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제바탕학습

Search Result 65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Educational Strategy based on Learning Styles and Multiple intelligences in Programming Education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학습스타일과 다중지능을 고려한교육방안)

  • Cho, Eun-Ae;Kim, Soo-Hwan;Han, Seon-K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61-66
    • /
    • 2009
  • 프로그래밍 교육이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력 증진, 문제해결 능력, 성취감과 자신감 획득 등 학습자의 고등 인지 능력을 발달시킨다는 사실이 많은 연구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다양한 교육용프로그래밍 언어가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이 확산됨에 따라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도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전통적인 교육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밍 학습에서도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학습스타일과 다중지능을 고려한 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즉,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육 방안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해 학습자의 학습스타일과 다중지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에 있어 학습스타일과 다중지능을 고려한 교육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에게 특성을 고려한 적합한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프로그래밍 교육의 학습효과를 증진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PDF

함수 그래프 과제에서의 오류 분석 및 처치 -테크놀러지를 활용한 교수학적 환경에서-

  • An, Ga-Yeong;Gwon, O-Na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337-360
    • /
    • 2002
  • 그래프 능력을 바탕으로 한 함수의 그래프 표현은 함수 교수 ${\cdot}$ 학습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러나 부적절한 함수 그래프 과제 교수 ${\cdot}$ 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지식 구성, 이해 과정에 영향을 주면서 수학적 오류를 형성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체계적인 오류 분석을 기반으로 한 좋은 교수학적 프로그램을 통해 수학적 오류를 예견하고 학습 과정에서 그것을 잘 처치,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함수 교수 ${\cdot}$ 학습을 위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필 환경하에서 함수 그래프 과제를 수행한 학생들에게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수학적 오류를 점검하고, 새로운 교육용 테크놀러지 환경하에서 이러한 수학적 오류가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를 위해 고등학생 119명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함수에 대한 개념 이미지로부터의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 고등학생 2명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기존의 수학적 오류가 새로운 교수학적 환경하에서 변화, 극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Sorting Algorithm Contents for Improv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in Elementary Student (초등학생용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정렬 알고리즘 교육자료 개발)

  • Jang, Junghoon;Kim, Ch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0 no.2
    • /
    • pp.151-160
    • /
    • 2016
  • Algorithm education is emphasized as an instrument for teaching the basic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But these materials is very short-fall. We'll present the CS Unplugged-based algorithm contents, which is easy to learn for elementary student. These contents for self-directed learning consisted of the activity-based learning. For problem-solving algorithm learning in everyday life we were developed the hashing techniques on the basis of the basic searching and sorting algorithms. For checking the adequacy of these materials were tested by surveys of teacher professional groups, and we obtain the appropriate conclusions for sorting algorithm contents for improv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for in elementary student.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rious Game User through Implementation of Mobile Sequence Game (모바일 수열 게임 개발을 통한 기능성 게임 사용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 Hong, Min;Lee, Hwa-Mi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9A no.3
    • /
    • pp.155-160
    • /
    • 2012
  • This paper designed a smartphone application with sequence problems which users can improve their learning ability and this application is implemented as serious game which is designed for the special purposes of education with entertainment and game-like fun at anytime and anywhere during the spare time. Also to prove learning effects through sequence of number application under ubiquitous environment which is popular these days, the proposed serious game which has various types of sequence questions is implemented based on the iphone and android environments. Use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effects which are based on game record of proposed application are analyzed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arning and Performance Comparison of Multi-class Classification Problems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 (지지벡터기계를 이용한 다중 분류 문제의 학습과 성능 비교)

  • Hwang, Doo-Su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1 no.7
    • /
    • pp.1035-1042
    • /
    • 2008
  • The support vector machine, as a binary classifier, is known to surpass the other classifiers only in binary classification problems through the various experiments. Even though its theory is based on the maximal margin classifier, the support vector machine approach cannot be easily extended to the multi-classification problems. In this paper, we review the extension techniques of the support vector machine toward the multi-classification and do the performance comparison. Depending on the data decomposition of the training data, the support vector machine is easily adapted for a multi-classification problem without modifying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the binary classifier. The performance is evaluated on a collection of the benchmark data sets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selected teaming strategies, the training time, and the results of the neural network with the backpropagation teaming. The experiments suggest that the support vector machine is applicable and effective in the general multi-class classification problems when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neural network.

  • PDF

A Case Study on Simulation as Problem-based Learning(S-PBL) (시뮬레이션 기반 문제중심학습 수업 사례 연구)

  • Lee, Hyo-Ju;Yun, Se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05a
    • /
    • pp.384-387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ign and apply simulation-based problem-based learning classes, and then analyze the effects of class management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In paramedicine, practical learning that can respond to various emergency situations based on major knowledge is important. In the case of problem-based learning classes, it is suitable for operating various topics covered by the Department of Paramedicine as it can improve capabilities such as problem-solving strategies, skills, and teamwork by providing practicality related to field situations for learning. This study developed a PBL module focusing on patients with dyspnea and applied it to medical emergencies and practice courses taken by 16 third graders of S University's Paramedicine department. Overall class satisfaction was high from 4.76 to 4.92. In particular, by resetting the learning strategy through PBL classes and experiencing cooperative learning, positive learning outcomes could be obtained and self-efficacy was experienced.

  • PDF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Edugame for Learning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 정보보호학습을 위한 에듀게임의 설계 및 개발)

  • Kim, Young-Jun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6-169
    • /
    • 2009
  •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라는 용어의 등장과 함께 오늘날 게임은 새로운 교수학습매체로 관심을 끌고 있다. Morice(2000)에 의하면 오늘날 컴퓨터 게임은 교수-학습 과정에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접목되고 있으며, 실제로 사용자들이 열광하는 다양한 게임의 장르별 매력적인 요소가 학습에 접목이 가능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에듀게임의 효과적인 개발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여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면 막대한 자본이 필요하지 않은 작은 게임의 틀 속에 핵심적인 학습내용을 담아, 에듀게임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툴을 이용하여 어렵지 않게 만들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여 기획된 시나리오와 그것을 바탕으로 제작된 캐주얼 게임을 제시함으로써 교육용 게임의 설계 방향과 활용 방안에 대한 실질적 제안을 하고자 함과 동시에 최근 인류의 생활에 깊숙이 관련되어 있는 컴퓨터 사용에 있어서 이슈가 되고 있는 개인의 정보 보호에 대한 내용을 게임의 주제로 하였으며 그 제목은 '황토의 대모험'으로 명하였다. 게임의 형식은 퀴즈게임과 어드벤처 게임의 복합 형태로, Windows 기반의 모든 종류의 운영제체를 지원하는 통합형 멀티미디어 제작 툴인 Flash MX로 구현하였다. 황토의 대모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용화된 멀티미디어 제작 툴로 만들어진 저비용의 간단한 게임을 통한 학습이다. 둘째, 사용자는 다양한 문제 해결 학습을 통하여 게임에서 제공되는 제반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셋째, 문제 해결과정에서 정보보호에 대한 의식을 고취하고, 정보보호 방법을 학습하기 전의 기본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 PDF

An Analysis of the Affective Effect of Whole Brain Based Cooperative Learning for the Gifted (영재 교육을 위한 전뇌 이론 기반 협동학습의 정의적 효과 분석)

  • Kim, Soon-Hwa;Song, Ki-Sang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1 no.2
    • /
    • pp.255-268
    • /
    • 2011
  • The 21st century is called as the "Age of knowledge flood", and thus the importance of the ability which can use knowledge creatively is more emphasized. Also, not only individual problem solving but also solving problems through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with group members are needed, and therefore, it is requested to train potential gifted learner working together with others to practice cooperation and eventually grown up as a competitive human resource to adapt successfully in future environment. In this paper,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in gifted learners, members for cooperative learning group has been selected using whole brain theory from the 42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ummer gifted learner vacation program. From the analysis of th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frequency of interactions whole brain based cooperative learning is effective for enhancing both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actions. Therefore, the whole brain based cooperative learning is an effective pedagogy for enhancing the motivation as well as facilitating interactions within gifted learners.

Effectiven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v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문제중심 학습과정 개발 및 적용 효과: 자기주도학습능력,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중심으로)

  • Park, Hyun Joo;Byun, Shang He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6
    • /
    • pp.627-636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ay the basis of the need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ve ability, problem solving skills for nursing students by confirming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classes of nursing student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1 to June 7, 2022. It was provided problem based learning classes to 165 nursing students located at B city. Problem based learning classes were conducted at total of 14 times, and 100 minutes/tim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Cronbach's α,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ith the SPSS Win 21.0 program, and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 classes was analyzed with a paired t-test. As a result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blem based learning clas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t=-2.08, p=.039), critical thinking(t=-2.49, p=.014), communicative ability(t=-4.90, p<.001), problem solving skills(t=-4.84, p<.001) of nursing students who took 14 weeks of problem based learning was enhanc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applying it in various ways to first-year nursing students, it will be possible to use them to improve their competence, major satisfaction, and adapt to college life.

Learning Bayesian Network Parameters using Dialogue based User Feedbacks (대화기반 사용자 피드백을 이용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파라메터 학습)

  • Lim, Sung-Soo;Lee, Seung-Hyun;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419-422
    • /
    • 2010
  • 사용자와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 베이지안 네트워크의 다양한 학습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기존의 많은 학습방법에서는 학습 데이터로부터 통계적 방법을 통해서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델을 학습하는데, 이러한 접근 방법은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운 문제에 적용하기 힘들며, 사용자의 의도를 데이터의 패턴들로만 학습하므로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대화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수집하고, 이로부터 베이지안 네트워크의 파라메터를 학습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서 현재의 모델의 잘못된 점 혹은 개선점을 직접적으로 입력 받고, 이를 바탕으로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델을 수정하여 데이터의 수집 없이 빠른 시간에 사용자가 원하는 모델을 학습 할 수 있다. 기존의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대표적인 베이지안 네트워크 파라메터 학습 방법인 최대우도 추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 방법과 제안하는 방법을 비교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