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화브랜드

Search Result 60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Impact of Culture Resources on City Brand Personality, Relationship Quality, and Loyalty in Tourism City (관광도시 문화자원의 도시브랜드개성, 관계품질,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Kim, Jung-Hee;Kim, Hyoung-Gil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3 no.4
    • /
    • pp.741-752
    • /
    • 2010
  • City culture resources are critical elements to city brand strategies for improving city attraction and provide much contribution to induce visitors from competitive city. A city brand needs to be distinguished and differentiated from competing cities because they are all engaged in the similar environment of city. The differentiation of brand achievement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highlight certain brand functions to include emotional, self-expressive, and symbolic functions since the importance of such functions has been further emphasized in promoting tourism activities. In particular, That is the recent role of city brand personality that has been emphasized in city management. In other words, visitors now freely and actively express their personalities or egos in tourism activities, taking an important role in construction of a brand asset. The study examines how culture resources affect city brand personality, relationship quality, and city brand royalty in the tourism city. The authors test the proposed model using data from Jeju tourists. The pivotal findings via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the study are as follows; 1) culture resources have been classified culture programs, culture infra, human resources, 2) The city brand personality has been classified as innovativeness, peacefulness, sophistication, confidence and dynamics; 3) The culture resources influenced on the city brand personality; 4) The city brand personality influenced on the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5) The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influenced on the loyalty. Results from the empirical study indicates that culture resources have a strong positive impaction on city brand personality. To increase tourist' royalty of city brand personality, managements must manage culture effectively and create friendly city brand personality to in accord with tourist needs.

  • PDF

A Study on Design Features of Unisex Young Casual Wear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김현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1 no.6
    • /
    • pp.85-9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국내브랜드를 중심으로 고찰한 후 그 디자인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한 시대의 패션현상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국내 패션시장의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에 대한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신세대의 하위문화와 국내브랜드 시장조사를 통한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동향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한 후 영 캐주얼웨어의 브랜드를 디자인의 차이에 따라 분류하고, 그 디자인 특성을 컬러, 소재, 스타일, 아이템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00 S/S, '00 F/W의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패션 정보잡지와 인터넷의 패션사이트를 검색하였다.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브랜드별 시장조사를 통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상매체, 대중음악. 스포츠, 스타문화로 나타난 신세대의 하위문화는 탈중심성, 탈국경화, 의미의 해체 등의 포스트모던적 문화현상이며.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는 자유와 개성을 추구하는 신세대의 라이프 스타일을 잘 반영한 하위문화의 복식양식으로서 현대 패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기성복업체는 신세대가 가지고 있는 새로운 욕구와 감성을 겨냥한 브랜드를 개발하고 판매촉진을 위해 전력을 다하는 과정에서 신세대의 하위문화를 반영한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일반적인 복식양식을 형성하였다. 3. 국내시장의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는 디자인 특성에 따라 컴포터블 캐주얼웨어, 스포츠 캐주얼웨어, 힙합 캐주얼웨어로 구분된다.

  • PDF

The Impact of Perceived Brand Globalness on Brand Attributes Evalua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Thinking Style about Causality (소비자의 브랜드 글로벌성 인식이 브랜드 속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인과관계에 대한 사고방식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 Han, Soo-Yeon;Lee, Chol
    • Korea Trade Review
    • /
    • v.42 no.5
    • /
    • pp.43-69
    • /
    • 2017
  • The study examined moderating role of thinking style about caus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brand globalness(PBG) and the brand evaluation. Thinking style about causality is divided into interactionism and dispositionism. Individualism culture shows a tendency of thinking style about causality to dispositionism, and collectivist cultures shows a tendency for interactionism. We conducted a survey on Korean college students who represent collectivist cultures and foreign students from countries of individualistic culture and analyzed data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higher the respondents perceived PBG, the higher they perceived brand quality, brand quality, and brand price. However, it showed that PBG has greater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brand quality and perceived brand reputation among Korean students than students from individualistic culture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PBG on perceived brand pric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students and students from individualist cultures. Thus, we can conclude that thinking style about causality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BG and perceived brand quality and brand reputation, while it does not do so between PBG and perceived brand price.

  • PDF

Development of Hangul Calligraphy for Brand Identity of Red Ginseng Package (세미나 - 홍삼인삼패키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위한 한글 캘리그래피 개발)

  • Kim, Hye-Jeong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79
    • /
    • pp.104-110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상품문화학회 논문집에 게재된 내용으로 홍삼인삼 제품을 생산하는 지역단위 영세 중소기업의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를 위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 이미지를 대표하는 한글을 이용한 캘리그래피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홍삼인삼 제품이 국가 브랜드를 주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고 한글의 국제화는 물론, 기업들이 소비자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브랜드 디자인(brand design)을 개발하고, 개발된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를 활용하여 소비자로부터 지속적인 관심과 선택을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고에서는 홍삼인삼패키지 브랜드별 패키지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논문의 일부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The 23rd Best Brand & Package Design Awards (제23회 베스트브랜드& 패키지디자인어워즈)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98
    • /
    • pp.63-67
    • /
    • 2018
  • 국내 최고의 브랜드와 상품 패키지디자인을 선정해 시상하는 '제23회 베스트브랜드&패키지디자인어워즈(The 23rd Best Brand & Package Design Awards)' 시상식이 지난해 12월 27일 서울사이버대학교 차이코프스키홀에서 개최됐다. (사)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회장 김윤배)와 한국경제신문사의 공동주최로 진행된 이날 시상식에서는 (사)한국백합생산자중앙연합회의 '백합화장품'이 베스트패키지 종합대상을 수상했다. 베스트브랜드&패키지디자인어워즈는 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에 관한 연구와 학술활동을 지속해온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에서 기업들의 상품개발 의욕과 디자인 역량 강화를 위해 1995년부터 수행해온 행사이다. 다음에 '제23회 베스트브랜드&패키지디자인어워즈' 수상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Brand as determinant of evaluation of product personality-a cross-cultural study- (문화적 차이에 따라 브랜드 개성이 제품 개성에 미치는 영향의 비교에 대한 연구)

  • Park, Woo-Sung;Sohn, Min-Sik;Suk, Hyeon-Jeong;Jeong,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2-13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개성이 제품의 개성을 판단하는데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설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동일한 제품에 대하여 개성이 상이한 브랜드가 적용되었을 경우 제품의 개성을 판단함에 있어 브랜드 개성의 특성이 반영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설문을 위하여 두 켤레의 신발을 준비하였으며 각각은 상징적인 측면이 강조된 여성용 하이힐 제품과 기능적인 측면이 강조된 운동화로 구성하였다. 각 제품에 대하여 명품브랜드(Versace), 일반 상용 브랜드(독일: C&A, 한국: 밀리오레), 그리고 브랜드가 부착되지 않은 총 6장의 사진을 준비하였다. 실험에 앞서 별도의 피험자들이 상기 사용된 브랜드들에 대하여 "frohlich/유쾌함(cheerful)", "ehrlich/정직함(honest)", "provokativ/도발적인(provocative)"의 형용사로 평가를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실험참여자에게 각 신발들의 3가지 사진 중 무작위로 선정된 사진을 한 장씩 보여주고, 각각에 대해 브랜드 측정에 사용했던 동일한 평가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했다. 더불어, 본 연구는 개인주의 문화권에 비하여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브랜드의 영향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일의 만하임대학(Universitaet Mannheim)과 한국의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생들을 위주로 설문을 실시하여 문화적 차이에 따른 브랜드 영향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에서는 독일과 한국 모두에서 브랜드 개성이 제품 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 개성이 제품의 기능적 측면(가격)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 PDF

Influence of Sociocultural Services on Brand Image and Loyalty of Cafe (카페의 브랜드 이미지와 충성도에 대한 사회문화성서비스 영향)

  • Kim, Yeon Jong;Seol, Byung Moon;Mun, Hee J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5
    • /
    • pp.163-17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 brand image and loyalty of cafe by recognizing that social culture of middle school cafe, which is an important service quality in cafe establishment, emerges as a main characteristic of new coffee business. First, reliability, confidentness, professionalism, accessibility, and socio - culturality of the service quality of coffee specialty shops improve brand image. Confidence and professionalism play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brand loyalty, and brand ima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loyalty. Respectively, Among the service quality, social culture has a strong influence on brand image but it is not a direct influence on brand loyalt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loyalty of coffee service quality, brand image shows full mediation effect on reliability, partial mediation effect on confidence, professionalism, accessibility, socialcultural property, and mediation effect on response and empath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coffee shop typ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brand image of coffee specialty shops, reliability, confidentiality, and accessibility are positive factors in the nationwide franchise. On the other hand, in the private $caf{\acute{e}}$, professionalism and socio-culturality are the main factors for improving the brand image. In the case of the local franchise, similar to the franchise in the country,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for responsiveness and professionalism is a positive factor Respectively. As a result, nationwide franchise $caf{\acute{e}}s$ have priority in enhancing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through accessibility and assurance of service quality.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local franchise $caf{\acute{e}}$, it can be seen that the service quality is enhanced and the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can be further improved through service professionalism and accessibility. On the other hand, regional cafes are more important than national franchises or local franchise cafes, and a strategy to enhance customer loyalty is needed through service strategies emphasizing socio - cultural aspects.

  • PDF

A Study of Utilizing Brand Touch Point of Corporate Museum : In terms of the Market-Driving Brand and Consumer Insight (기업박물관의 브랜드 접점 활용연구 : 브랜드 시장주도와 소비자 인사이트 관점에서)

  • Kim, Eun-Jeong;Chang, Dong-Ryun;Hong, Sung-Mi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20 no.3 s.71
    • /
    • pp.163-178
    • /
    • 2007
  • The importance of brands as well as the consumers' emotional & cultural desire have increased. In the meantime, the companies have made efforts to create their positive brand images through the support of Mecenat using culture or social return. In addition, they made ceaseless efforts to provide consumers with a cultural space by building up brand service areas as part of their purpose. However, the rapidly increasing brand service spaces have not really appealed to consumers. In order to become a competitive and powerful brand in the severe brand marke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brand image and to let the brand be considered as a culture and the lifestyle of consumers. In order to do so, the companies have to establish their market-driving strategies by creating new products or new market. To do so, it is important for them to figure out consumers' inner desire through the touch point with consumers.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a method of using a corporate museum as a space that could meet all of the said elements at a time. Through the route of a corporate museum, the companies would be able to study their future directions by looking back their history and they could be reborn as culture brand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rporate museum could be a space for culture and education as well as a brand space and could play a positive role in the companies; in this process, the study could grope for consumers' inner desire with its touch point where companies and consumers would meet and its utilization of brand market-driving strategy as a test marketing strategy observing consumers' responses.

  • PDF

국내 여성복업체의 입체재단 도입현황 분석 - 미시존 기성복 브랜드 중심으로 -

  • 채수경;천종숙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4a
    • /
    • pp.42-44
    • /
    • 2003
  • '95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경제위기를 맞이하면서 의류시장의 외형적 규모와 소비자들의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되자, 국내 미시존 여성복 브랜드에서는 단품의 강화와 트랜드를 반영한 캐릭터성 보완의 두 가지 측면으로 시장구도를 형성하며 의류시장의 위기를 모면하려 노력한다. 그러나 IMF 이후, 베이직 상품의 판매비중이 늘어나게 되자 정장에 트랜드를 반영하기보다는 단품에 트랜드를 반영하려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대다수의 브랜드들이 기획비중을 줄이고 보완반응의 비중을 늘리면서 인기 브랜드의 인기 아이템에 대한 디자인 카피가 늘어나게 되면서, 브랜드의 차별화가 없어지는 공동화 현상이 심각하게 대두되게 되었다. (중략)

  • PDF

해외 유명 패션브랜드들의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국내 패션브랜드의 세계화 방안

  • 배혜진;정인희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43-44
    • /
    • 2003
  • 우리나라에는 수많은 수입 브랜드들이 유통되고 있고, 큰 시장을 확보하고 있다. 신진경(1997)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제품의 품질향상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확보를 용이하게 하며 판매촉진 효과를 증진시킬 목적으로 1979년부터 수입자유화 정책화 함께 외국 유명브랜드를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정부의 도입조건 완화로 인해 1984년 7월 1일부터는 허가제가 신고제로 바뀌어 외국 브랜드 도입이 더욱 용이해졌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