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질문화

Search Result 50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Deduce Components of the Public Library Culture (공공도서관문화 구성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 Lee, Si-Young;Chang, Woo-K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0 no.4
    • /
    • pp.97-120
    • /
    • 2016
  •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deduce components of a public library culture and define a library culture. Thus, the study gathers the opinions and the experiences of the expertise in this specific area of a library culture. Furthermore, the study takes gathered informations and dates into consideration, to derive a measurement of final components, delphi technique. Through usage of Delphi technique, it allowed selected final components to operat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lements, which then it helps to measure each element's critical importance, identify priorities of each element by using a hierarchical decision making method.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used a two-step delphi survey which was conducted on a panel of experts (Facul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and the librarians), deduced the components of a library culture. In the primary survey, the study found 29 components (material culture 6, non-material culture 23). In the secondary survey, it deduced 21 components (material culture 3, non-material culture 18). Secon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prioritization of the public library culture components presented in following orders, , , and . The Most weighted values of each components were, of 'data usage and its method.'; of 'core values of librarianship'; of 'library ethical consciousness.' appeared as such.

Materialism and Disordered Eating Symptoms among Young Adult Women: Celebrity Worship and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as Mediators (초기 성인기 여성의 물질주의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연예인 숭배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규범 내재화의 매개효과)

  • Kyoung Ok Seol ;Dasol Hwang ;Seong Hye Hong ;Lina Ju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3 no.4
    • /
    • pp.475-495
    • /
    • 2017
  • The present study aimed to understand young adult women's disordered eating symptoms with materialism and pathological celebrity worship. Specifically, we hypothesized that pathological celebrity worship and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and disordered eating symptoms among young adult women. A total of 601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hypothesized, we found that materialism predicted pathological celebrity worship and increased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which in turn, led to a higher level of disordered eating symptoms. Our findings suggest that young adult women's disordered eating behaviors should be understood as a sociocultural phenomenon rather than as an individual woman's personal issue.

백러시아민족과 우크라이나민족 루바하의 조형성

  • 최수빈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29-29
    • /
    • 2004
  • 복식은 물질문화의 기본적인 요소로써 종교와 문화, 자연환경 및 민족 고유의 특징을 담고있다. 백러시아민족과 우크라이나민족은 러시아민족과 더불어 동슬라브민족에 속한다. 동슬라브민족은 따뜻한 흑해 연안에서 혹독한 기후의 북 러시아와 시베리아지방까지 널리 분포되어 살아왔다. (중략)

  • PDF

여대생의 헤어스타일 분석: 1980년~2003년까지의 졸업앨범사진을 중심으로

  • 박수진;박길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66-66
    • /
    • 2004
  • 시대의 거울이라 불리우는 복식은 사회문화적 변화를 보여주는 물질문화이며 그 중 헤어스타일은 의복보다는 변화가 쉽고 다양한 자기 연출이 가능하여 그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여성의 헤어스타일의 변천 양상을 고찰하고 헤어스타일을 형성하는 요인에 따라 헤어스타일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중략)

  • PDF

Black in Along with the Gods (<신과 함께>의 검정, (비)물질과 지각의 상호작용)

  • Kim, jo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9-120
    • /
    • 2019
  • 이 글은 물질의 본질로 규정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색채론과 디지털이미지의 비물질적 특성으로서의 검정을 전제로, <신과 함께>의 서사를 주도하는 인물과 이미지를 구성하는 공간에 채워진 검정의 의미를 분석한다. 할리우드영화에서 검정은 악의 근원이며 공포이다. 검정에 관한 예외적이고 특별한 특성을 성찰하는 철학, 회화, 문학에서의 비유와 달리, 대중영화에서 검정은 가장 보편적인 의미를 표현한다. 삶과 죽음의 경계를 오가는 <신과 함께>에서 검정은 저승의 공간과 차사라는 인물을 구성한다. 한국영화에서 검정은 상상의 공간을 상징화하는 유용한 색이다. 이 글은 한국영화 <신과 함께>에 사용된 검정을 통해 동서양 색채문화의 차이를 살펴보고,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상호작용하는 의미를 분석한다.

  • PDF

Chemical Analysis of Black Crust on Stone (암석 표면의 흑화현상에 대한 화학성분적 고찰)

  • Do, Jinyoung;Riederer, J.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2a
    • /
    • pp.37-44
    • /
    • 2002
  • 암석이 화학적으로 매우 불균일하기 때문에 암석에 있어서 자연적인 풍화와 인위적인 오염에서 기인한 손상을 구별짓는다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석재의 화학적인 풍화는 스며든 빗물이나 오염먼지 등에 의해 생성된 물질의 농도변화로 표현되어 진다. 특히 벽면 표면의 두터운 검은 외각과 얇은 검은 막은 미관상으로 뿐만 아니라 암석 자체에도 큰 손상을 끼친다. 일반적으로 이런 검은 물질들은 비 등의 수분과 직접적인 접촉이 없고, 농축된 오염물질들이 쉽게 쌓일 수 있는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천연 암석과 마찬가지로 검게 손상된 층 또한 화학적으로 매우 복잡한 체계를 갖고 있어 그 생성 원인과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다. 이 흑색 층은 일반적으로 공기오염물질, 유기물, 철과 망간등의 유색광물의 이동과 침착의 현상에서 생성될 수 있다. 건물들의 외벽에 사용된 여러 종류의 사암과 석회암, 인조석의 표면에는 여러 풍화 손상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표면에 있는 검은 막의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 화학성분을 주성분과 미량성분으로 나누어 측정하였고, 화학적인 특징을 예측하기 위해서 분석자료를 여러 통계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 PDF

Influence of elemental carbon on blackening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석조문화재의 흑화현상에 영향을 끼치는 원소탄소)

  • Do Jin-Young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4a
    • /
    • pp.71-74
    • /
    • 2006
  • 석조문화재 표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흑색오염물질이 형성되어 있다. 흑화 현상은 일반적으로 수많은 공기오염물질과 유기물 그리고 유색광물들의 쌓임과 이동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흑화현상을 크게 대기오염이 심한 도시에서 나타나는 도시형과 대기오염이 적은 곳에서 발생하는 농촌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흑색의 원인물질의 하나로 거론되고 있는 탄소물질을 열분해탄소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탄소는 유기탄소와 원소탄소로 나누어 측정되었으며, 흑색을 띄게 하는 원소탄소의 량이 도심의 흑색부위와 농촌의 흑색부위에서 차이를 보이며 검출되었다. 그러나 측정된 탄소량은 탄소 한 요소만으로 암석 표면의 흑화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소량이 검출되기는 했지만 두 시료에서 보여주는 탄소량의 차이는 의미가 있다. 농촌형 흑색시료에서는 도심형 시료에서 보다 유기탄소가 원소탄소보다 약간 더 검출되었다.

  • PDF

문화재보존을 위한 온습도의 기준 (文化財保存을 위한 溫濕度의 基準)

  • 登石健三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
    • /
    • pp.53-61
    • /
    • 1971
  • 현재상태(現在狀態)에서 기온(氣溫)과 그 관계(關係)의 영역을 결정(決定)함에 있어서 우리는 아직도 실험(實驗)에 의한 충분(充分)한 자료(資料)를 우리 수중(手中)에 갖고 있지 않은데 그 자료(資料)는 극히 방대하고 시간(時間)이 소요되는 것으로서 그 자료(資料)를 모으는 일은 이런 자료(資料)를 현실화(現實化)시키는데 필요(必要)할 것이다. 현재(現在)의 예술품(藝術品)에서 부식(腐蝕)을 관찰(觀察)함으로서 이미 지금(至今)까지 얻어진 실험(實驗)에 의한 사실(事實)들로부터 또 물질(物質)은 락(落)한다는 일반적(一般的)인 인식(認識)과 더불어 이미 고려한 특별(特別)한 자연현상(自然現象)으로부터 우리는 문화재(文化財)의 보호(保護)에 합리적(合理的)으로 알맞다고 여겨지는 기후조건(氣候條件)의 영역을 결정(決定)할 수 있다. 일본(日本)에서는 곤충(昆蟲)과 곰팡이 때문에 발생(發生)하는 손해(損害)도 결코 무시(無視)되어지지 않으며 이 손해(損害)들을 피하기 위하여 20℃ 이하(以下)의 기온(氣溫)과 60% 이하(以下)의 상대습도(相對濕度)의 제한은 바람직하다. 물질(物質)은 형태(形態)에 있어서 보다 낮은 기온(氣溫)과 보다 낮은 습도(濕度)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이론(理論)상의 일반적(一般的)인 상식(常識)과 실험(實驗)에 의한 사실(事實)들은 보다 낮은 기온(氣溫)은 문화재(文化財)를 이루는 물질(物質)의 상태(狀態)에 변화(變化)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준다. 금속이나 일본(日本)칠기와 같은 몇몇 특별(特別)한 예외는 있지만 권위자는 일반적(一般的)으로 그 물체(物體)를 위해서 10~20℃의 기온(氣溫)과 50~60%의 상대습도(相對濕度)의 영역을 추천(推薦)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