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물리사회적재생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1초

이중차분법 적용을 통한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선도사업 전·후 개선실태 분석 (An Analysis of the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Economic-Bas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sing the Difference in Difference Method)

  • 김성연;권성문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0권2호
    • /
    • pp.5-20
    • /
    • 2020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와 청주시에서 진행한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선도사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사업 전·후의 인구, 지역경제 및 노후도 관련 지표 비교 분석을 통해 선도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재생선도사업이 적어도 인근지역과 비교했을 때, 선도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나타났다. 즉 도시재생선도사업이 종료된 시점에서 볼 때, 사업성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재생선도사업을 실시함에 있어 세부사업 구성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백화점식으로 나열하는 등의 계획을 수립하고 집행한다면,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향후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있어서도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 시 사업목적에 부합하는 세부사업을 면밀하게 선정해야 한다. 또한 마중물사업, 지자체사업, 부처연계사업 및 민간투자사업이 상호 유기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시너지효과가 해당지역에 발현될 수 있도록 세부사업 추진 시 상시 모니터링하고 사후 성과평가를 통한 개선방안을 찾는 등 도시재생사업의 사후관리에 대한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도시재생 관련 신문기사에 나타난 관광에 대한 관심도 분석 (An Analysis of Interest in Tourism in Newspaper on Urban Regeneration)

  • 박희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91-199
    • /
    • 2019
  • 최근 물리적 재생보다 사회문화적 재생이 더 중요해지면서 지역의 고유한 문화를 활용한 지역자원이 도시재생에서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는 관광의 기능과 부합되면서 도시재생에서 관광의 역할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도시재생에서 관광은 중요한 분야로 다루어지고 있는데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관련 규정 및 정책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도시재생에 있어 관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고 실증적으로 그 흐름을 파악해보기 위해 우리사회의 관심정도와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신문기사 게재건수 및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언론보도 빅데이터 분석시스템인 빅카인즈를 이용하여 도시재생과 관광에 관련한 기사를 수집하였으며, 선행연구 검토를 통한 분석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게재건수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재생에 대한 관심정도와 비중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도지재생사업이 진행될수록 관광에 대한 관심 증가 및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다. 도시재생과 관광에 관련한 기사내용으로는 지역적 속성, 사회문화적 속성, 경제적 속성, 정치 제도적 속성, 물리환경적 속성 순으로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향후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있어 관광 콘텐츠 자체에 대한 질적 제고 및 보다 적극적인 제도마련과 지원정책이 필요함을 제시할 수 있다.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공간정보구축 및 활용시스템 개발 방안 (A Study on the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System Development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조병호;임영택;최봉문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 /
    • pp.162-17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물적 중심의 도시정비사업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산업 경제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지원 관리할 수 있는 공간정보의 구축 및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도시재생 관련 법률 및 계획을 분석하여 현재 사용되는 지표항목 및 지표의 문제점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국내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통계자료 및 기 구축 시스템을 검토한다. 끝으로 물리적 환경과 사회 문화, 경제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도시재생 계획지표 설정과 도시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 시스템 개발을 위한 접근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사업내용 및 기대효과 유형 분류 및 분석 -근린재생형 도시재생 선도지역 마중물 사업을 대상으로-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Project Contents and Expected Effects of Urban Regeneration Pilot Projects)

  • 배민경;박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27-544
    • /
    • 2018
  • 도시는 다양한 콘텐츠를 담고 있는 유기적 존재로써 특히 최근에 관심을 받고 있는 도시재생은 콘텐츠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따라서 도시의 경쟁력 있는 콘텐츠 개발을 위해 도시재생 사업의 내용과 기대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1곳의 근린재생형 선도지역의 마중물 사업의 사업내용과 기대효과를 유형화하고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중물 사업의 사업내용은 물리적 재생이 가장 많으며 기대효과는 사회적 효과가 가장 많았다. 둘째, 사회적 재생의 사업은 주민의 역량강화를 위한 사업이 주를 이룬다. 셋째, 물리적 재생의 기대효과에서는 경관개선에 관한 기대효과가 많았으며, 넷째 사회적 기대효과에서는 도시재생의 기본 개념인 주민참여에 관한 내용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일 효과보다는 사업의 효과를 복합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사업개발이 필요하다. 향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서는 마을 고유의 자산을 활용하고 경쟁력 있는 도시콘텐츠 개발에 기반하며 다양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사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도시재생사업에서 도시정비예정구역의 유형구분을 위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적용 (To Build the Spatial Database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 of Pre-Redevelopment Zone of Daejeon for the Strategy of Urban Regeneration)

  • 최봉문;조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436-445
    • /
    • 2010
  • 본 연구는 도시재생 관련 선행연구와 도시재생 사례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 유형을 도출하고, 대전시 도시정비사업에 대해 분석한 후, 기존의 물리적 환경에 의해 구분되는 도시정비사업의 문제점을 검토함으로써, 도시재생의 취지에 맞도록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적 환경의 특성을 고려하는 도시정비사업의 유형화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를 사례대상지로 도시정비사업을 중심으로 유형화 실태를 살펴보았으며, 도시정비사업의 문제점과 그를 해결하기 위한 도시정비사업(지구)의 유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세부내용으로는 도시재생 관련 선행연구와 사례를 통해 정리한 도시재생의 유형을 정리하고, 도시재생의 유형으로 물리 환경 재생, 사회 문화 재생, 경제 산업 재생으로 구분하여 이러한 필요한 공간정보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대전광역시의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202개 정비예정구역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쇠퇴지역의 유형에 따른 도시재생사업의 평가 - 대전광역시 쇠퇴지역을 중심으로 - (Evalu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declining area - Focusing on the declining area in Daejeon -)

  • 박소연;오덕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984-4991
    • /
    • 2015
  • 성장에 중점을 둔 도시정책은 도시 내 쇠퇴지역을 발생시켰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도시재생의 중요성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쇠퇴 실태의 정확한 진단과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의 측면별 평가를 통해 도시재생 전략과 사업의 문제점 수정, 보완의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 내 쇠퇴지역을 유형별로 도출하고, 쇠퇴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을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계획요소로 평가하여 지역의 유형별 쇠퇴양상에 적합한 도시재생사업이 시행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전시의 19개 쇠퇴지역 모두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계획요소 적용 정도가 '보통' 이하로 나타나, 도시재생사업이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덕동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쇠퇴유형에 대응하는 도시재생사업을 시행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물리적 도시재생사업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쇠퇴유형에 대응할 수 있는 사회적, 경제적 도시재생사업의 발굴과 통합적, 지속적 도시재생 노력이 필요하다.

도시재생사업 유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시 도시정비예정구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Patter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 조병호;임영택;최봉문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6-228
    • /
    • 2009
  • 본 연구는 대전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이 수립된 지 2년여가 경과하였고 목표연도(2010년)가 다다른 시점에서 도시재생 취지에 맞게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예정구역을 평가 분석하고,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으로 유형화의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도시재생 관련 선행연구와 도시재생 사례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대전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에 대해 분석한 후, 기존의 물리적 환경에 의해 구분되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도시재생의 취지에 맞도록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적 환경의 특성을 고려하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유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도시재생사업에서의 사회복지사업 유형 및 내용 분석 (A Study on Typology and Contents of Social Welfare Program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강혜규;엄태영;류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1-43
    • /
    • 2017
  • 본 연구는 도시재생에 대한 기존의 물리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추진 중인 최근 도시재생의 흐름속에서 사회복지적 접근의 실체를 파악하고 사회복지 기법의 정착과 확대에 필요한 제안 사항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시재생 선도지역과 주거취약지역의 사업계획서에서 내용분석의 방법을 적용하여 사회복지 사업을 추출하였으며 사업들을 특성과 형태에 따라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재생 지역의 사회복지사업은 경제적 기반마련, 복지중심 주거환경개선, 지역사회통합추구, 사회서비스제공의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각 유형은 다시 12개의 세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도시재생사업에 사회복지기법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위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일자리 연계, 사업수행과정에서 당사자의 적극적 참여,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역량 강화, 사회서비스 확대 제공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구임대아파트의 사회물리적재생이 거주노인의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대전시 무지개 프로젝트 한마음아파트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o-Physical Regeneration on Social Network of Elderly Residents -Focused on Hanmaum public apartment of Daejeon implemented under Rainbow project)

  • 임의선;이연숙;김주석
    • KIEAE Journal
    • /
    • 제10권5호
    • /
    • pp.31-41
    • /
    • 2010
  •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is changing toward holistic regeneration with residents' participation all over the world. While world leading projects in holistic regeneration such as "Ballymun of Ireland" and "Buffalo of U.S.A" appeared, recently in Korea, "Rainbow project" is getting paid attention as a similar example due to its Socio-Physical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Socio-Physical Regeneration on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of Elderly Residents in a public rental apart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elderly residents who have resided since much before the environmental intervention. The research methods is in-depth interview. Specific features of social network included awareness of the physically improved surrounding environment, awareness of and participation in welfare programs, social interactions, identity, and vandalism behavior. As results, most of elderly residents recognized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felt very positive enough to enhance their attachment and pride in their residences.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and also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ir relations with community. Considering that permanent public rental housing has been a socially isolated place, it is significant to notice that residents' perception of being excluded and behaviors are changed gradually being influenced by environmental improvement.

사회물리적재생을 통한 주거환경개선이 영구임대아파트 주민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o-Physical Regeneration on Social Network of Public Rental Residence)

  • 임의선;이연숙;김주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10
    • /
    • 2011
  • In the 20th Century, urban regeneration was changed to holistic regeneration and Ballymun of Ireland was one of the example of leading projects which using holistic regeneration over ten years. In Deajeon, there is a successful project call as "Rainbow project", using holistic regeneration. Any previous case needs to be checked thoroughly and the result needs to be studied for next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ineate the effect of Socio-Physical regeneration on social network. For this research, research tool was developed to combination of previous social exclusion index. This research was a survey research which used Systematic Random Sampling. In conclusion, it was not enough time to change people's behavior dramatically but even though a change is very low, it is very meaningful. Changing from people's behavior to people's mind, is a step to a go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