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의 상태변화

Search Result 1,57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ffects of Pretreatment of Alkali-degreasing Solution for Cu Seed Layer (약알칼리탈지 용액에서의 구리 Seed 층의 전처리 효과)

  • Lee, Youn-Seoung;Kim, Sung-Soo;Rha, Sa-Kyun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21 no.1
    • /
    • pp.6-11
    • /
    • 2012
  • In order to understand a process of contaminants removal on surface of Cu seed layer (Cu seed/Ti/Si) by sputter deposition, we investigated the changed morphology and states of Cu seed surface after pretreatment in alkali degreasing Metex TS-40A solution according to dipping time. After TS-40A pretreatment, the surface morphology with clearer grains was observed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 changed surface chemical states and impurities on surface of samples were check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Dipping time in TS-40A solution had very little effect on surface of Cu seed layer. After pretreatment, much carbons and little oxygens on surface of Cu seed were eliminated and the decrease of peaks corresponded to O=C and $Cu(OH)_2$ was estimated. However, Si content (=silicate) was detected on sample surface. We think that the silicate impurity forms on Cu seed by chemical reaction of TS-40A solution included silicate component. By pretreatment of alkali degreasing Metex TS-40A solution, it showed an excellent effect in removal of O=C and $Cu(OH)_2$ on Cu seed layer, but the silicate was formed on surface of Cu seed. Therefore, another cleaning process such as acid cleaning is required for removal of this silicate in use of this alkali degreasing.

Development of a Ventilating Waterjet Propulsor for Super-High Speed Ships (초고속선을 위한 공기유입 물제트 추진기 개발)

  • J.T. Lee;I.S. Moon;Y.H. Park;K.Y. Kim;K.S.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6 no.3
    • /
    • pp.41-49
    • /
    • 1999
  • A feasibility study is performed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a Ventilating Water-Jet(VWJ) propulsor which attracts new attention as a candidate propulsor for super-high speed vessels. Super-cavitating foil sections are adopted for the rotor blades since the rotor is operating at ventilating condition. Wedge type and cavitator type foil sections are used for the design of rotor blades. Other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rotors are selected from the Kaplan type ducted propeller rotors. The test section of KRISO cavitation tunnel is modified to perform open-water tests of the VWJ propulsors. The tests are performed both at fully-submerged and free-jet conditions. Ventilation occurred at the free-jet condition by sucking the air i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otor, which easily develops as super-cavitation when the rotor operates at lower advance coefficients. Spoilers are attached at the trailing end of the pressure side of the blade se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lift force.

  • PDF

Analysis of Physical Disturbance and Habitat Suitabi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table Channel Design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물리적 교란과 서식처 특성 분석)

  • 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8
    • /
    • 2017
  • 본 연구는 원주천 16 km 구간을 대상으로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하상의 변동과 그에 따른 물리적 생물학적 교란 영향을 분석하였다. 안정하도 설계를 위한 방법으로 구간별 안정경사관계곡선을 도출하였으며, 현재 하도의 구간별 경사와 비교하여 안정/불안정을 판단하였다. 원주천 대상구간은 총 20개구간 중 17개 구간이 안정한 하상경사로 나타났으며, 하류부 2개 지점과 상류부 1개 지점에서 불안정 경사로 나타났다. 불안정 구간의 안정하도 설계를 위한 방법으로는 하천시설물의 도입을 통한 하상변동의 유도로 안정경사를 설계하는 방법과 하도의 준설과 하상보호공의 설치에 따른 안정경사 설계 방법을 이용하였다. 하천시설물의 도입을 통한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2개의 구간에서 추가적인 안정하도의 설계로 총 19개 구간이 안정하도로 설계되었으며, 하도의 준설과 하상보호공의 설치에 따른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20개 구간 전부에서 안정경사로 설계되었다. 아울러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하천의 물리적 생물학적 교란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와 물리서식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PHABSIM 모형을 이용하여 원주천의 최우점종인 참갈겨니를 대상으로 평수량에 대한 서식적합도 (HS, habitat suitability)와 가중가용면적 (WUA, weighted usable area)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현재 상태와 5년의 하상변동 모의 후의 평가 분석결과를 하천시설물 도입과 하도의 준설에 따른 5년경과 후의 예측평가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하천시설물의 도입에 따른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는 현재상태보다 소폭 개선되었으며, 물리서식처는 현재상태 보다는 감소하나, 현재의 5년경과 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도준설과 하상보호공의 설치에 따른 안정하도 설계의 경우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결과는 미약하게 감소하였다. 물리서식처는 현재상태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현재의 5년경과 후 보다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하도 평가와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및 물리서식처 분석을 통한 하천의 안정성과 건강성 증대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Boiling Process of a Liquid Mixture (액체 혼합물의 끓음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의 이해)

  • Park, Kira;Yoon, Heesook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9 no.5
    • /
    • pp.454-465
    • /
    • 2015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boiling process of a liquid mixture. We surveyed 65 students in the chemistry progra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bout the boiling point of a 50%(by mole) ethanol aqueous solution and the temperature changes during heating. We then interviewed 9 of these student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percent of the pre-service teachers who thought that the boiling point of the ethanol solution would be ‘between the boiling points of ethanol and water (78-100 ℃)’ and ‘the same as that of ethanol’ were 52.3% and 35.4%, respectively. The majority of those who stated the former explained that the boiling point of the ethanol solution increased due to the effects of attraction or blocking by water molecules. Most of those who believed the latter explained tha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 boiling point would not be changed by the addition of water. With regard to the temperature change during heating, 69.2%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temperature would increase gradually while boiling, which some thought resulted from the increasing amount of water in the solution as the ethanol boiled off. Others thought that two temperature plateaus would be observed as each component of the liquid mixture underwent phase transition at its specific boiling point. When asked about the particle model of the gas phase during the boiling and evaporation process, some students drew both ethanol and water during evaporation but only ethanol when boiling. We discussed several alternative concept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about the boiling process of liquid mixtures and ways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Estimation of Instream Flow at Dry Season through Prediction of water demand by Unit Watershed (단위유역별 용수수요량 추정을 통한 갈수시 하천유지유량 산정)

  • Gwon, Yong Hyeon;Choi, Gye Woon;Jang, Dong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56-356
    • /
    • 2019
  • 우리나라는 강우량의 계절적 편기가 심하여 홍수기인 6월부터 9월까지의 년간 총강우량이 2/3을 차지하고 있으며 갈수기의 경우에는 강우량의 부족으로 물 부족현상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더욱 증가되고 있으며 홍수기에도 국지적인 강우발생이 크게 증가하여 갈수기 가뭄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갈수시 가뭄에 대한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하천에 유입되는 물과 하천 내에서 시간에 따라 유하되거나 조절되는 등 하천 자체 내에서 변화하는 하천유량의 변화 및 하천 외부로 유출되는 용수수요량을 정확히 분석하는 물수지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송강천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DEM을 통해 3개의 단위유역을 구분하였다. 단위유역별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등에 대한 용수수요량 추정을 통해 유역별 용수수요 총량과 장래 수요증가량을 산정하였다. TANK 모형을 활용하여 단위유역별 기준갈수량을 산정하고 물수지분석을 통해 물 부족 여부를 판단하여 단위유역별 하천유지유량을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단위유역별 하천으로 유입되는 회귀수량이 많아 목표연도별 갈수시 하천유지유량이 평균갈 수량 보다 크게 분석되었으며, 평균갈수시에도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 및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유량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the Impact og a River-Crossing Structure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하도 내 대형 횡단구조물 설치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변화 분석)

  • Hong, Won-Teack;Song, Soo-Ho;Kim, Won-Il;Ah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14-718
    • /
    • 2010
  • 하천에 설치되는 하도 내 구조물이 하천 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한국의 4대강 살리기 사업과 관련하여 하도 준설과 동시에 하도 전체를 횡단하는 구조물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하천의 수리학적 흐름특성은 더욱 크게 변화하고, 그 영향 또한 매우 광범위하게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 설치 계획된 하천 횡단 구조물 1 개소를 연구 대상구간으로 선정하여 구조물 설치에 따른 수리학적 흐름 특성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하천인 낙동강의 기 수립계획 및 관련 문헌 자료를 조사하고 금회 과업대상구간에 대해 현재 하도의 상태와 하도정비 및 보 설치계획에 따른 변화된 하도를 구분하였으며, 구분된 하도 상황에 따라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 하였다. 하도 내 유속 및 수위 등의 기본적인 수리량은 1차원 모형의 적용으로 산정하였으며, 기 수립계획과의 비교를 통해 모형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또한, 1차원 모형이 갖는 한계 보완 및 국부적인 수리 특성 분석을 위해 2차원 동수역학 모형의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때 유량 및 기점수위 등의 경계조건은 1 2차원 모형에서 동일하게 설정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으며, 횡단 구조물 설치에 따른 주요지점의 하도 수리학적 흐름 영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수치모형의 적용 결과, 횡단 구조물 설치에 따른 하도 준설 등의 계획이 실행되면 유속 및 수위는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유황은 하도의 중앙부에 집중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수의 원활한 소통을 가능케 하고, 치수 안정성 확보에 순기능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다기능 보 즉, 하도 횡단 구조물의 설치로 인한 하도 흐름 영향 검토 결과는 고정보 부근의 흐름에서는 설치 전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유속의 감소가 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퇴적 지향적인 하도로의 변화가 예상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가 동보 부근의 흐름에서는 유속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하도 본래가 갖는 안정성 확보 및 구조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현장 모니터링과 실내 모형실험 등의 계속된 연구 수행을 통한 자료의 축적 및 분석으로 하도 내 횡단 구조물 설치가 하도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지표가 산정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ffect of Water States of Fruit Vesicle and Leaf on Fruit Quality in 'Trifoliate' Orange and 'Swingle citrumelo' Rootstock of 'Shiranuhi' [(Citrus unshiu ${\times}$ C. sinensis) ${\times}$ C. reticulata] Mandarin Hybrid, M16 A Line in Plastic Film House Cultivation (시설재배 '부지화' M16 A계통의 '탱자'와 '스윙글 시트루멜로' 대목과 과실 및 잎의 수분상태가 과실품질 차이에 미치는 영향)

  • Han, Sang-Heon;Kang, Jong-Hoo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0 no.3
    • /
    • pp.204-210
    • /
    • 201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 states (water, osmotic potential and turgor pressure) of fruit vesicle and leaf on soluble solids and organic acid contents of fruits of 'Shiranuhi' mandarin hybrid, M16 A line during the fruit maturing season in plastic house cultivation. The 'Shirauhi' grafted on 'Swingle citrumelo', strong strength of rootstock, produced fruit with lower soluble solids and organic acid content than 'Trifoliate' orange rootstock. The fruits vesicle water potential and turgor pressure measured before dawn in 'Swingle citrumelo' were higher tendency than the 'Trifoliate' orange, but osmotic potential values were lower than the 'Trifoliate' orange. The changes of leaf water potential were very similar to the fruit. Th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Shirauhi' fruits grafted on two rootstocks changes of soluble solids and organic acid content of the fruit were influenced by the leaf water potential and the osmotic potential of the fruit vesicles, which might be caused by the difference of root distribution between two rootstocks.

Relationship between Crack Characteristics and Damage State of Strengthened Beam (보강된 보의 균열특성과 손상상태의 상관관계)

  • 한만엽;김상종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6
    • /
    • pp.805-812
    • /
    • 2002
  • The number of old concrete structure which needs to be strengthened has been increased. The repair and strengthening methods have to be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structure. Consequently the estimation method for the damage status of the structure has been desperately needed, but no studies have been tried to use the crack and deflection characteristics to estimate the damage status. In this study, the crack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load level were measured and analysed. The crack characteristics observed from 11 samples were compared with damage status, and load level, The crack characteristics examined in this study include crack number, crack length, crack range, crack interval, maximum crack length, crack area, and average crack length. The deflections were normalized based on yield defle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ve deflection and the standardized crack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mong the crack characteristics, crack interval, crack area, crack range, and maximum crack length, have been showed a close relationship to the relative deflection. Therefore, if such crack characteristics are evaluated, the maximum load applied to the structure is believed to be estimated. if additional parameters such as size of specimen, strength of concrete and steel, and steel ratio are studied, the damage status of structure can be estimated more accurately.

The soil moisture fluctuation between surface and subsurface drained plots in the different soil characteristics (토양별 지표, 지하배수간 토양수분 변화에 대하여)

  • 이순혁
    • Water for future
    • /
    • v.7 no.2
    • /
    • pp.75-82
    • /
    • 1974
  • 본시험은 관개 및 배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토양수분 및 지하수위의 변화상태를 구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카나다 퀴백(Quebec) 지방 저지대의 대표적인 2종의 태양인 점토와 사질로움 토양에 대해서 일차적으로 지표, 지하배수간의 토양수분과 지하수위의 변화를 연구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종의 토양(점토, 사질로움)에 있어서 공히 토양수분은 지표로부터 지하로 내려갈수록 증가되는 상태를 나타냈으면 이는 하층토로 내려감에 따라 팽창된 치밀한 토양 조직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2. 동기에 있어서는 지표로부터 12inch 깊이의 토양수분이 더 깊은 18inch나 24inch 깊이의 토양수분보다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는 토양내의 빙결막이나 지표면의 눈 또는 어름에 영향으로 생각되며 이 경향은 점토질 토양에서 보다 토양내 빙결막으로의 수분 이종을 조장해주는 투수 계수가 큰 사질로움 토양에서 더 높았다. 3. 양식험구 공히 지표에서 얕은 지하 0∼3inch 이내의 토양수분은 항우를 전후해서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여기에서 수분의 급상승은 호우시나 표층토가 하층토의 토양수분에 영향을 주는 항우이전에 포장용수량(Field capacity)에 달했기 때문에 급항하는 지표면의 물 분자가 열에너지에 의해 증발산되고 천층에 산재한 초, 수근에 의해 소비되는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4. 지하수위하의 토양수분은 포화에 달하여 거의 일정할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실제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들 변화에는 부분적으로 토양사극이 지하수위하이라도 채워지지 않았거나(Capillary pressure가 작을 시) 혹은 관측기간 중에 토양의 융기와 수축에 기인된다고 생각된다. 5. 지하배수구가 지표배수구에 비해 지하수위항하가 빨랐음은 물론 사질로움 토양에서는 보다 높은 투수계수로 인해서 지하수위의 항하가 점토질 토양에서 보다 훨씬 빨랐음을 보여주고 있다.표시할 수 있다.된다.acid $0.41{\sim}0.65%$, 오미자는 malic acid $1.51{\sim}3.90%$, citric acid $2.40{\sim}3.92%$로 주요 유기산이 있다. 타닌은 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다소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오갈피는 $3.35{\sim}3.85%$로 매우 높은 함량이었다.a 6 cases, etc. 2. The retroperitoneal space including kidneys were the most commonly involved site (43.5%), of which Wilms' tumor was the commonest. 3. About 2/3 of tumors developed under the age of 6 and the commonest lesion was Wilms' tumor and the next being neuroblastoma, teratoma, ovarian cyst and so forth. 4. In all tumors except ovarian tumor and choledochal cyst, male was more frequently affected. 5. In plain abdomen 75% of neuroblastoma crossed the mid line while in Wilms' tumor only 2 cases (14%) showed midline cross. Calcific density was 입력불가 in all 6 cases of teratoma (100%) as dense and discrete ossification, in 3 case of neuroblatoma (38%) characteristically in diffuse stippled appearance and in one case

  • PDF

Bond Capacity of Near-Surface-Mounted CFRP Plate to Concrete Under Various Temperatures (콘크리트에 표면매입 보강된 탄소섬유 판의 온도에 따른 부착성능)

  • Seo, Soo-Yeon;Kim, Jeong-H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7 no.4
    • /
    • pp.75-83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series of test result in order to study fire resistance capacity of the Near-Surface-Mounted (NSM)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 plate, which are tensile test of CFRP under various temperature loading, temperature loading test of epoxy and bond test of NSM CFRP to concrete under various temperature loading. From the tests, it was found that NSM retrofit method had high efficiency in strengthening concrete under ordinary temperature. However, the strength of the system was able to be drastically decreased even a little increase of surrounding temperature. Especially, bond capacity begins to disappear when the surrounding temperature approache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pox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fire resistance capacity of both fiber reinforced polymer reinforcement and epoxy for bonding in order to develop safe fire resistance design of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