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각감각기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63 seconds

The Gustatory Sense Organs in the Mouthparts of the Adult Green Leafhopper (Cicadella viridis L.) (말매미충 (Cicadella viridis L.) 구기내의 미각감각기)

  • 이비파;한성식;이문홍;최귀문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29 no.3
    • /
    • pp.201-208
    • /
    • 1990
  • The gustatory sense organs in the mouthparts of th adult Green Leafhopper (Cicadella viridis L.) we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gustatory sensilla were composed of ten D-sensilla on the precibarim, eight P-sensilla on the wall of both side of eipharyngeal basin, and two H-sensilla in the food canal of the hypopharynx. D- and P-sensilla were again subdivided into 2 subtypes as two types by their morphology. Beneath the cuticle of epipharynx, two paris of nerve bundles were seen originating from D- and P-sensilla, respectively. And a pair of nerve bundles from H-sensilla, beneath the cuticle of hypoharynx, was observed.

  • PDF

노년건강시대 - 올바른 식탁관리로 노년 건강을 관리하자

  • Choe, Yong-Gyun
    • 건강소식
    • /
    • v.34 no.6
    • /
    • pp.14-15
    • /
    • 2010
  • 어머니의 손맛이 예전 같지 않고 짜거나 맵거나 달다면 노년이 되었다는 결정적인 증거이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가 노화되고 미각 세포의 기능이 저하되어 맛에 대한 감각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미각이 떨어졌다는 것은 노년 건강을 위한 식탁관리가 되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노년에는 영양상태가 건강상태를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인데 노년이 되면 미각 저하는 물론, 식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장기 기관의 능력이 저하되어 올바른 영양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미각이 떨어진 노년기의 식탁관리에 대해서 알아본다.

  • PDF

Measurement of Preference for coffee component using Time-Intensity curve (Time-Intensity curve를 이용한 커피성분의 선호도 측정)

  • 오지영;민병찬;정순철;민병운;김상균;김유나;신정상;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401-406
    • /
    • 1999
  • 생활이 풍족해질수록 사람들은 음식이나 음료를 통하여 미각을 즐기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미각이 발달한 사람들은 다른 감각이 발달한 사람들보다 소비 욕구가 왕성하여 상품정보에 밝은 편이고 신제품에 대한 호기심도 많아 주요고객으로 환영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미각은 소비성향의 척도가 될 수 있으며, 이것이 상품개발에 중요한 지표가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맛에 민감하다거나 둔감하다고 표현되는 개인의 미각물질에 대한 감도는 개인마다 일정치 않다. 이것은 미각물질에 따라 개인의 상대적인 역치의 고조나 미각 강도의 대소가 다르거나 감도가 다른 미각물질에 대한 수용구조에 개인차가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개인차가 있는 미각을 표준화된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미각강도 측정을 위한 Time-Intensity curve는 1958년 음식물의 특성에 대해 관심을 가졌던 Nielson에 의해 개발되었는데 최근에 Takagi와 Asakura가 Time-Intensity curve분석과 기록을 위해 microcomputer를 이용한 방법을 개발하였다. 그들의 방범은 Time-Intensity curve를 모니터에 보여주고 data를 floppy discs에 기록하여 software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것을 좀더 편리하고 단순하게 만들기 위해 감각의 강도를 전기적 저항의 interface를 통하여 computer에 입력하는 대신에 mouse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새로이 개발된 Time-Intensity curve를 이용하여 커피성분 중 설탕과 프림의 농도에 변화를 주어 맛의 좋고 싫음의 미각강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상품개발의 중요한 지표가 되는 미각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었고 이것은 향후 commercial한 상품의 개발에 유용한 지표가 될 것이라고 본다.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연구 조직에서 일하는 외국인 연구자들의 동기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관관계, 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을 통해 활용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설문 분석을 통하여 동기 및 성과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전통적인 동기 이론들과 부합한다. 대부분의 변수가 동기 및 성과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조직 협력 문화, 외국인 연구자의 의사소통 및 협력성, 외국인 연구자의 연구 능력 관련 변수들 및 연구 프로젝트의 기술수명주기, 외국인 연구자의 기존 기술지식의 흡수 등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가 주로 중국 및 러시아 과학자들을 활용하여 상업화하는 외국인 연구인력 활용 패턴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즉 우호적인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는 연구 조직에서, 이미 과학기술 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고 연구 능력도 높은 외국인 과학기술자를, 한국에서 기술이 태동 또는 성장하고 있는 연구 분야에서 활용하는 것이 가장 성과가 좋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국내에서 최초로 수행된 본 연구는 외국인 연구 인력의 활용 성과가 매우 높으며, 우리의 과학기술혁신시스템을 보완하는 유효한 수단으로써 외국인 연구 인력이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외국인 연구 인력을 잘 활용하기 위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활용 환경, 연구 인력이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외국인 연구 인력을 잘 활용하기 위하여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활용 환경, 연구 인력관리. 인력 교류사업, 외국인 과학자 지원 창구 등으로 나누어서 정리하였다. 연구시설, 주거시설 등의 하드웨어적 환경에 대한 개선도 중요하지만 연구 인력의 관리 능력 제고, 인력 교류 사업의 개선, 정보 제공 등 소프트웨어적인 활용 능력을 제고하는데 정책적인 관심을 기

  • PDF

Ultrastructure of Appendages of the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um,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um) 성충 부속지의 외부 미세구조 관찰)

  • Seo, Mi-Ja;Kim, Gi-Duck;Kim, Nam-Sung;Park, Soo-Jin;Chae, Soon-Yong;Youn, Young-Nam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26 no.2
    • /
    • pp.13-18
    • /
    • 1999
  • External morphology characteristics of the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um were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antennae of the greenhouse whitefly was 6 segments. rod-shape, and 0.3mm length. On the 6th segment, there were many sensilla for searching host-plant as olfactory receptor. The mouthpart of the greenhouse whitefly was a piercing-sucing type, then its stylet was well developed for piercing plant leaf tissue. Claw of the foreleg was a 3-way hook shape including paranychium for attaching plant surface to pierce and lay egg.

  • PDF

Estimation of Lifetime Data Storage Capacity for Human Senses (인간 감각 정보를 위한 평생 기억용량 평가)

  • You, Young-Gap;Song, Young-Jun;Kim, Dong-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
    • /
    • pp.23-29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 capacity estimation of a storage system accumulating all data sensed during the lifetime of an individual human being. The calculation assumes modern data compression and data collection schemes based on wearable or implanted devices under ubiquitous environment. More than 76% of the storage area is found to be used for video data storage of common TV image quality. The remaining storage area is for data from other sensing organs including audio, taste, olfactory and tactual systems in addition to indexing information. Total storage area of around 600 tera bytes is needed to cover 100 years of human life including his fetal period.

A proposal for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taste terms (한국어의 '맛 어휘' 분류 체계)

  • Kim, Hyeong Min
    • 기호학연구
    • /
    • no.56
    • /
    • pp.7-44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classification of Korean taste terms, especially Korean taste adjec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taste terms is here grounded in the definition of 'taste sense', 'flavor' and 'taste' which is usually employed in disciplines of cognitive science. There have been a large number of domestic researches in field of taste terms. Accordingly, a lot of research findings on the classification of taste terms have steadily been released showing the differences among researchers. These different classifications are largely based on the fact that researchers have applied their subjective criteria rather than their objective in order to categorize taste term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is well-known that, in everyday usage, the term 'taste' covers a much wider range of qualities than those perceived through the taste receptor cells alone. In addition, we take it for granted that as much as 80~90% of taste comes from olfactory modality.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e texture and temperature of food, the color of food, the sounds of food, and atmospheric cues have an essential effect on taste perception. Many scientists have already pointed out that taste evaluations are influenced by a number of individual and sociocultural factors. Eating and tasting are important parts of our everyday life, so that linguistic approaches to taste perception seem to be of great significance. We can assume that a classification of taste term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s may shed light on the perceptive mechanism through which we perceive taste.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paper is an advanced work prepared for the follow-up study which will try to make a geometric model of word field 'taste terms' existing or probably existing in the mental lexicon of human beings.

A change of the public's emotion depending on Temperature & Humidity index (온습도에 따른 대중의 감성(감정+감각) 활동 변화)

  • Yang, Junggi;Kim, Geunyoung;Lee, Youngho;Kang, Un-G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0
    • /
    • pp.243-252
    • /
    • 2014
  • Many researches about the effect on politics, economics and Sociocultural phenomenon using the social media are in progress. Authors utilized NAVER Trend most famous web browsing service in korea, NAVER Blog social media, NAVER Cafe service and Open Data(API) and also used temperature, humidity index data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is study analyzed a change of the public's emotion in korea using Cluster analysis of vocabulary of taste among its of feelings and senses. K-means clustering was followed by decision of the number of groups which was used Chi-square goodness of fit test and ward analysis. Eight groups was made and it represented sensitive vocabulary. By Discriminant analysis, eight groups decided by Cluster analysis has 98.9% accuracy. The change of the public's emotion has capability to predict people's activity so they can share sensibility and a bond of sympathy developed between them.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Discussion of Human Body in Digital Media Era - focused on new media art cases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신체담론에 관한 철학적 고찰 - 뉴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신체담론을 중심으로)

  • Kah, Eun-Young;Kim, Jong-Deo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109-114
    • /
    • 2008
  • We have long kept our Cartesian tradition in which Mind privileges over Body; the invention of printing technology has accelerated the tradition in which the intelligence and legibility of media were considered as a higher human value. However,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technology are supporting the multisensory mechanisms of the body as it was in preliterate era when we communicated with our whole bodily experiences.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mass-media and new technologies have broaden the boundary of human sensory that are largely dominated by visual information and expanded it to auditory, olfactory and even gustatory sensation. Since 1960's, some philosophers and artists have recognized the human body as a subjective matter, starting the movement in which the body plays a role as an essential factor in study of human perception and cognition, aesthetics in art, and sociology, and the changed perspectives are practiced vigorously in the field of new media art; the theory of Maurice Merleau-Ponty who clarified the body as a general means for the body's possession of world, so tha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gnition of one's body and approved the embodiment could be applied and practiced here. Therefore, we discuss how Merleau-Ponty's philosophical theory can be practiced and how McLuhan's perspective could be applied on the notion of body's extension in media by analysing some new media art ca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