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의 증발현상

Search Result 13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파일롯 투과증발장치에서 투과액의 상전이외 체류액의 온도강하에 관한 연구

  • 송규민;홍원희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90-91
    • /
    • 1996
  • 투과증발은 일반 막공정과 달리 투과물의 상전이와 이로 인한 체류액의 온도강하가 존재하기 때문에 열전달현상을 간과할 수 없다. 즉 막을 통한 열전달이 다른 막공정에 비해 현저하게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모듈의 길이가 짧거나 모듈을 항온조에 담가 수행하는 실험실 규모의 투과증발조업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그러나 투과증발장치가 커져 모듈의 항온유지가 블가능하고 사용되는 막도 상업화되어 투과속도가 비교적 큰 것을 사용하는 파일롯 규모의 실험에서는 쉽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Rautenbach등이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막을 이용한 물의 투과증발 실험에서 막간 온도강하가 5~12 K정도 일어났음을 보고한 바 있었다. 이때 온도강하는 조업조건에 따라 달라졌으며 유속이 낮을 수록 증가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투과증발이 일어나는 모듈내에서 열전달현상을 열공급비를 정의하여 해석하였으며, 상전이 현상이 막분리효율에 끼치는 영향을 설명하였다.

  • PDF

Correlation between Hydrological factors and Carbon Dioxide Flux in Sulma basin (설마천 유역 내 수문 요소와 이산화탄소 플럭스 상관 분석)

  • Kim, Kiyoung;Lee, Y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23-323
    • /
    • 2022
  • 증발산은 지표면과 식물의 엽면적에서 액체가 기체로 기화되는 현상으로 수자원적 측면에서는 지표의 이용 가능한 물이 대기 중으로 손실됨을 의미하며, 증발산 요소는 온도, 습도, 바람의 영향에 의한 변동이 크며 특히 토양수분의 가용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국내의 피복 환경은 주로 산지 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증발산량의 특성이 대체적으로 지면의 증발보다 식물의 뿌리로부터 흡수되어 잎의 기공으로 발생하는 증산작용이 지배적이다. 증산작용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은 기공을 열어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가 흡수하는 과정에서 물의 손실이 발생하는데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으면 기공이 빠르게 닫혀 증산량도 줄어들어 대기 중으로 물 손실이 줄어드는 현상이 관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설마천 소유역에서 유출량, 강우량, 토양수분, 증발산량 등과 같은 수문 요소가 이산화탄소 플럭스와 상관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 PDF

Water-Ethanol Separation by Pervaporation through Plasma-Graft Polymerized Membranes of Styrene

  • 임창도;임선기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10a
    • /
    • pp.56-57
    • /
    • 1993
  • 고분자 막을 통한 투과증발에서의 전달기구는 액체 혼합액의 막으로의 용해, 막을 통한 확산, 막 하부에서의 증발을 거쳐 분리가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이때 투과증발의 선택도는 수착선택도와 확산선택도의 곱으로 표현 될 수 있다(1). 물의 선택적 분리의 관점에서 친수성 고분자 막을 이용하는 경우, 선택도는 대부분 수착선택도에 기인하며, 우수한 투과속도와 함께 집중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었으나 가소화 현상이 심하게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소수성 고분자 막을 이용하는 경우의 투과 증발 선택도는 대부분 확산선택도에 기인하며, 가소화 현상은 억제되나 투과속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그러나 소수성 고분자 막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물에 대해 높은 선택도를 달성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polystyrene(PS)으로 만들어진 고분자 막 및 fluoroalkylacrylatemethylstyrene copolymer로 만들어진 고분자 막은 물-에탄올 공급액으로 부터 물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보여주고 있다(2,3). 그러므로 막분리층의 두께를 가능한 한 얇게 하면 분리에 유효한 막이 될 수 있다.

  • PDF

Liquid Conservation Concept In The Water Evaporation Phenomenon According To The Age and Task-Situations (연령과 과제상황에 따른 물의 증발현상에 대한 아동의 액체보존개념)

  • Kim, Eun-Young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22 no.1
    • /
    • pp.17-2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ildren's liquid conservation concept according to their ages and task-situations in the water evaporation phenomenon. Thirty from each 4-, 6- and 8-year-old age groups (total of 90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wo day-care centers, a kindergarten, and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repeated measures ANOVA.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liquid conservation concept in the evaporation of water according to their ages and task-situations. 8-year-old children showed levels of cognition than 4- and 6-year-olds. Children showed higher levels of cognition in the task of drying than in the task of water level changes.

해양 심층수의 개발과 이용 전망

  • 최무웅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11a
    • /
    • pp.37-39
    • /
    • 2002
  • 인간에 의한 바닷물 이용은 역사와 더불어 시작된 것이기에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다.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자연계에서의 물 순환과정 속에 언제나 일어나는 해양환경의 증발현상이라고만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자연현상으로 생각해 해양수 이용이라는 생각을 안 할 뿐 이다. 물론 자연현상이므로 이용이라고 정의되지는 안는다. 육지의 담수를 공급 받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해수를 담수화하여 이용하는 예는 일반화된 기술이다.(중략)

  • PDF

Evaporation Theory for Reclaimed Clay (준설 점토 지반에서의 증발 이론 개발)

  • 이형주;이인모;이영남;성상규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9 no.4
    • /
    • pp.55-64
    • /
    • 2003
  • Desiccation of a soil is basically the removal of water by evaporation, which is controlled by evaporativity and evaporability. Surface evaporation improves the trafficability which is essential for the access of construction equipment in the area reclaimed with soft clay. The existing traditional methods for evaluating evaporation can not account for the deformation of reclaimed soft soils during evaporation. Therefore, a theoretical model for predicting the rate of evaporation from the surface of a deformable material is proposed. The model is based on a system of equations for coupled heat and mass transfer in unsaturated soils. The modified pressure plate extractor test and glass desiccator test were carried out to obtain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for a deformable soil. The column drying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ne dimensional water flow, heat flow and evaporation in the surface. A finite difference program was developed to solve the coupled nonline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which permit the study of water, vapor and heat flows in the deformable soil. Comparison between measured and simulated values shows a reasonably good matching between the two.

키토산/폴리술폰 투과증발 복합막을 이용한 에탄올수용액의 농축 I. 가교방법을 통한 최적화

  • 이별렬;오부근;장재화;유제강;이규현;이영무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4a
    • /
    • pp.40-41
    • /
    • 1995
  • 투과증발법은 증류법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더 적기 때문에 공업적인 응용 측면에서 유용한 분리공정이다. 대부분의 투과증발법에 대한 연구는 공비혼합물, 비점이 서로 비슷한 혼합물, 이성질체증을 분리, 특히 물과 에탄올과의 공비혼합물의 분리와 물로부터 희박 방향족 화합물을 회수하는데 행해져 왔다. 친수성막은 유기용매의 탈수에 사용되어져 왔고 반면에 소수성막은 유기수용액으로 부터 유기물을 분리하는데 사용되어져 왔다. 천연소재인 키토산은 친수성기들을 가지고 있기에 물과 에탄올의 분리에서 물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효과적인 투과증발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을 복합막화하여 실제 상업화에 적합한 선택도와 투과유량을 가진 투과증발막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도한 키토산 복합막의 물에 의한 팽윤현상을 제어하기 위해 두가지 가교방법으로 글루타르알데히드 가교를 설치하였으며, 이에 따른 투과성능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water balance equation considering evaporation and re-evaluation of dam inflow (소양강댐 유역의 증발을 고려한 물수지 방정식 개선 및 댐 유입량 재산정)

  • Yoo, Jiyoung;Lee, Dong Jin;Yoo, Do-Guen;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06-106
    • /
    • 2022
  • 댐 유역의 수문자료는 댐의 효율적인 운영, 중장기 댐 운영 계획, 수자원 관리, 댐 저수량 예보 등을 위해 사용되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정밀한 댐 운영에 필요한 유량자료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댐의 주요 수문자료에는 유입량의 요소, 저수량 요소, 유출량의 요소로 구분된다. 현재까지 강수량, 저수위, 방류량 자료는 지속적인 계측 및 품질관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신뢰도가 점차 향상되고 있으나, 반면 증발량과 침투량 자료는 여전히 정확한 계측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댐 유입량은 직접측정의 현실적 제약사항으로 인해, 방류량과 저수위 변화에 따른 저류량의 차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있어, 증발량 및 지하수 유출량 등과 같은 복잡한 자연현상을 고려하지 못한 채 저수지 수위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양강댐 유역의 증발을 고려하는 개선된 물수지 방정식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댐 유입량 자료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증발을 고려한 물수지법 적용을 통해 어느 정도 개선이 가능하다. 즉, 기존의 댐 유입량 산정 시 고려하지 않는 다양한 유출 요인에 대한 과도한 누락은 음유입량 발생문제를 야기하며, 실제 복잡한 자연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유출 요소(증발량)를 물수지 방정식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개선된 물수지법을 적용할 경우, 직접적인 가용수자원을 구성하는 직접 유출량과 간접 유출량이 전체 유입량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서의 증발량은 유역 내 실측자료가 아님과 동시에 수면 증발량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도 높은 수문자료의 생산 및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PDF

An Analytical Study on a Heat Transfer Mechanism with Boiling Effect between Two Fluids in a Mini-channel (미세채널내 증발을 고려한 두 유체간 열전달현상에 대한 해석적인 연구)

  • Yoo, YoungJoon;Choi,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7 no.2
    • /
    • pp.114-121
    • /
    • 2013
  • In order to estimate the efficiency of an evaporative heat exchanger having mini channel, the equations to calculate heat exchanger properties, those are air temperatures and water temperatures etc, are derived from the governing equations based on the Navier-Stokes equation, even though there are several assumptions to make problem simplify. There are three heat transfer zones at the mini channel heat exchanger depending on the water condition. So, there are three governing equations and solutions to calculate the propertie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quations to calculate a saturation point and a dry point are derived to evaluate an evaporative heat exchanger having micro channel. It is supposed to predict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mini channel heat exchanger with evaporation of liquid.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Estimation Method: Focusing on Paddy water demand estimation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방법의 개선 : 논용수 수요량 산정을 중심으로)

  • Hwang, Junshik;Kwon, Youjeong;Seo, Y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64-64
    • /
    • 2020
  • 현재 농업환경 및 식생활 변화 등으로 인하여 농지 수요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맞물려 정부에서는 2019년 6월에 물관리기본법을 제정함으로서 지속가능한 통합 물 관리를 실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통합 물 관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61%라는 가장 많은 용수를 사용하고 있는 농업용수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다. 금회 연구에서는 현재 농업용수 사용량 현황을 분석함과 동시에 농업용수 중 67% ~ 87%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논 용수 산정법을 검토한 후 문제점을 분석하고 문제점 개선을 통한 용수수요 확보를 분석하였다. 논 용수 산정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잠재증발산량 산정식에 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잠재증발산량 방법은 국제식량기구(FAO)에서 권장하고 있는 Penman-Monteith 식이 아닌 과거부터 사용하고 있으며, 오차율이 높은 수정 Penman 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잠재증발산량 산정이 주요 인자인 작물계수의 경우도 23년전의 작물계수를 이용함으로서 현재 기후 및 작물품종 변화를 전혀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전주기상청의 자료를 이용하여 Penman 및 Penman-Monteith 식을 비교한 결과 수정 Penman 식이 Penma-Monteith 식에 비하여 2배 이상의 큰 값을 보였다. 작물계수를 적용할 경우 증발산량이 많이 일어나는 5월 하순에서 8월 하순까지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논용수 수요량의 과대하게 산정되는 결과를 초래하며,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및 장기 물관리 계획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계획수립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논 용수 수요량 산정방법에 대한 개선안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