산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조단백질 함량은 45.43% (아르헨티나산)에서 48.47% (미국산)의 범위였고, 조지방 함량은 1.11% (인도산)에서 1.96% (아르헨티나산)의 범위였다. 조회분 함량은 5.89% (아르헨티나산)에서 7.18% (인도산)의 범위였고, 조섬유 함량은 3.48% (미국산) 에서 7.12% (인도산)의 범위였다. 아미노산의 함량은 조단백질 함량과 비례하여 미국산이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의 아미노산 함량에서 인도산과 아르헨티나산이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다. 에너지 함량 즉 TME와 TMEn 값은 미국산이 각각 3245.4 kcal/kg 및 3228.9 kcal/kg으로 가장 높았으며, 한국산, 아르헨티나산, 인도산의 순으로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아미노산 이용률은 평균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나, 미국산이 가장 높았고 한국산, 아르헨티나산, 인도산의 순으로 낮았다. Urease 활성도는 대두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KOH 용해도의 결과를 보면 아르헨티나산의 KOH 용해도가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모든 대두박이 허용치를 벗어나지 않아 모두 적절한 열처리를 한 대두박의 결과를 나타냈다. 종료체중, 증체량 및 사료섭취량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료요구율은 미국산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P<0.05). 도체특성 및 혈 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본시장에 유통중인 한국산과 각국산 닭고기의 물리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 비교 (The Quality Attributes of Chicken Meats Imported from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Japanese Market)

  • 최일신;김일석;사메지마쿠니히코;민중석;이상옥;이무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07-313
    • /
    • 2001
  • 본 연구는 일본 동경지역에서 시판되고 있는 한국산과 각국산 계육의 미생물학적, 물리화학적 품질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시료는 일본 동경 지역 판매점에서 냉동저장(-2$0^{\circ}C$$\pm$1) 상태에서 시판되고 있는 각국산 계육의 가슴육과 다리육을 각각 구입하여 일본 낙농학원대학 식품과학과 연구실에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가슴육은 한국산과 일본산, 중국산이 비교분석되었고, 다리육은 한국산 일본산, 중국산, 미국산, 태국산이 각각 비교분석되었다. 가슴육의 일반성분의 경우 조지방의 함량은 한국산 계육의 경우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조단백질과 조회분(P<0.01)은 중국산 닭고기가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수분 함량은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P<0.001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가슴육의 물리화학적 특성에서는 보수성의 경우 일본산 닭고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지방의 산화정도를 나타내는 TBA값이 한국산과 중국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가슴육의 미생물수준은 각 국산간에 총균수, 대장균군 모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001), 총균수의 경우 중국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산 닭고기 가슴육은 가장 높은 대장균군을 나타내었다. 다리육의 일반성분 경우 수분은 미국산과 태국산이 높게 나타났으며(P<0.001), 조지방 함량은 미국산 닭고기 다리육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닭고기 다리육의 명도(L value)와 황색도(b value)는 모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001), 명도의 경우 태국산과 일본산이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반면 황색도에서는 일본산의 경우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닭고기는 다리육의 미생물수준은 총균수와 대장균군 모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O<0.001). 총 균수는 태국산이 $10^{5}$ 이상의 수준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외 다른 나라들의 경우는 $10^{4}$이상의 수준으로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의 경우 미국산과 한국산, 중국산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다.

  • PDF

한국산과 미국산 프로폴리스의 항돌연변이 및 항균효과 (Antimutagen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Korean and American Propolis)

  • 장일웅;박정섭;권형철;정문웅;최동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94-699
    • /
    • 2009
  •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균효과를 시험하여 국내산과 미국산 프로폴리스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항돌연변이 활성은 Ames test로, 항균활성은 여드름 형성에 관여하는 미생물인 P. acnes, S. Epidermidi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한 생육 억제효과를 paper disk 법과 agar dilution 법으로 평가하였다. S. Typhimurium TA98 균주에 있어서 $1-200\;{\mu}g$/plate 농도로 70%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했을 때 Trp-p-1에 의해 유도된 돌연변이에 대해 국내산 0.9-91.3%, 미국산 0.5-104.2%, 2-AA에 의해 유도된 돌연변이에 대해서는 국내산 37.6-94.4%, 미국산 21.0-97.7%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용량 의존적으로 각각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paper disk 법으로 평가했을 때 P. acnes, S. Epidermidi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해 70% 에탄올 추출물의 $5,000\;{\mu}g$/paper disk 농도에서의 생육 저지환의 크기는 국내산이 각각 5.7, 5.9, 6.8, 5.2 mm, 미국산이 각각 5.7, 6.2, 6.7, 5.9 mm이었다. Agar dilution 법으로 평가한 MIC는 P. acnes, P. aeruginosa S. Epidermidi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해 국내산, 미국산 모두 5,000, 1,500, 1,500, $1,500\;{\mu}g/mL$로 나타났다.

설치동물에서 통증에 대한 한국산 및 미국산 봉독의 진통효과의 비교 (Comparison of Antinociceptive Effect of Korean and American Bee Venoms on Pain in Rodent Models)

  • 김종민;한태성;강성수;김근형;최석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63-667
    • /
    • 2010
  • 본 연구는 설치모델 동물에서 봉독의 항통각 효과를 평가하고, 한국산 봉독과 미국산 봉독의 항통각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 주된 관심이다. 한국산 봉독은 특별히 고안된 봉독 추출기를 사용하여 일벌 (Apis mellifera L.)에 전기충격을 가하여 생봉독을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생봉독은 봉독 건조기를 이용하여 봉독을 건조하였다. 미국산 봉독은 미국 시그마회사에서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건조 봉독을 이용하였다. 한국산 봉독과 미국산 건조봉독을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체중 kg당 6 mg과 0.6 mg, 0.06 mg을 마우스와 랫드에 피하로 투여하여 항진통 효과를 조사하였다. 항통각 효과는 한국산 봉독과 미국산 봉독은 서로 비슷하였으며, 봉독의 용량이 많을수록 항통각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국산 건조 봉독은 통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