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수지분석

Search Result 37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stimation of Discharge data using Water Budget analysis in Dong-Jin River Basin (동진강 수계의 물수지 분석을 통한 유량자료 평가)

  • Shim, Eun-Jeung;Lee, Sin-Jae;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217-2221
    • /
    • 2008
  • 정도 높은 유량자료는 수자원 분야의 연구와 실무에 있어 대단히 중요하다. 이런 유량자료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므로 하천에서 직접 측정된 수위-유량자료를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을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관측된 수위에 대한 유량을 산출한다. 산정된 유량자료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유출평가의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를 위해 유출률 검토, 상 하류 유량검토, 누가유출량 평가, 첨두홍수량 및 저 평수기 동시유량 검토 등의 다양한 평가를 하게 된다. 정확한 유출평가를 위해서는 대상유역의 수계망도 및 배수계통도를 조사해야 하며, 하천 취수량, 댐 및 하수 방류량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물수지 분석을 실시해야 한다. 하지만 농업 지역의 경우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관개수로가 많이 설치되어 있어 배수계통이 매우 복잡하고, 관개수로를 통해 공급되는 정확한 용수량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어 정확한 유출평가가 어렵다. 국내 유역 중 농업 지역으로 복잡한 배수계통를 가지는 대표적인 유역은 동진강 유역이다. 동진강 유역은 섬진강 유역에 위치한 섬진강 댐에서 발전 및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유역변경식으로 동진강 유역으로 용수가 공급되고 있으며, 방류량은 동진강 본류 및 동진강 도수로, 김제간선, 정읍간선, 기타 간선 공급되는 복잡한 배수계통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방류량 및 각 간선으로 공급되는 용수량은 인위적인 수문조작에 의해 운영되고 있어 유량자료의 평가를 위한 유출검토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배수계통을 갖는 동진강 유역에서 2007년 유량측정을 통해 개발된 수위-유량관계 곡선 및 유량자료의 평가를 위해 유출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상지점은 동진강 본류의 옹동과 태인 지점이며, 정확한 유출평가를 위해 수계망도 및 배수계통도를 조사하였고, 댐 방류량 및 각 간선으로 공급되는 용수량을 파악하여 물수지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2007년 전 기간 유출률은 옹동 53.4%, 태인 47.2%로 분석되었고, $6{\sim}$9월 주요 홍수기의 유출률이 옹동 60.1%, 태인 64.8%로 두 지점의 유출률 차가 심하지 않았고, 자연하천의 일반적인 유출률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상 하류 유량검토를 통해서는 하류의 태인 지점이 상류의 옹동 지점보다 큰 정상적인 상 하류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서 동진강 유역의 옹동, 태인 지점의 유량자료는 적절하며, 측정된 유량자료를 토대로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식도 신뢰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Study of Water Availability Increments by Estuary Lake in YoungSan River (영산강하구둑에 의한 수리권 가용수량 증가에 관한 고찰 고찰)

  • Park, Hee-Seong;Choi, Hyun-Gun;Kim, Cha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79-2083
    • /
    • 2007
  • 하구둑은 해수의 역류에 의한 염수침입을 방지하고 유역에 필요한 담수를 확보하기위하여 건설되며, 하구둑에 의하여 하천의 하구에 담수호가 생성된다. 하구담수호에 의해 기존에 염해로 취수할 수 없었던 하천구간에서의 취수가 가능하게 되며, 하구담수호를 일정한 수위로 관리함으로써 상당량의 농업용수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구담수호에 의하여 확보되는 수자원량에 대해 설계 당시의 분석 자료들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연 총량의 형태로 나타나 있으며, 수리권과 관련하여 하구둑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확보되는 수리권 가용수량이 얼마인지에 대한 분석은 거의 없다. 그것은 하구둑의 방류량이 댐의 방류량과는 달라서 조석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기 때문에 단순한 물수지 분석으로 이를 모의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게다가 1일 2회의 조석이 발생하므로 1일단위의 물수지 분석은 어려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구둑에서 많은 양의 농업용수 취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과연 얼마정도의 양이 수리권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모르고 임의적인 허가가 계속 부여될 경우, 갈수 시 용수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용수의 공급을 위한 적절한 수리권 가용수량에 대한 추정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하구둑의 실시간 운영을 위하여 고 등(2004)이 개발한 "영산강하구 둑 물관리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조위의 예측과 배수갑문의 방류량 산정기법 등과 수자원장기종 합계획(2006) 수립 시에 사용된 장기간의 일자연유량을 이용하여 하구둑의 수리권 가용수량 추정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영산강 하구둑에 의해 생성된 영산호에 적용함으로써 영산호에 의해 증가되는 수리권 가용수량에 대해 고찰하여 보았다., 그리고 T-P $77.7{\sim}96.6%$(평균 94.3%)로 산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청호로 유입하는 유기물과 영양염류 연간 부하량의 80% 이상이 강우-유출과 함께 유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저수지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유역차원의 비점오염원 관리가 시급함을 시사한다.하기 위해, 수렴흐름 추적자시험에 의한 종분산지수와 시험대수층의 평균선형유속을 이용하여 종분산계수를 구하였다. 현장에서 수행된 양수시험에 의한 평균선형유속 22.44 m/day와 평균 종분산지수 0.4155 m를 적용하여 산정된 종분산계수는 $9.32\;m^2/day$이었다. 따라서, 시험부지 내 충적층에서 일정한 양수율$(2,500\;m^3/day)$로 지하수를 개발할 시에 양수정 주변지역으로 유입되는 염소이온의 확산면적은 1일 $9.32\;m^2$ 정도일 것으로 나타났다.적인 $OH{\cdot}$ 의 생성은 ascorbate가 조직손상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었다. 정확한 예측치를 얻기 위하여 불균질 조직이 조사야에 포함되는 경우 보정이 요구되며, 골반의 경우 골 조직의 보정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하여 불균질 조직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요구되며, 이는 CT 영상을 이용하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전시 슬러지층과 상등액의 온도차를 측정하여 대사열량의 발생량을 측정하고 슬러지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enin과 Rhaponticin의 작용(作用)에 의(依)한 것이며, 이는 한의학(韓醫學) 방제(方劑) 원리(原理)인 군신좌사(君臣佐使) 이론(理論)에서 군약(君藥)이 주증(主症)에 주(

  • PDF

An Analysis of Hydrologic Changes due to Daechung Dam Construction using Water Balance Equation (물수지 방정식을 이용한 대청댐 건설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 분석)

  • An, Jae-Hyeon;Yu, Cheol-Sang;Yun, Yong-N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4 no.3
    • /
    • pp.217-229
    • /
    • 2001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hydrologic changes and the effect of runoff characteristics of a large river basin due to construction of a dam. The changes of land use and vegetation are quantified from remote sensing film taken before and after dam construction. Evapotranspiration, runoff and soil moisture were calculated using water balance equation. It was found that the albedo of watershed upstream of the dam is decreasing due to the decreasing of vegetation and the increasing of water surface and forest, and the increasing of potential ev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led to increasing actual evpotranspiration and runoff ratio after dam construction.

  • PDF

Chaotic Analysis of Water Balance Equation (물수지 방정식의 카오스적 분석)

  • 이재수
    • Water for future
    • /
    • v.27 no.3
    • /
    • pp.45-54
    • /
    • 1994
  • Basic theory of fractal dimension is introduced and performed for the generated time series using the water balance model. The water balance equation over a large area is analyzed at seasonal time scales. In the generation and modification of mesoscale circulation local recycling of precipitation and dynamic effects of soil moisture are explicitly included. Time delay is incorporated in the analysis. Depending on the parameter values, the system showed different senarios in the evolution such as fixed point, limit cycle, and chaotic types of behavior. The stochastic behavior of the generated time series is due to deterministic chaos which arises from a nonlinear dynamic system with a limited number of equations whose trajectories are highly sensitive to initial conditions. The presence of noise arose from the characterization of the incoming precipitation, destroys the organized structure of the attractor. The existence of the attractor although noise is present is very important to the short-term prediction of the evolu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nonlinear dynamics are important for the interpretation and modeling of hydrologic records and phenomena.

  • PDF

Water Resources Management based on K-WEAPq (K-WEAPq를 통한 유역관리)

  • Choi, Si-Jung;Seo, Jae-Seung;Moon, Jang-Won;Lee, Dong-Ryul;Kang, S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82-1986
    • /
    • 2007
  • 유역관리를 위해서는 수량뿐만 아니라 수질에 대한 분석이 동반되어야 한다. 최근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SEI-US(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US Center)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통합수자원평가계획모형으로서 K-WEAPq(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linked Qual2K)는 기존의 K-WEAP 모형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오염원에 대한 하천수질모의를 하기 위해 Qual2K 모형을 연계시킨 모형으로써 유역관리를 위한 수량-수질 연계모의가 가능한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K-WEAPq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물수지 및 수질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낙동강 권역의 물수지 분석을 위해 월별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중권역별 배출부하량을 산출하여 Qual2K와의 연계시스템을 통해 하천수질모의를 수행하였다. 낙동강뿐만 아니라 11개의 지류들에 대한 수질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본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오염총량제와 같은 여러가지 정책에 대한 수질 개선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한강권역의 지류 하천에 대한 하천유지유량을 설정하였을 경우 예상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PDF

Analysis of Water Balance in the Geum River Basin using Watershed Management Model (유역관리모형을 이용한 금강유역 물수지 분석)

  • Ryoo, Kyong-Sik;Hwang, Man-Ha;Mang, Seung-Jin;Lee,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42-1746
    • /
    • 2007
  • 현재 우리나라는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등에서 많은 수위 관측소를 설치 운영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수위 관측지점은 유량환산시에 이용되는 수위-유량관계곡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신뢰성 높은 유출량 자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유출에 기여하고 있는 유출성분에 따른 유출비율 등을 파악하지 못함으로서 유동적인 유역 수자원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과학적이고 통합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유역내 수자원의 이동경로를 비롯해서 수자원의 정량적 변화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강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유출량을 보다 정확하고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다년간 유역정밀조사와 현장조사를 실시한 바 있는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유출성분별 유출량을 상세히 분석하고자 인위적요소인 용수이용량 및 회귀율 등을 반영한 사실적인 유출을 모의하는 유역관리모형을 통해 유출량을 검증하고 이를 유출성분별로 분리한 후 유역내 물수지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Evaluation of instream flow in Han river according to the Imnam dam operation in North Korea (북한 임남댐 운영에 따른 북한강 하천유지유량 평가)

  • Lee, Jae-Kyoung;Jang, Suk Hwan;Ihm, Nam-J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1
    • /
    • pp.71-82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stream flow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Imnam Dam in North Korea. The water budget and instream flow satisfaction were analyzed using hourly, daily and monthly data of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from Jan. 1991 to Dec. 2018. As a analysis result of water budget using hourly data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although inflows compared with dam release in the upstream basin of Peace Dam-Hwacheon Dam and Chuncheon Dam-Soyanggang Dam-Uiam Dam were calculated as negative values, the reasonable results using daily and monthly average data were estimated. It showed that the results of water budget analysis of dam inflow and total release may be different by time units of data. The monthly average inflow of Hwacheon Dam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construction in 2003 of Imnam Dam, which confirmed that the operation of Imnam D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ams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The operation of Imnam Dam is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lack of instream flow and total shortage amounts and shortage period increased up to +330% due to the decrease in inflow and total release of dams in the North Han River water after the operation of Imnam Dam.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plans to secure instream flow including transboundary river management

Groundwater Flow and Water Budget Analyses using HydroGeoSphere Model at the Facility Agricultural Complex (시설농업단지에서 HydroGeoSphere 모델을 이용한 지하수 유동 및 물수지 분석)

  • Kang, Dong-hwan;So, Yoon Hwan;Kim, Il Kyu;Oh, Se-bong;Kim, Suhong;Kim, Byung-Wo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7 no.3
    • /
    • pp.313-32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surface and subsurface flows through the modelling of the model area and facility agricultural complex, and to calculate the groundwater recharge rate through water budget analysis. From results of surface flow modeling, the surface water is flowed to a depth of about 1 to 5 meters from the upper region (northeast) to the lower region (southeast) of the Miryang River. At the M01 point (upper), the observed surface water flux and the model surface water flux are consistent. At the M02 points (lower), the observed surface water flux and the model surface water flux are a difference of 1%. From results of subsurface flow modeling, the depth of groundwater is similar to elevation in the river and higher to the forest area. Ground water depth considering groundwater pumping is that the model values appears higher than the observed values to be within 1.5 m. From results of surface-subsurface integrated modeling, the groundwater recharge area is estimated about 90% of the model area, and the groundwater recharge rate is estimated $1.92{\times}10^5m^3/day$. From results of annual water budget analysis, the groundwater recharge rate per unit area is estimated to be 503.9 mm/year, and average annual rainfall is estimated at around 39%.

Landuse oriented Water Balance Analysis Method by the Hydrological Model BAGLUVA based on Soil and Vegetation (토양-식생기반의 수문모델 BAGLUVA를 적용한 토지이용별 물수지 분석 방법론)

  • Kwon, Kyung 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4
    • /
    • pp.98-111
    • /
    • 2015
  •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flooding, depletion of ground water, pollution of urban streams and the heat island effect caused by urban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can be mitigated by the improvement of the urban water cycle. For the effective planning of water cycle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erial Hydrotope Maps, with which we can estimate the status and change of the water allowance for any site. The structure of the German water balance model BAGLUVA, which is based on soil and vegetation, was analyzed and the input data and boundary condition of the model was compared with Korean data and research results. The BAGLUVA Model consists of 5 Input categories (climate, land use, topography, soil hydrology and irrigation). The structure and interconnection of these categories are analyzed and new concepts and implementation methods of topographic factor, maximum evapotranspiration ratio, effective rooting depth and Bagrov n parameter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relation of real evapotranspiration ($ET_a$)-maximum evapotranspiration ($ET_{max}$) - precipitation (P) was via Bagrov n factor represented. The aerial and land use oriented Hydrotope Map can help us to investigate the water balance of small catchment areas and to set goals for volume of rainwater management and LID facilities effectively in the city. Further, this map is a useful tool for implementing water resource management withi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A Study on Water Demand Forecasting Methods Applicable to Developing Country (개발도상국에 적용 가능한 물수요 예측 방법 연구)

  • Sung-Uk Kim;Kye-Won Jun;Wan-Seop Pi;Jong-Ho Cho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6 no.4
    • /
    • pp.75-84
    • /
    • 2023
  • Many developing countries face challenges in estimating long-term discharge due to the lack of hydrological data for water supply planning, making it difficult to establish a rational water supply plan for decision-making on water distribution. The study area, the Bandung region in Indonesia, is experiencing rapid urbanization and population concentration, leading to a severe shortage of freshwater. The absence of water reservoir prediction methods has resulted in a water supply rate of approximately 20%. In this study, we aimed to propose an approach for predicting water reservoirs in developing countries by analyzing water safety and potential water supply using the MODSIM (Modified SIMYLD) network model.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the MODSIM model, we applied the unit hydrograph method to calculate long-term discharge based on 19 years of discharge data (2002-2020) from the Pataruman observation station. The analysis confirmed alignment with the existing monthly optimal operation curve. The analysis of power plant capacity revealed a difference of approximately 0.30% to 0.50%, and the water intake safety at the Pataruman point showed 1.64% for Q95% flow and 0.47% for Q355 flow higher. Operational efficiency, compared to the existing reservoir optimal operation curve, was measured at around 1%, confirming the potential of using the MODSIM network model for water supply evaluation and the need for water supply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