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리적 교란 평가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종이의 유전 특성 향상을 위한 표면 사이즈제의 열적 안정성 및 유동현상 평가

  • 이학래;서만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1.11a
    • /
    • pp.53-53
    • /
    • 2001
  • 종이의 전기적 성질 가운데 유전율은 전기장에 대한 종이의 물리화학적인 반응으로 일반적으로 종이의 밀도와 종이를 구성하는 성분의 쌍극자 모멘트에 비례하며 온도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열에너지를 얻게된 쌍극자가 전기장에 배열됨으로써 유전율이 상승하지만 온도가 유리전이점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에는 열적 교란에 의해서 분극능력이 감소하게 되어 유전완화 현상이 나타난다. 전기절연지로 사 용될 종이의 절연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용환경에 따른 유전적 특성 및 tan 0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필름형성능력이 우수한 polyvinyl a1cohoHPV A)와 acrylonitrile을 이용하여 시아노에틸화한 PYA의 표면처리에 의해 종이의 유전적 특성이 향상되었음을 기존의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절연지가 사용되는 환경조건에서 PYA를 기본물질로하는 유전필름 의 열적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아울러 표면사이징 공정에서의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용액의 유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유전특성 향상을 위해서는 표면 사이즈제의 유도체화 과정에서 쌍극자 모벤트의 밀도 증가를 통한 유전율 향상이 요청되며 이와 동시에 네트원 구조를 통하여 전기장에 대 한 물리적 특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W AXD( wide angle x-ray diffraction)를 이용하여 시아노에틸화 반응 과 고온에서의 열화에 의한 필름의 결정화도를 평가하였으며 온도 상승에 따른 흡열 피크의 변화를 통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PYA 분자구조의 변화와 유리전이온도의 추이 를 분석하였다. 또 열화과정에서 수반되는 필름의 중량감소율을 평가함으로써 열안정성 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시아노에틸화한 PYA가 안정된 분자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아노에틸화한 PYA용액의 점탄성 평가를 위하여 storage modulus와 loss modulus 를 분석하였다. 일반적 유변특성 평가 결과 PYA용액은 shear-thinning, pseudoplastic 한 특성을 나타내어 표면사이즈 공정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hybrid hydrological modeling framework combining physically-based and deep-learning-based hydrologic models: an approach considering dam operation (물리 기반 수문모형과 딥러닝 기반 모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수문 모델링 프레임워크: 댐 운영을 고려한 접근)

  • Yongchan Kim;Dongk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6-66
    • /
    • 2023
  • 대규모 댐의 운영으로 인한 인위적인 유량 교란은 물리 기반 수문모형의 정확한 하천유량 모의를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상류의 자연형 유역 모의를 위한 물리 기반 수문모형 Variable Infiltration Capacity model과 댐 운영 모의를 위한 딥러닝 기반 모델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모델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의 주요 상수원이자 대규모 댐들이 존재하는 팔당댐 유역을 대상으로, 물리 기반 수문모형만을 기반으로 구축한 단일 및 계단식 구조의 모델과 하이브리드 모델의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검증 기간 동안, 하이브리드 모델, 단일 및 계단식 구조 모델의 Nash-Sutcliffe Efficiency는 각각 0.6410, -0.1054 그리고 0.2564로 하이브리드 모델의 성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댐 운영 고려가 정확한 하천유량 평가를 위해서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수자원 관리, 홍수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미래의 지속 가능한 물 관리를 위해 실무자에게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Prediction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Watershed of Nam River Using Probability Forecast (확률예보를 이용한 남강유역에서의 수질예측 ANN모형 개발 연구)

  • Jung, Woo Suk;Kim, Young Do;Kang, Boo Sik;Kim, Sung 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6-26
    • /
    • 2017
  • 우리나라는 하천 및 호수 등 지표수에 대한 수자원 의존도가 매우 높다. 지표수는 태양광에 노출되어 있고, 기온의 영향을 직접 받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대해 매우 민감한 수체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저온, 이상 고온, 홍수, 가뭄 등의 자연 현상은 하천, 호수의 물리화학적 및 생태학적 특성을 변화(교란)시키고 있다. 이러한 기상현상에 변동되는 수질특성을 고려하여 기상청 확률기상예보를 구축된 인공신경망 예측모형의 입력인자로 적용하여 수질예보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모형구축은 실제 일어난 기상관측자료와 요인분석을 통해 분류한 수질인자를 반영하여 단위유역별 수질예측을 위한 ANN학습을 실시하였다. 각 단위유역마다 기상요인의 공간적 세밀화 적용을 위해 각각 남강A, 남강B는 산청기상대, 남강C, 남강D는 진주기상대, 남강E는 의령기상대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질항목은 DO, BOD, COD, TOC, T-P, SS 총 6개로 단위유역 5개에서 총 30개 예측모형 구축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학습된 인공신경망 예측모형에 기상청 확률예보 값을 입력인자로 사용하여 모형평가를 실시하였다. 5개 단위유역 중 상대적으로 유역관리의 시급성을 고려하여 남강댐 하류 단위유역인 남강D, 남강E 인공신경망 모형의 입력자료로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 PDF

Evaluation Methods of Soil Resilience Related to Agricultural Environment (농업환경 분야에서 토양 리질리언스 분야별 평가 방법)

  • Kim, Min-Suk;Min, Hyun-Gi;Hyun, Seung-Hun;Kim, Jeong-Gyu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7 no.2
    • /
    • pp.97-113
    • /
    • 2020
  • Soil is the foundation of human life and the basis for food security. Considering this it is prioritized in the U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 Therefore, research on soil resilience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is crucial for sound and sustainable soil management, especially in highly uncertain and unpredictable conditions. Soil resilience is defined in different ways by several researchers; however, its definition typically includes the concepts of recovery and resistance to stress. The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that are used to assess the soil resilience, i.e., the response of soil to various types of stress are summarized in this study. In addition, various statistical processing techniques and quantification methods are summarized considering the wide spatial and temporal scope of soil resilience research. Several soil resilience studies typically conduct the following five steps: (1) soil and site selection (2) stress (independent variable) setting (3) soil characteristics and indicator (dependent variable) setting (4) performing various spatiotemporal scale experiments (5) statistical analysis. The previous and present studies present a general introduction of soil resilience, based on which, further practical research considering domestic agricultural environment should be conducted. The extensive range of soil resilience measurements will require collaboration between researchers in various fields.

Dynamic Response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the Inner Saemankeum Reservoir According to Gate Operation and Flood Events (홍수전파와 배수갑문 운영에 따른 새만금호 내부 수리특성의 동적응답)

  • Suh, Seung-Won;Cho, Wan-He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7 no.4
    • /
    • pp.269-279
    • /
    • 2005
  • Numerical simulations were done using depth integrated ADCIRC model in order to evaluate dynamic response on the inner Saemankeum reservoir due to flood flow and gate operation for the both situations of dike construction and inner development. According to 2-dimensional dynamic flood routing, temporal variation of hydrographs shows sensitive at upstream riverine region while it becomes stable from the center part of the reservoir due to sudden expansion of physical changes. Dynamic response of hydraulic changes such as water surface elevation and velocity on the inner region arises suddenly by gate operation and more rapidly after the inner development than dike construction. Temporal surface fluctuation arises during inflowging of outer sea water and propagates upstream up to 10km to 16km in accordance with inner development status.

Radiation-Implemented Combustion of Homogeneous Solid Propellants (복사 열 속의 영향을 받는 고체 추진제의 연소반응)

  • 남삼식;이창진;김성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10a
    • /
    • pp.5-5
    • /
    • 1998
  • 수정된 연소 반응 함수를 이용하여 복사 열속 교란에 대한 연소 반응 특성을 살펴보았다. Catalyzed DB N5 추진제의 연소 반응을 살펴보기 위하여 Son 등의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Son 등의 연소 반응 함수는 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활성화 에너지에서 실험 결과를 예측하였지만, 수정된 연소 반응 함수는 비슷한 추진제의 실제 활성화 에너지 범위에서 복사 열속에 대한 연소율의 반응을 비교적 잘 예측할 수 있었다. 이것은 Son 등에 의해 과소 평가된 복사 열속(f, J)의 영향이 고려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민감 변수(sensitivity parameter)들을 구하기 위하여 Ibiricu 등이 제시한 정상 연소 관계식을 이용하였다. AP계 추진제의 표면 온도에 대한 정상 연소율 변화를 살펴본 결과 Zanotti의 AP2 추진제의 실험 결과와 정성적으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Evaluation of Seismic Response for a Suspension Bridge (현수교의 지진응답 평가)

  • 김호경;유동호;주석범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7 no.1
    • /
    • pp.57-63
    • /
    • 2003
  • A comparative study was performed for a suspension bridge to grasp the possible differences in seismic responses evaluated by several analytical methods. The items mainly investigated are the linear vs. nonlinear response, the response spectrum method vs. the linear dynamic analysis method, and the damping ratio and it's implementation into analysis procedures. According to the numerical example, it is found that the seismic responses are considerably affected by the damping-related parameters even though slight differences are shown depending on the response quantities and the exciting directions.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seismic responses are less affected by the analysis method-related parameters such as the response spectrum method vs. the linear dynamic analysis method, and the linear and nonlinear analysis method. The response spectrum method is expected to give conservative results for the examined bridge, provided that the design response spectrum in the Korean Highway Design Specification is modified according to the proper damping ratio.

Assessment of Physical Stream Disturbances by River Improvement - Case Studies of Nam River and Youngcheon River - (하천정비에 의한 하천의 물리적 교란 평가 - 남강과 영천강을 대상으로 -)

  • Kim, Ki-He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2 no.3
    • /
    • pp.83-97
    • /
    • 2009
  • The objects of study is to propose criteria for physical river disturbance assessment and as case study to show the application results for river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the river disturbance assessment method for past disturbance process and the present-day potential natural state of stream is proposed. To assess the disturbance of the Youngcheon River caused by river improvement, One ares of Nam River was selected for the reference reach and two areas of Youngcheon River were selected for the comparison reach. And these reaches were surveyed and analyzed according to applying criteria of the river disturbances assessment. The assessment indices were physical factors as like epifaunal (bottom), embededness, velocity/depth regime, sediment deposition, channel flow status, channel alteration, frequency of riffles, bank stability, vegetative protection and riparian zone etc. The results showed that physical river environment in Youngcheon River area was disturbed by artificial revetment and bed excavation, consequently this disturbance give rise to impact of ecosystem in river. Hereafter, the criteria for river disturbance assessment are needed to consider various river characters as bed materials and bed slop etc.

A Study on the Risk of Lightning in Special Structures and its Verification Method (특수 구조물의 낙뢰 위험도와 검증 방안에 관한 연구)

  • Yoo, Jeong Hyun;Kim, Hei Si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6
    • /
    • pp.664-668
    • /
    • 2018
  • Free-standing structures that are especially high are more likely to receive brain attacks caused by lightning. Since special structures are generally part of national industrial structures, lightning strikes mostly cause socio-economic damage. Lightning protec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to prevent such lightning damage, but in 2015, support cables on West Sea bridges were hit by lightning, causing a lot of economic damage. Accordingly, the design of a lightning protection system shall establish protective measures after analyzing the risk of debris falling onto the structure. In this thesis, lightning strikes are analyzed directly in relation to the modeling system that operates the actual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for lightning strik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tall, free-standing structures, and practical lightning hazard information is provided by a meteorological station. In addition, we propose monitoring and applying a probability correction rate to the calculation of the lightning risk based on the number of lightning strikes directly reaching the ground in order to obtain an effective lightning risk assessment.

Using Weighting-Factored Matrix Evaluation Method for Development of System Deducing Optimal Ecological Stream Flow Secured Methodology (가중치부여매트릭스 평가기법을 이용한 최적의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 도출 시스템 개발)

  • Byun, Dong-Hyun;Lee, Jong-Chul;Lee, Kyoung-Do;Jung, Seu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2-216
    • /
    • 2011
  • 현재 하천 건천화에 따른 수생태계 교란 및 수질악화 등의 근본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기조에 따라 조성되고 있는 신도시, 소규모 및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의 경우는 환경 친화적인 단지조성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존 도심하천의 복원 및 인공하천의 녹색성장을 고려한 친환경적 생태하천으로 조성하고자 하는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나 안정적인 생태복원의 수원확보 방안을 마련하지 못해 실제 설계가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조성하고자 하는 소하천 혹은 실개울 등의 수질보전 및 생태계 보호 등 하천이 본래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생태하천유량을 확보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지만, 공사 유형과 주변 환경에 적합한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을 선정할 수 있는 비구조적 대책마련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과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조성하고자 하는 도시 내 자연하천 및 인공하천 조성 등 수변환경을 고려한 단지조성에 맞는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 및 평가에 대한 연구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태하천유량 확보와 하천수질 개선이 필요한 특정 지역 또는 다양한 유형의 공사 지구 내 하천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용 가능한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들과 수리해석 모델인 HEC-RAS(River Analysis System), 생태하천유량 산정 모델인 PHABSIM(Physical HABitat SIMulation)을 연계한 물리서식처 평가 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기초로 가중치부여매트릭스 평가(국토해양부, 2006) 기법을 적용한 최적의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과 수질개선 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을 구축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최적의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 도출을 위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활용으로 필요유량은 물론, 기준을 만족하는 수질의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는 중 소규모 하천에 실질적으로 적정수질의 생태하천유량을 확보함으로서 하천으로서의 역할을 위한 본 기능의 회복과 동시에 소하천, 도심하천 및 인공하천 등 중 소규모 수계의 수문순환을 정상화하여 하천의 지속 가능한 개발과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