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양디자인

Search Result 25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Meaning of Basic Geometry Patterns to Ancient Koreans and Its Classification (고대 한국인이 선호한 기본도형의 의미와 유형)

  • Park, Seon-Hwa;Kim, Ji-Soo;Na, Young-J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2 no.2
    • /
    • pp.83-100
    • /
    • 201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geometrical patterns preferred by ancient Korean peoples and to classify them into some groups by their similarity. We investigated various patterns found on clothing and relics from GoJoseon to Goguryeo period, and utilized secondary sources such as history articles, Internet materials and photo and analyzed the associations of the varied patterns found in pottery, handicrafts, and clothing with the ancient cultures. We found the letters (ㅇ, ㅁ, and ㅅ of Korean alphabet, Hangul) preferred by ancestors who worshipped nature to identify the significations attached by them to particular patterns. The results confirm the following: first, the circle pattern indicated the sun, moon, stars in the sky, a bronze mirror, and a man's face. Circles and ovals were also observed to represent the individual souls of the clan or community. Second, square patterns symbolized the land and the patterns that signified the wellbeing of family and the country. Oblique rectangles were more frequently used as they represented a double use of the triangle, a shape that implied mystic power. Third, triangle symbolized regeneration, power, and humanity. While the Neolithic Age jade remnants of hair combs appear not to be irrelevant to the process of comb-shaped pottery production of the time, many fine comb-like lines may be found on bronze mirrors. Through its review of the glorious designs inherited from and established by ancient ancestors, the present research endeavor may help in identifying the spirits and traditions of Korean history.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hildren's Smart Photonic Safety Clothing ( 어린이의 스마트 포토닉 안전의복의 개발 및 평가)

  • Soon-Ja Park;Dae-jin, Ko;Sung-eun, Ja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6 no.2
    • /
    • pp.129-140
    • /
    • 2023
  • Following ISO 20471, in this study, first, two sets of safety clothes and safety vests were made by designing and attaching animal and bird patterns preferred by children to retroreflective films and black fabrics on those fluorescent fabrics and retroreflective materials prescribed by international standards. Second, by mounting a smart photonic device on the safety clothing so that the body can be recognized from a distance even without an ambient light source at night, children can emit three types of light depending on the situation with just one-touch of the button. From a result of comparison with visibility a day and night by dressing a mannequin in the made smart safety clothing, the difference in visibility was evident at night, it was confirmed that we can see the figure of a person even at a distance of approximately 70 m. Theref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traffic and other accidents on the road, as the drivers driving at night or in bad weather can recognize a person from a distance. Third, in case of the energy is exhausted and cannot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light-emitting function of the optical faber, we can use energy harvesting device, and the light-emitting time will be extended. As a result it comes up to emit light stably for a long time. And this prove that smart photonic safety clothing can also be used for night workers. Therefore, optical fiber safety clothing is expected to be highly wearable not only in real life but also in dark industrial sites due to stable charging by applying the energy harvesting provided by solar cells.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Re-liquefaction Resistance in Saturated Sand Deposits Using 1-g Shaking Table Test (1-g 진동대시험을 이용한 포화된 모래지반의 재액상화 강도 특성 평가)

  • Ha Ik-Soo;Kim Myoung-Mo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1 no.4
    • /
    • pp.65-70
    • /
    • 2005
  • Many case histories of re-liquefaction phenomena seem to support the idea that sand deposits, if they once have been liquefied, could be reliquefied again by a subsequent earthquake even though the earthquake is smaller than the previous one. The magnitude of the strains induced in the initial liquefac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sistance of the sample to re-liquefaction. The deposits undergoing liquefaction experience large shear strain during liquefaction. And this previous strain changes the microstructure into highly anisotropic structure such as columnlike structure and connected voids. This type of anisotropy is so unstable that it can reduce re-liquefaction resistance. It is blown that the extent of anisotropic structural change depends on the gradation characteristics of 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a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and and the ratio of re-liquefaction resistance to liquefaction resistance. In this study, 1-g shaking table tests were carried out on five different kinds of sands. During the tests the values of excess pore pressure at various depths and surface settlements were measured. Re-liquefaction resistances were not affected by the initial void ratio and the effective confining pressures, and the deposits of all test sands which had once been liquefied were reliquefied in the cyclic loading number below 1 to 1.5. The ratio of re-liquefaction resistance to liquefaction resistance linearly decreased as $D_{10}/C_u$ increased, and was constant as about 0.2 above the value of $D_{10}/C_u$, 0.15 mm.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 Im, Hae-Gyeong;Park, Eun-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563-589
    • /
    • 2002
  • 고학년으로 갈수록 지필 환경에만 머무르는 현실 속에서 생활 및 예술 작품 등에서 수학적 원리와 개념을 발견하도록 하는 테셀레이션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고 수학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것 이상으로 기하학적 사고의 기초를 학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4학년까지 적용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테셀레이션에 대한 이해 및 교수 학습 자료가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지 못한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서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 학습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사들에게는 테셀레이션의 이해 및 교수 학습 자료로서 , 학생들에게는 수학의 기하적 개념들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학습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테셀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고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가. 테셀레이션의 정의와 예 그리고 종류를 알아보고 테셀레이션 속의 수학적 개념을 활용방법과 함께 제시한다. 나.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테셀레이션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영역을 분석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다. 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활용 방안을 탐색한다. 라.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활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적용 실험을 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학습의 효과를 밝힌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적용 실험을 위하여 광주대성초등학교 6학년 한 반을 선정하였고 약 4주에 걸쳐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투입하여 4번의 활동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후 작성된 학습지와 소감문 및 연구자에 의해 관찰된 수업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 결과 지필적 환경에서 제한적이었던 탐구하고 조작해보는 활동을 할 수 있는 역동적인 수학 실험실 환경이 제공됨으로써 도구적 이해가 아닌 관계적 이해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학적 개념을 암기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연스런 조작을 통해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수학을 공부한다기 보다는 수학 속에서 재미있게 놀이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였고 배우는 즐거움을 알고 자신감을 가지며 더 나아가 창의적인 생각을 하도록 하는 기회를 줄 수 있었다. 둘째, 테셀레이션은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수학이 단순히 책에서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 즉 디자인, 생활 속에서의 벽지문양과 포장지, 예술작품 등에 활용되고 있음을 체험함으로써 수학이 실생활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게 하였다. 역으로 생활 속에서의 테셀레이션을 통해 수학적 개념을 찾는 과정을 통해 수학이 아름다우면서도 실용적이라는 생각을 심어줄 수 있었다. 셋째, 테셀매니아, GSP, 캐브리, 거북기하 등 평소 수업에서는 활용도가 적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써 컴퓨터 소프트웨어 자체에서 오는 호기심뿐만이 아니라 직접 조작하여 테셀레이션 작품과 개념을 익히고 새로운 작품과 학습을 해 내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 등에 있어 큰 변화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컴퓨터 기능이 미숙한 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당황해 하고 어려워하는 부분도 있었으나 조작할 시간적 여유를 주고 교사와 우수한 학생들이 도우미로서 역할을 잘해내어 나중에는 큰 어려움 없이 마칠 수 있었다. 테셀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아직은 생소한 현장에서 교수 학습 자료가 부족하고 그에 따른 이해도 부족한 현실 속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가 교수 학습 현장에 투입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조사한 것을 목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로서 테셀레이션이라는 주제는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에서 평면 도형의 각과 모양 등의 성질을 탐구하게 하고, 대칭변환의 개념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게 할 수 있고, 반복되는 모양에서 규칙성을 발견하고 부분과 전체를 파악하여 패턴을 인지할 수 있게 하며 제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수학적 개념과 수학적 창의성, 수학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게 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테셀레이션은 수학적 개념은 물론 수학과 미술, 수학과 일상 생활과의 연결성을 논의하고 확인하는 데 흥미로운 주제가 될 수 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테셀레이션을 활용하여 지도하기 위한 교수 학습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앞으로는 테셀레이션과 관련된 내용이 직접적으로 교육과정 내에서 다루어지고, 또한 테셀레이션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기하학적 사고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The Effect of the Use of Concept Mapping on Science Achievement and the Scientific Attitude in Ocean Units of Earth Science (해양단원 개념도 활용 수업이 과학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 Han, Jung-Hwa;Kim, Kwang-Hui;Park, Soo-Ky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3 no.6
    • /
    • pp.461-473
    • /
    • 2002
  • Concept mapping is a device for representing the conceptual structure of a subject discipline in a two dimensional form which is analogous to a road map.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earth science, each concept depends on its relationships to many others for meaning. Using concept mapping in teaching helps teachers and students to be more aware of the key concepts and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use of concept mapping on science achievement and the scientific attitude in ocean units of earth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achievement of a group of concept mapping teaching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of traditional teaching. Also, when the achievement levels are compared among different cognitive ability groups, the effect is more significant in mid or lower level student groups than in high level groups. The use of concept mapping is more effective when the concepts have a distinct concept hierarchy. Second, the scores of the test of ‘attitude toward scientific inquiry’ and ‘application of scientific attitude’ of the group of concept mapping teaching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group of traditional teaching, whereas the scores of the test of ‘interest in science learning’ of concept mapping teaching is not different from those of group of traditional teaching. Third, the survey on the use of concept mapping shows a positive response across the tested groups. The use of concept mapping is more beneficial in fostering the comprehension of the topic. A concept map of student's own construction facilitates the assessment of learning, thus promising the usefulness of concept mapping as a means of evaluation. In regard to retention aspect, concept mapping is considered to be more effective in confirming and remembering the topic, while less effective in the aspects of activity and interest. In conclusion, the use of concept maps makes learning an active meaningful process and improve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If the concept mapping is more effectively as an active teaching strategy, more meaningful learning will be att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