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증기

Search Result 37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증기방출배관의 급격과도현상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n the Discharge Transients of a Steam Discharging Pipe)

  • 조봉현;김환열;강형석;배윤영;이계복
    • 에너지공학
    • /
    • 제7권2호
    • /
    • pp.202-208
    • /
    • 1998
  •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방출계통에는 상당수의 산업공정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배관을 통해 응축성 기체를 침수 분사시켜 응축시키는 과정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증기방출계통 파이프와 지지문의 설계에 사용되는 동적 하중을 계산하기 위하여 증기방출 과도현상에 대한 해석을 특성기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해석모델은 마찰이 존재하는 균일한 배관을 통해 증기가 수조로 방출되는 경우에 대하여, 증기유량 및 배관 내에 원래 존재하고 있는 공기와 물의 방출유량 등을 고려하였고 압력 및 열원, 밸브, 분지관 등을 포함하였다. 배관의 유동 특성과 동적 하중을 계통 압력, 배관 길이 및 침수 깊이의 변화에 따라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 공기와 물의 경계에서의 배관의 동적 하중, 배관 내의 물 제거 시간 및 물 이동 속도 등은 계통 압력뿐만 아니라 배관 길이 및 침수 깊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반구형 간극에서의 비등 가시화 실험

  • 정지환;이성재;김종환;김상백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575-580
    • /
    • 1997
  • 반구형 간극에서의 비등시 이상 유체의 유동 가시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가시화를 위해 투명한 유리로 제작한 외부 용기는 내부의 가열 용기와 1mm 간격을 이루도록 하였으나 외부 용기가 완전한 반구 형태를 이루지 못하여 간극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였다. 열속이 높아짐에 따라 간극이 좁은 부분에서는 밖으로 빠져 나오려는 증기와 상부의 물이 역류유동제한 현상을 일으켜 물이 공급되지 못하였고 간극이 큰 부분에서는 물이 다수의 유로를 형성하며 증기와 분리되어 간극 내부로 공급되었다. CCFL 을 일으켜 물이 공급되지 못한 부분에서는 히터 표면이 건조되어 국부적인 CHF(Critical Heat Flux)가 발생하였다.

  • PDF

금속산화물의 용해 및 흡착 (Dissolution and Adsorption of Metal Oxide)

  • 이인형;안현경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64-266
    • /
    • 2002
  • 원자력 발전소의 2차계통수에는 pH를 조절하여 부식을 억제하기 위해 pH제어제로 약염기성 화학물질을 첨가하고 있다. pH 제어제로 암모니아를 사용하였으나 pH가 낮아 부식생성물이 생성되어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슬러지의 퇴적으로 전열관의 부식이 촉진되므로 pH 제어제를 에탄올아민으로 바꿈으로 슬러지의 생성 및 이동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에탄올아민은 암모니아와 물리화학적 성질이 다르므로, 증기발생기에 유입되는 부식생성물의 용해와 흡착, 이온성 불순물의 잠복현상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본 연구는 암모니아와 에탄올아민이 온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부식생성물에 대찬 용해와 흡착, 이온성불순물의 잠복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로 2차 계통수의 pH 제어제는 ETA가 암모니아보다 증기발생기 슬러지의 철산화물에 더 흡착되어 더 많이 용해되어 퇴적된 슬러지 양을 감소시키므로, 슬러지에 흡착된 불순물의 양을 감소시저 잠복 현상을 억제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물-증기의 초임계압 열물성치 결정을 위한 실용적 방법 (Practical Suggestions for Calculating Supercritical Water-Steam Properties)

  • 김성일;최상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0권12호
    • /
    • pp.809-814
    • /
    • 2016
  • 물-증기 물성치의 결정을 위한 표준작업이 국제적으로 또한 나라별로 진행되어 왔다. 현재 적용되는 국제 표준은 IAPWS에서 산업적 적용을 위하여 정리한 IAPWS-IF97계산법을 바탕으로 미국에서는 ASME/NIST REFPROP 프로그램으로, 일본기계학회(JSME)에서는 물-증기 증기표와 상태량 계산 코드를 개발 배포하였다. 한편, 이 표준 방법을 적용함에서도, 초임계압 영역에서는 물성치의 변화가 급격하여 계산 편의를 위한 방법상의 수정 제안이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으로 채택된 절차와 각국에서의 관련 동향을 요약하고, 특별히 초임계압 영역에서 물성치 계산에 효과적인 대응 방법에 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소듐냉각 고속로용 증기발생기 기술분석 및 개념개발 (Concept Development and Review of Current Technical Issues for SFR Steam Generator)

  • 남호윤;김종범;이재한;박창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9호
    • /
    • pp.1083-1090
    • /
    • 2011
  • 소듐냉각 고속로를 개발함에 있어 최대 현안 중 하나가 증기발생기에서의 소듐-물 반응사고 가능성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금까지 수십 종 이상 연구개발 되었지만 국가마다 그 사양이 다르고, 동일한 기종이 후속기에 다시 활용되지 못할 정도로 기술이 안정화 상태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증기발생기의 공통적 목표는 소듐-물 반응사고의 조기감지 및 제어, 증기발생기의 검사 및 보수가 쉽게 용접개수를 줄이고 경제성을 높인 Benson 증기사이클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설계 또는 활용한 증기발생기들의 사양과 문제점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현안 극복방안을 제시하였다.

투과증발공정의 기초 이론

  • 염충균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6년도 심포지움시리즈 Jan-96 투과증발막과 응용
    • /
    • pp.1-23
    • /
    • 1996
  • 투과증발(Pervaporation)이란 어원적으로 "permeation"과 "evaporation"의 합성어인데 액체혼합물이 치밀한 비다공질막을 통해 이동하는 동안 증기화되면서 분리되는 막분리 공정이다. 이 공정에서 막 한쪽면은 액체공급액과 접하고 있고 다른 한쪽면은 낮은 투과물의 증기압과 접하고 있는데 낮은 증기압은 진공(vacuum pervaporation)을 가하거나 혹은 불활성의 담체가스(sweep gas pervaporation)를 흐르게 하므로써 얻을 수 있다. 이때 막 내부에 트과증발막공정의 추진력인 화학 포텐셜(chemical potential) 구배가 발생하여 막을 통한 물질투과가 이루어지는데 각 투과성분의 투과속도는 투과성분과 막재료간의 물리화학적 인력에 의해 결정된다.의 물리화학적 인력에 의해 결정된다.

  • PDF

다성분 인화성 액체의 Gel화 특성 연구

  • 강영구;정문호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73-76
    • /
    • 1999
  • 인화성 액체는 소방법상의 4류 위험물로 분류되며 공업용 연료, 세척, 용제 등의 원료로서 그 사용빈도, 취급, 저장되는 양이 타 위험물에 비하여 매우 많을 뿐 아니라 그 종류도 다양하며 화학공업 분야에서 광범위한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대부분의 인화성 액체는 낮은 B.P. 빠른 증발속도, 저인화점의 물리적 특성으로 가연성 증기의 형성이 용이하고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과 다량의 유독성 증기의 발생 위험이 존재하고 있다. (중략)

  • PDF

증기방출계통의 초기작동시 열유체적 특성

  • 심윤섭;김연식;위명환;이기영;이준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114-119
    • /
    • 1996
  • 증기방출계통은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을 위한 계통인데 이 계통의 작동 초기에 복잡한 열유체적 현상과 더불어 큰 유체적 진동하중이 구조물에 발생하게 됨으로 이 계통의 설계 개발을 위하여는 이러한 초기현상에 대한 정성적 및 정량적인 이해가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초기 현상을 해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 현상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종합적으로 유체적 진동 하중으로부터 구조물의 기계적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이 계통의 설계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Microwave를 이용한 즉석 누룽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Nuroong-gi Prepared Using a Microwave)

  • 이현석;권기현;김종훈;차환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69-674
    • /
    • 2009
  • 누룽지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증기솥 취반, 압력솥 취반 그리고 microwave를 이용하여 처리조건에 따라 제조한 누룽지를 평가 비교하였다. Microwave를 이용하여 제조된 누룽지는 수분함량, 색도측정, 물 결합능력, 점도측정, 침전물 생성량 및 탁도 측정, 관능평가를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은 microwave을 이용하는 처리조건과 증기 및 압력을 이용한 취반조건에 차이는 발생 하지 않았다. 색도의 경우 증기솥 취반의 명도(L)가 64.70의 값으로 가장 밝은색을 나타내었으며 압력솥 취반은 값은 46.57로 나타나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Microwave를 이용한 누룽지 및 시중에 판매되는 누룽지의 명도(L)는 55.70~56.74로 나타나 microwave처리시간별로 차이는 발생 하지 않았다. 물 결합능력은 microwave처리 시간이 증가 할수록 물 결합능력의 차이가 발생하며 이는 취반 중 수분건조가 이루어져 물 결합능력이 다소 낮아 졌다. 점도는 증기솥 취반누룽지의 점도가 가장 높았고 압력솥 취반누룽지의 점도가 가장 낮았으며 microwave를 이용하여 제조한 누룽지가 처리시간이 증가 할수록 누룽지의 점도가 낮아져 수분첨가량과 수분보 유량에 따라 변화하며 물 결합능력과 같이 수분건조에 의하여 품질의 변화가 나타났다. 침전물 생성량과 탁도는 취반조건에 상관없이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생성되는 침전물의 발생과 탁도가 증가하였고 추출 시 수용성 형태로 존재한 성분들이 가열처리로 취반방법에 따라 품질의 변화가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는 증기 및 압력을 이용한 취반방법보다 microwave을 이용하여 제조된 누룽지가 더 좋았다. 그러므로 microwave을 이용하여 제조한 누룽지가 기존에 제조되는 방식보다 식품산업에 이용하면 좋을 것이라고 판단되어진다.

혼합증기(수증기/공기)와 물의 직접 접촉 응축 열전달 현상

  • 이한춘;김무환;박수기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577-583
    • /
    • 1998
  • 직접 접촉에 의한 응축 열전달은 혼합증기의 레이놀즈수, 비응축 가스(공기)의 질량비, 액막의 레이놀즈수, 그리고 액막의 과냉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변수들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평면으로부터 87˚ 기울어진 수직 사각 덕트에서 직접 접촉 응축 열전달 실험을 수행하였다. 위의 각 실험 변수에 따른 평균 열전달 대수의 변화를 고찰하였으며, 실험결과로부터 혼합증기 레이놀즈수, 비웅축 가스의 질량비, 액막 레이놀즈수, 그리고 제이콥수를 변수로 하여 직접 접촉 응축 열전달에 대한 평균 누셀트수에 대한 실험 상관식을 도출하였다. 혼합증기의 직접 접측 웅축 열전달에 대한 평균 열전달 계수는 비응축 가스의 질량비가 증가할수록 현저히 증가함을 보였으며, 액막의 과법 정도가 증가할수록 평균 열전달 계수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혼합증기의 레이놀즈수가 30,000 이상의 템위에서는 액막 레이놀즈수의 변화에 따라 평균 열전달 계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