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리적 도구

Search Result 43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Implications of Using Physical and Virtual Tools in Learning Science Concepts from a Literature Review (문헌고찰을 통한 물리적 도구와 가상도구의 사용이 과학 개념학습에 미치는 시사점)

  • Seokmin Kang;Sungyeun Kim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7 no.2
    • /
    • pp.154-166
    • /
    • 2023
  • It has been known that the tool characteristics embedded in physical tools and virtual tools act with different underlying mechanisms in a user's knowledge acquisition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This overview study examines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use of physical and virtual tools from the perspective of conceptual frameworks, affordability that tools present, and the depth of cognitive engagement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learning concepts throug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s, the results of previous comparative studies were reinterpreted. It was found that what mattered for learning is the amount of new information that a tool provides and the different level of cognitive engagement that students use throug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Finally, the implications to be considered when teachers use physical and virtual tools to help students better understand various concepts are discussed.

Developing a physical environment and a procedural model for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in 3D virtual reality (3D 가상현실에서 예비교사의 수업연습을 위한 물리적 환경 및 절차적 모형 개발)

  • Cheong, Dong-U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393-39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3D 가상공간인 세컨드라이프에서 예비교사의 성공적인 수업연습을 위한 물리적 환경 및 절차적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수행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연습 관련 이론 탐색 및 문헌 연구를 통해 성공적인 수업연습을 위한 필수조건들을 탐색하였으며, 이 조건들로부터 수업연습을 위한 절차적 모형의 시안을 개발하였다. 둘째, 세컨드라이프에서 수업연습을 위해 필요한 교실의 물리적 구성요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실의 물리적 구성요소는 교실공간, 칠판, 교사용 책걸상, 학생용 책걸상, 출입문, 창문, 게시판, 프리젠테이션 도구 등이었다. 셋째, 세컨드라이프에서 수업연습을 위해 필요한 의사소통 도구를 탐색하였다. 탐색 결과, 텍스트 대화 도구, 음성 대화 도구, 노트카드 사용 도구, 공지사항 사용 도구 등이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 결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세컨드라이프내의 교실 안에서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하여 예비교사의 수업연습을 수행하였다. 이 수행결과에 기반하여 세컨드라이프에서의 예비교사의 수업연습을 위한 절차적 모형을 완성하였다.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에게 실제적 수업연습(field-based teaching practice)에 앞서, 3D 가상공간인 세컨드라이프에서 실험적 수업연습(laboratory-based teaching practice) 경험을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PDF

Effects of the Explanations of Physical Phenomena Given in Non-Physics Textbooks on the Formation of Students' Physical Conceptions (물리 외 교과서에 제시된 물리적 현상 설명이 학생들의 물리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Park, Mi-Jin;Kim, Yo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3 no.2
    • /
    • pp.155-164
    • /
    • 2003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lanations about physical phenomena given in non-physics textbooks on the formation of student physical conceptions. Two classes, 39 students in each, were sampled from two middle schools in Pusan, Korea, and two kinds of test tools for investigating student conceptions were developed for the study. The first test tool(a) investigated student conceptions after reading explanations about physical phenomena in non-physics textbooks, while the second(b) investigated student conceptions after reading explanations revised by physics education experts about the same physical phenomena. The two test tools were applied to each class, and for a fair invetigation, test(a) followed by test(b) was applied to one class, while test(b) followed by test(a) was applied to the other cla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both classes, the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from explanations revised by physics education experts was significantly (p < .01) higher than that from explanations in non-physics textbooks. As such, it is feasible that false or inappropriate explanations in non-physics textbooks can cause student misconceptions. Moreover, the improper expression of physical science concepts, improper choice of scientific terms, and incorrect grammatical structures, along with the use of unsuitable examples and improper model pictures can mak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physics concepts. Furthermore, differences in the terms used in physics textbook and those used in other textbooks can also confuse students' learning.

TEM을 이용한 비정질 박막의 구조분석

  • ;T EPICER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74-74
    • /
    • 1999
  • TEM(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은 결정재료뿐 아니라 비정질 재료까지도 원자단위의 구조를 연구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특히 200kV의 가속전압 투과전자현미경에 FEG(Field Emission Gun) 전자총이 장착되기 시작하면서 TEM은 비정질 구조 연구에 하나의 핵심적인 도구로서의 역할이 크게 기대되는 장비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TEM의 microanalysis accessary인 EELS(Electron Energy Loss Spectroscopy)technique을 주로 이용하던 기존의 방법대신 고 분해능(HRTEM(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의 image로부터 비정질 정량묘사의 유일한 도구인 원자분포함수(RDF(Radial Distribution Function))로의 Reconstruction을 Simulation을 이용하여 시도하였다. 비정질 HRTEM image의 정량분석을 통하여 이 분야에서의 TEM의 한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몇 모델을 제시하고 사용하였다. 또한 비정질 구조를 정량적으로 묘사하는 도구인 원자분포함수를 알아보고 비정질재료를 보다 물리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하여 가능한 모델 제시 후 첫 단계로서 HRTEM image에서 원자분포함수를 이끌어내기 위한 모델링을 수행하고 비정질 게르마늄(a-Ge) film에 대하여 실제로 적용하여 보았다. 마지막으로 실험적인 접근으로 200kV FE-TEm (poingt resolution 0.14nm) 으로 비정질 Ge의 image를 solw Scan CCD를 이용한 Elastic image를 Through Focus로 얻었으며 수치적인 정량비교를 역격자 공간에서 출발한 가장 물리적인 구조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모든 정량비교는 image의 Fourier 변환인 Diffractogram으로 하였다. 결론적으로, 많은 복잡한 수치 처리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HRTEM의 image로부터 구조에 대한 정보(RDF)는 명확하게 얻을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asurement Tools for Physics Image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의미분석법에 의한 물리 이미지 측정도구 개발 및 적용)

  • Song, Youngwook;Choi, Hyuk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7 no.6
    • /
    • pp.1051-1061
    • /
    • 2017
  • An image is a comprehensive result that you have experienced about an object and means the image that you have on the surface of your consciousness. The image of the subject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learning the subject. The image analysis of the subjects that the learners have will be good data to decide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measurement tools for physics image and discuss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research method is to develop the measurement tools for the physics image by semantic analysis method and apply it to the secondary pre-service physics teache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 first graders, 31 second graders, 37 third graders, and 38 fourth grader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 total of 145 students, 82 of whom were male and 63 were female.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image measurement tools for physics consisted of 25 items from five elements: 'interest,' 'feeling,' 'scope,' 'evaluation,' and 'viewpoi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in applying the measurement tools developed for the physics image of secondary pre-service physics teachers. 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female students in the 'interest' and 'feeling' elements of measurement tools for the physics image. In the 'scope' element of measurement tools for the physics image the second grade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fourth grade. Finally, we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mage analysis of physics and the usefulness of using measurement tools in physics image.

Design of Physics Simulator and Software Development Kit for 3D Game Developers (3차원 게임 개발자를 위한 물리 시뮬레이터 및 개발도구의 설계)

  • Kim, Seong-Chan;Kim, Dong-Kyun;Hwang, Yo-Han;Shin, Dong-Kyoo;Shin,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269-27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게임 물리 엔진의 개발을 지원하는 물리 시뮬레이터 및 개발도구에 대해 설계하였다. 3차원 게임 물리 엔진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 현상을 실시간으로 테스트하여 인터렉티브한 게임에서의 물리효과와 사용자가 물리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테스트한 환경을 시뮬레이터 개발도구를 통해 API를 생성하여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좀더 정확한 물리 현상 구현과 개발기간의 단축 및 개발 공정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Framework of File System Robustness Test (FORT : 파일 시스템 강인성 테스트 프레임 워크)

  • Kim, Young-Jin;Won, You-Jip;Kim, Ra-Kie;Lee, Mo-Won;Park, Jae-Seok;Lee, Joo-Wheun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4 no.8
    • /
    • pp.348-366
    • /
    • 2007
  • Capacity of modem storage devices is becoming larger than yesterday and integration of disk is increasing. It refers that physical errors can damage a lot of digital information on storage devices. So we propose file system test framework in this paper to test integrity and robustness of file systems. We develop the tool for generating bad sectors on disks and the tool which creates all physical errors defined in storage devices. We also develop the tool for immediately monitoring the condition of read and write execution on storage devices. So, by integrating those tools, we develop FORT, test framework for confirming robustness of file system. We analyze robustness of ext3 file systems by FORT. Lastly, we present draft of intelligent system merging file system and device driver's layer architecture.

악성코드 탐지를 위한 물리 메모리 분석 기술

  • Kang, YoungBok;Hwang, Hyunuk;Kim, Kibom;Sohn, Kiwook;Noh, Bongnam
    • Review of KIISC
    • /
    • v.24 no.1
    • /
    • pp.39-44
    • /
    • 2014
  • 악성코드는 다양해진 감염 경로를 통해 쉽게 노출될 수 있으며, 개인정보의 유출뿐만 아니라 봇넷을 이용한 DDoS 공격과 지능화된 APT 공격 등을 통해 심각한 보안 위협을 발생시키고 있다. 최근 악성코드들은 실행 후에는 메모리에서만 동작하는 방식으로 파일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악성코드 탐지 기법으로 이를 찾기가 쉽지 않다. 이를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물리 메모리 덤프를 포함하여 악성코드 분석 및 탐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윈도우 시스템의 물리 메인 메모리에서 악성코드 탐지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기존 개발된 물리 메모리 악성코드 탐지 도구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도구별 악성코드 탐지 기능에 대한 특징을 설명한다. 물리 메모리 악성코드 탐지 도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기존 물리 메모리 악성코드 탐지 기술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향후 정확하고 효율적인 물리 메모리 악성코드 탐지의 기반 연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금융IC카드에 대한 부채널분석 도구 비교 연구

  • Choi, Chan Young;Jeong, Jae Cheol;Shin, Hyu Keun
    • Review of KIISC
    • /
    • v.22 no.8
    • /
    • pp.54-60
    • /
    • 2012
  • 기존 마그네틱 카드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집적회로칩이 부착된 IC카드의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IC카드에 대한 보안 위협 또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에서도 암호화에 사용된 키를 찾기 위해서 암호 알고리즘의 이론적인 취약점이 아닌 암호화 과정에서 누설되는 수행시간, 소비전력, 전자기 방사 등을 이용하는 물리적 공격 방법인 부채널분석 공격이 대표적인 보안 위협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채널분석 공격 기법을 구현한 국내 외 시험 도구의 차이점 및 시험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 도구별 시험 결과를 전력분석 관점에서 비교 분석해 보았다. 시험 결과, 각 도구별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고, 시험 도구의 동작 방식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모두 동일한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The Effect of Cabin Environment on In-Flight Entertainment Satisfaction (객실서비스의 물리적 환경이 엔터테인먼트 만족에 미치는 영향)

  • Kim, In-Joo
    • Korean Business Review
    • /
    • v.21 no.2
    • /
    • pp.171-194
    • /
    • 2008
  • In this study, specific review for the recent trend both in technical parts and the contents of IFE will be revealed. At the same time, how the passenger's satisfaction on IFE will lead to make an intention of repurchase and create the transmission of positive feed backs on the concerned airline has been thoroughly studied. In order to do the above, 250 air traveling passengers has participated the survey and 235 survey forms has been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hysical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aircraft system help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degree on IFE. The convenience is revealed as the most effective factor in the satisfaction degree on IFE while the atmosphere and design is regarded as the similarly Important factor. The contents of IFE are obviously affecting the satisfaction degree in positive side. Consequently, the customers' satisfaction on IFE positively affects to the repurchase intention especially to the transmission of the feed bac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