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화상품

검색결과 791건 처리시간 0.029초

조선시대 배자류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Using Baeja of the Joseon Dynasty)

  • 임현주;조효숙
    • 복식
    • /
    • 제60권3호
    • /
    • pp.56-65
    • /
    • 2010
  • It is time to create an image of Korea that uniquely defines and represents the nation to the world, by incorporating Korean traditions with the cultural industry.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see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and further explore its utility from an industrial viewpoint. This study is intended to design uniforms for employees in Korean restaurants at hotels or docents in Korean-styled museums. In doing so, we eyed on Baeja, a Korean traditional vest as the cultural archetype, and created cultural products. As our archetype, we chose two pieces of Baeja : one excavated from the tomb of Suryun Sim (1534-1589) which is displayed in the Gyeonggi Provincial Museum, and the other from Byeon of the Jeonju Lee family (1636-1731) in Suk Joo-Sun Memorial Museum at Dankook University. We also adopted Dapho with a Korean traditional vest with long length. Based on these cultural archetypes, seven products were developed. With the traditional food and way of living in Korea being more and more recognized in the global stage, it would be continuous crea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with history and story rooted in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nation that could enrich our culture by bringing traditions back to the modern days to incorporate the past into the present. It is important to restore traditions when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However, it is also critical to commercialize ideas with stoη and creativity in the market for cultural products.

공예문화상품의 현황과 발전방안 (Possibility of Territor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rtifacts)

  • 김원석;김성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74-82
    • /
    • 2007
  • 문화상품(공예산업)은 민간에 의해 전하여 내려오는 기능, 기술, 기법 또는 토속 원재료를 근간으로 하여, 생산되는 조형제품으로서 제조과정의 주요부분이 수공예적인 특성을 가진 제품을 제조하는 산업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토산품, 기념품, 관광토산품, 전통공예품 등 지역적 풍토 입지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는, 즉 오랜 세월을 걸쳐 역사적으로 전승하여 형성되어온 특정의 공예품이다. 공예산업은 예술적, 문화적 특징의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예술적 특징이란 창의적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지적 조형 활동이라는 점에서 예술적 성격이 강한 미술의 한 분야로써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충북 문화산업 수요의 실증적 분석 (Empirical Analysis on Cultural Industry Demand in Chung-Buk Province)

  • 정초시;신길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165-174
    • /
    • 2007
  •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문화산업에 대한 수요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문화상품이 공공재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정부가 공급한다는 점에서, 얼마나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킬지가 의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충북에서의 문화수요의 결정요인 분석을 통하여 향후 지방정부가 문화산업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준거를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수요자의 문화산업의 포괄적 만족도 결정요인, 문화산업 유형의 결정요인에서 참여형과 관람형 문화산업 중 어떤 유형을 결정할 것인가, 여가수요에서 재화집약적 여가수요 및 시간집약적 여가수요의 결정요인을 계량경제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지방정부가 최적의 문화상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수요자의 필요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문화시장개방, 국제규범, 글로벌 거버넌스 (Opening of Cultural Market, International Norms, and Global Governance)

  • 김은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5권
    • /
    • pp.7-35
    • /
    • 2006
  •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강화되면서 문화시장 개방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논쟁 역시 강화되고 있다. 시장개방 촉진자들은 문화영역의 생산물 역시 타 상품과 같은 조건에서 다루어져야 한다고 강변한다. 이의 반대자들은 문화란 개인과 공동체의 의식과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기에 상품교역에 있어서도 예외성이 인정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 같은 문화시장 개방을 둘러싼 국제 관계의 흐름은 국제사회의 의사결정과 관리에 대한 규범 창출의 이론적 틀을 제시하는 '글로벌 거버넌스(Global Governance)'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이에 본 논문은 문화시장 개방을 둘러싸고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국제규범과 이의 행위자들에 대한 고찰을 글로벌 거버넌스라는 관점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문화시장 개방을 촉진하는 WTO, GATT, GATS와 같은 국제협약 및 행위자들을, 그리고 그 반대편에 위치하면서 '문화적 다양성' 논의를 이끌고 있는 국제협약 및 행위자들을 글로벌 거버넌스라는 틀 속에서 검토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문화시장 개방을 둘러싼 논쟁과 충돌은 패권국가의 힘에 기반한 국제질서가 아니라 다양한 국제사회의 행위자들이 참가하는 글로벌 거버넌스의 구축을 통해 그 해결책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