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제해결방식

Search Result 3,005,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A Design of Dynamic Question Generation System using a Voluntary Extraction and Division Methodbased on WordNet (워드넷 기반의 임의 추출 분할 방식을 이용한 동적 문제 출제 시스템 설계)

  • 추승우;오정석;김유섭;이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83-285
    • /
    • 2004
  • 문제 은행 방식을 사용하는 웹 기반 학습 시스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문제 유출에 따른 평가의 공정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임의 추출 분할 방식을 이용한 동적 문제 출제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 시스템 또한 문제 은행 방식을 사용하여 위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어간의 관계를 계층적으로 표현한 어휘 데이터베이스인 한국어 워드넷을 활용한 방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임의 추출 분할 방식으로 출제된 문제의 예제 문항을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명사들을 추출한다. 이 명사들을 이용하여 한국어 워드넷에서 해당 면사의 상위 개념 또는 동일 개념의 Synset을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Synset으로 다른 예시 문항이지만 의미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예제 문항을 생성하려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사용으로 평가의 공정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 PDF

문제제기 수업이 수학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 Bang, Seung-Jin;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2 s.22
    • /
    • pp.417-434
    • /
    • 2005
  • 본 연구에서 문제제기 수업이 수학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제제기 수업과 기존의 교사 주도식 수업방식에서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창의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8주 동안 문제제기 수업을 실시하여 수업을 한 후, 문제해결력 검사지와 수학적 창의력 검사지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제기 수업을 활용한 수업방식이 기존의 교사 주도식 수업방식에 비해 문제해결력 신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제기 수업이 교사 주도식 수업에 비해 수학적 창의력 신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수학적 창의력 하위 요소 중 유창성과 융통성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문제해결력 신장과 수학적 창의력 신장을 위해서 학교수업에서 문제제기 수업 활동의 도입을 제언한다.

  • PDF

Analysis of Genetics Problem-Solving Processe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Learning Approaches (학습접근방식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유전 문제 해결 과정 분석)

  • Lee, Shinyoung;Byun, Taej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0 no.4
    • /
    • pp.385-398
    • /
    • 2020
  • This study aims to examine genetics problem-solving processe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learning approaches. Two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participated in a task that required solving the complicated pedigree problem. The participants had similar academic achievements in life science but one had a deep learning approach while the other had a surface learning approach. In order to analyze in depth the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es, each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 was video-recorded, and each student conducted a think-aloud interview after solving the problem. Although students showed similar errors at the first trial in solving the problem, they showed different problem-solving process at the last trial. Student A who had a deep learning approach voluntarily solved the problem three times and demonstrated correct conceptual framing to the three constraints using rule-based reasoning in the last trial. Student A monitored the consistency between the data and her own pedigree, and reflected the problem-solving process in the check phase of the last trial in solving the problem. Student A's problem-solving process in the third trial resembled a successful problem-solving algorithm. However, student B who had a surface learning approach, involuntarily repeated solving the problem twice, and focused and used only part of the data due to her goal-oriented attitude to solve the problem in seeking for answers. Student B showed incorrect conceptual framing by memory-bank or arbitrary reasoning, and maintained her incorrect conceptual framing to the constraints in two problem-solving processes. These findings can help in understand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es of students who have different learning approaches, allowing teachers to better support students with difficulties in accessing genetics problems.

The Construction of Marriage Support Program for Couples in Early Stage of Marriage (결혼초기 부부를 위한 부부교육프로그램의 구성)

  • 노지영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1
    • /
    • pp.171-180
    • /
    • 1994
  • 본 프로그램은 현대사회에서 급증하는 부부간의 부적응에 미연에 예방한다는 취지에 따라 개인의 성장 및 부부간 상호이해증진과 공동체의식향상을 통해 부부 자체의 문제해결능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해서는 부부교육 프로그램의 사회적 기여도를 고려해서 한국 사회의 위기집단이 누구인지를 파악한후 그들에게 필요한 구체적 도움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교육목표를 설정하였다. 교육방법은 실제경험을 함께 나눔로써 상호교육효과를 이룰 수 있는 소규모집단 (약 3~5쌍)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육대상은 중산층의 결혼초기(결혼 5년이내) 부부들로 하였다. 교육내용은 교육목표에 따라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연계성을 갖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부의 애정 증진, 결혼생활에 대한 부부 각자의 이해차이와 문제 접근 및 해결방식의 차이 지각, 부부간의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식으로서의 부부의 상호교류 방식을 파악한 후 수정해보며, 그리고 부부의 문제해결 방식에 대한 조언과 평가를 통해 끊임없는 부부간의 성장을 유도하였다.

  • PDF

A Study on Privacy Issue for IPv6 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 (IPv6 주소 자동 설정 방식의 프라이버시 문제 연구)

  • Oh, Ji-Soo;Kim, Ho-Yeon;Lim, Hun-Jung;Chung, Tai-Myu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012-1015
    • /
    • 2011
  • IPv4 의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고 더 개선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IPv6 가 개발되었다. IPv4 와 달리 IPv6 는 보안을 고려하며 설계되어 기본적으로 IPSec 를 제공한다. 하지만 IPv6 에도 보안상의 취약점이 있어서 여러 공격과 보안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존재하는데, 이 문제는 IPv6 에서 제공하는 주소 자동 설정 방식(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에서 발생한다. 이 주소 자동 설정 방식은 주소 공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제안되었다. 주소 자동 설정 방식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발생하는데, 개인 식별 프라이버시와 위치 프라이버시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라이버시 위협과 그에 따른 해결 방안을 기술하고, 해결 방안에 따라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설명함으로써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소음예측의 해석적 기법

  • 김정태
    • Journal of the KSME
    • /
    • v.29 no.5
    • /
    • pp.476-486
    • /
    • 1989
  • 기계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해석기법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제품의 설계 및 생산후 발생되는 소음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문제해결방식(problem solving)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할 수 있는 소음예측기법이 (design for noise)의 두 가지 내용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문제해결 방식에 있어서는 소음원-전달경로-방사효과 등 3분에 의한 체계적 소음해석 절차에 대한 설명과 함께 X-선장치의 소음해석 방법이 논의되었다. 설계시 이용할 수 있는 해석 기법으로 에너지 전달현 상과 관련된 FEM과 SEA방법의 적용범위와 용도를 기술하였고 BEM에 대하여도 간략히 소개 하였다.

  • PDF

The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Social Problem-solving Living Lab Project Class in University and Development of an Toolkit to derive Effective Problem Definition (사회문제 해결형 대학 리빙랩 프로젝트 수업의 의의와 효과적인 문제 정의 도출을 위한 활용 툴킷 개발)

  • Park, Hyung-Wo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0
    • /
    • pp.15-20
    • /
    • 2021
  • The crisis of university must be overcome by emphasizing the acquisition and use of knowledge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and solve contemporary and diverse social/regional problems through educational method innovation. University classes should be a way of contributing to solving human problems, the U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and various issues in the community. This study focused on project-based learning to cultivate socially engaged and problem-solving talents. In addition, a problem definition toolkit model was produced and tested to improve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follow-up research, I plan to develop a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corresponding to the field application-improvement-feedback of Living Lab project classes, and suggest a method that universities can easily apply to the existing curriculum.

파워 인터뷰 -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이원욱 위원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57
    • /
    • pp.40-44
    • /
    • 2015
  •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이원욱 위원(새정치민주연합 경기 화성시을)은 하나의 문제를 볼 때 겉으로 드러난 원인에만 눈길을 두지 않는다. 어떤 문제든 반드시 복합적인 배경에 기반을 두고 있고, 근본 원인을 해결해야만 그 문제도 해결된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결책을 찾는데 있어 단순한 접근방식이 아니라 다양한 사고에 바탕을 둔 복합적인 방식을 고집한다. 이원욱 위원으로부터 에너지산업이 당면하고 있는 복잡한 현안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직접 들어봤다.

  • PDF

A Study on the Problem Solving Styles according to Left/Right Brain Preference of Earth Science Gifted Students (좌우뇌 활용 선호도에 따른 지구과학 영재들의 문제해결방식에 관한 연구)

  • Chung, Duk-Ho;Park, Seon-O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2
    • /
    • pp.172-184
    • /
    • 2010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 solving styles according to the left /right brain preference among earth science gifted students. We took the R/LCT and the test of BPI to investigate the brain preference of earth science gifted students (N=16), and took S-CPST to investigate the problem solving styles on them. In the R/LCT, the earth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8 left-brain preference students, 7 right-brain preference students, 1 middle-brain preference student). In the BPI, 8 students had the appearance of left-brain preference, whereas 8 students had the appearance of right-brain prefere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S-CPST, first the left brain preference students tended to resolve a problem into simple components, then they put together each simple component. They prefer to solve a problem using numbers and mathematical signs logically, but they were afraid of giving trouble to describe own idea with pictures. Whereas the right brain preference students solved a problem with 3 steps. First, they saw an overall form of problem. Second, they tried to analyze each simple component of it, and then, made up all in one. Also, the right brain preference students observed the intuitive pattern of problem first, and then suggested the various problem solving methods later, and they took a solving plan using a picture in detail. In sum, earth science gifted students are unequal in problem solving styles according to the left/right brain preference. Thus, a teaching-learning method needs to be developed based on left/right brain preference for more effective gifted educati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Peer Agent System to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y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동료 에이전트 시스템의 교육적 효과)

  • Han, Keun-Woo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2 no.4
    • /
    • pp.1-11
    • /
    • 2009
  • There are several studies in order to learn about programming language. This paper develops a peer agent system based 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involves three components - content understanding, domain-dependent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self-regulation. This paper shows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bout components of problem-solving for learning to program and the peer agent system uses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is study intent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eer agent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the system has superior effects on problem-solving ability compared to traditional programming courses or pair programming courses. It means that the peer agent system is the effective educational system in improv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