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물통로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산 물통이속(Pilea) 식물의 nrDNA, cpDNA를 통한 계통분석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genus Pilea (Urticaceae) using nrDNA and cpDNA sequences)

  • 문애라;박정미;장창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58-168
    • /
    • 2015
  • 한국산 물통이(Pilea)속 식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서 총 1속 5분류군으로 정리하였다. 물통이속은 모두 1년생 초본으로, 그늘지고 습기가 있는 지역에서 서식하며, 여름에 꽃이 피고, 가을에 열매를 맺는다. nrDNA의 ITS regions과 cpDNA의 psbA-trnH regions의 DNA 염기서열의 분석 결과, 산물통이, 물통이는 분계조를 각각 형성하였다. 하지만 제주 산방산의 제주큰물통이는 내륙지역의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제주큰물통이와 같은 분계조를 형성하지 못하고 큰물통이, 모시물통이와 섞여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ITS1, 4 regions에서만 DNA 염기서열이 분석된 지리산의 제주큰물통이 역시 완전히 다른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단순히 지리적인 차이로 인해 형성되었다고 보기에 무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후에 좀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GIS 기반의 물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Strategies for the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GIS)

  • 서동조;송동하;이상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3-466
    • /
    • 2009
  • 수질 및 유량 등에 관한 하천유역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GIS의 도입을 통한 물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물통합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요소를 파악하여 GIS와 연계할 수 있는 DB의 주요 항목과 주제도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개별 오염원의 공간적인 위치정보와 함께 다양한 조건에서 발생하는 오염부하량, 유역 내수문변화를 모의하고 이로 인한 하천의 유량 및 수질변화 추적을 위한 DB의 종류 및 구성 내용도 제시하였다. 위치자료와 속성정보의 연계, 관측 자료의 검색과 시계열 분석, 각종 위치관련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 등 GIS와 연계된 물통합 정보 제공 기능도 정리하였다. 또한 기존의 물환경정보시스템, 오염총량관리지원시스템, 각 시군구에서 자체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수질 및 수량 측정자료들과의 연계와 통합 DB 구축 및 물통합관리 데이터 웨어하우스 구축을 제안하였다.

  • PDF

냉각수 공급방식 및 국부적인 물통로의 형상 변화에 따른 냉각수 유동특성 및 연소실 벽면의 냉각효과 (Coolant Flow Characteristics and Cooling Effects in the Cylinder Head with Coolant Flow System and Local Water Passage)

  • 위신환;민영대;이종태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32-41
    • /
    • 2003
  • For the countermeasure of expected higher thermal load in miller cycle engine, coolant flows in the cylinder head of base engine with several coolant flow methods and drilled hole passages were measured by using PIV technique. And the cooling effect was evaluated by measurements of wall temperatures according to each coolant flow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series flow system was most suitable among the discussed 3 types of coolant flow methods since it had the best cooling effect in cylinder head by the fastest coolant flow velocity It was also found that for drilled water passage to decrease the large thermal load in exhaust valve bridge, nozzle type is more effective compared with round type of water passage, and its size has to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olant flow pattern and velocity in each cylinder.

엔진 물통로 내부 벽면 스케일 축적이 LPG 엔진의 열적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Scale Formation in Water Jacket on Thermal Durability in LPG Engine)

  • 류택용;신승용;최재권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42-50
    • /
    • 2001
  •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scale formation in engine water jacket upon the thermal durability of engine itself and its component parts were studi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quality of water, a full load engine endurance test for 50 hours was carried out with not-treated underground water. The followings were found through the tested engine inspection after the endurance test; 1-2 mm thick scale formation in the engine water jacket, valve seat wear, piston top land scuffing, piston pin stick, and cylinder bore scuffing in siamese a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causes of above test results, the heat rejection rate to coolant, the metal surface temperature of combustion chamber, and the oil and exhaust gas temperatures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scale formed in the engine water jacket played a role as thermal insulator. The scale formed in the engine reduced the heat rejection rate to coolant and it caused to increase the metal surface temperature. The reduced heat rejection rate to coolant increased the heat rejection rate to oil and exhaust gas and increased the oil and exhaust gas temperature. Also, the reasons of valve seat wear, piston top land scuffing and cylinder bore scuffing, and piston pin stick quantitatively analyzed in this paper.

  • PDF

스프링클러시스템의 격자배관방식

  • 이창섭
    • 산업안전기술지
    • /
    • 제1권1호
    • /
    • pp.28-33
    • /
    • 2001
  • 건물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서 초기에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화재의 확산을 제어하거나 소화를 하는 기능을 가진 시스템 중에 가장 널리 쓰여지고 있는 것이 스프링클러시스템이다. 스프링클러시스템은 1723년 영국의 Ambrose Godfrey에 의하여 개발되었는데 이때는 단순히 물통과 도화선으로 구성되어 화재시 화염이 도화선에 인화되면 화약이 폭발하여 물통의 물이 방출되어 소화되는 간이설비였다. 그 후 계속 개발되어 1852년에 오늘날과 유사한 스프링클러시스템이 영국에서 개발되었다. 자동스프링클러헤드는 1864년에 영국의 Stuart Harrison에 의해서 발명되었으나 실용화되지 못하였고 1874년 미국의 Henry Parmelee에 의해서 오늘날과 같은 자동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발되고 1878년 Providence Steam & Gas(현재의 Grinnell)사에서 생산하여 실용화되었으며 1885년 건식 시스템이 개발되어 동결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면서 오늘날의 현대적인 스프링클러설비에 이르게 되었다.(중략)

  • PDF

엔진 내 냉각수 유동형태가 연소실 벽면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Coolant Flow Pattern on Metal Temperature of Combustion Chamber)

  • 민병순;최재권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4-21
    • /
    • 1993
  • The effect of coolant flow pattern on the metal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chamber was studied in 1.5L and 1.8L gasoline engines. One of the main important points in the design of the water jacket is the increase of the coolant flow velocity. In this paper, the water jackets of the cylinder head and the cylinder block were visualiz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oolant flow pattern. By the use of this technique, the optimal design of the size and th location of the water transfer fole was possible. And, to lower the metal temperatures of the thermally critical parts, the drilled water passage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of effect of the improved flow pattern and the drilled water passages, the metal temperatures of the combustion chamber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the temperature measurement, it was found out that both the change of flow pattern and the drilled water passages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reduction of the peak metal temperature.

  • PDF

가정용 순환식 IoT 화분과 iOS 기반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ome Circulating IoT Pot and iOS-Based Management Application)

  • 정승균;김규동;김병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9-142
    • /
    • 2022
  • 코로나-19와 미세먼지의 증가로 '반려 식물'과 '플랜테리어'에 대한 수요가 늘고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화분에 IoT를 접목하여, 스마트 화분을 구현하였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iOS 앱으로 개발하였으며, 늘어나는 iPhone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UX/UI 디자인으로 구현하였다. 스마트폰 앱과 가정의 화분 서버가 인터넷으로 통신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화분의 상태를 확인하고, 제어를 할 수 있게 구현하였다. 서버와 화분 모듈이 분리되어, 화분 자체의 크기를 줄였다. 화분 하단에 물통이 존재하여, 배액이 그대로 물통으로 흘러내려오는 순환식 구조를 채택하였기 때문에 '플랜테리어'에 적합한 모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함수개념 지도를 위한 모델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models for teaching the concept of function)

  • 허혜자;김종명;김동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7-118
    • /
    • 2011
  • 수학사적으로 함수개념은 비례관계, 종속변수, 식, 대응 등으로 발달되어왔으며 수학교육과정에서는 3차, 7차, 7차 개정안에서 중학교 1학년에서 함수개념 도입을 위한 함수의 정의에서 강조점 바뀌었고 이러한 수정의 핵심은 "종속"과 "대응"이다. 본 연구는 종속과 대응에 초점을 둔 수업의 장단점을 비교하고자 각각을 대표할 수 있는 모델로서 물통 모델과 자판기 모델을 선정하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함수의 개념과 함수의 표현에 대한 2차시 수업을 실시하고 형성평가 문항분석을 통하여 두 모델의 차이점과 효율성을 파악하였으며, 3개월 후 파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자판기모델은 중학교 1학년 학생의 함수의 정의 이해 뿐 아니라 특히 개념이미지를 만들고 회상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물통모델은 정의역의 모든 원소가 종속변수에 대응 된다는 "임의성"을 이해하는 데는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나타냈지만, 함수식의 표현과 관련해서는 좋은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