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서 분류기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6 seconds

Document Classification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 with Word Sense and Contexts (단어의 의미와 문맥을 고려한 순환신경망 기반의 문서 분류)

  • Joo, Jong-Min;Kim, Nam-Hun;Yang, Hyung-Jeong;Park, Hyuck-Ro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7 no.7
    • /
    • pp.259-266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classify a document using a Recurrent Neural Network by extracting features considering word sense and contexts. Word2vec method is adopted to include the order and meaning of the words expressing the word in the document as a vector. Doc2vec is applied for considering the context to extract the feature of the document. RNN classifier, which includes the output of the previous node as the input of the next node, is used as the document classification method. RNN classifier presents good performance for document classification because it is suitable for sequence data among neural network classifiers. We applied GRU (Gated Recurrent Unit) model which solves the vanishing gradient problem of RNN. It also reduces computation speed. We used one Hangul document set and two English document sets for the experiments and GRU based document classifier improves performance by about 3.5% compared to CNN based document classifier.

A Naive Bayes Classifier for Category Disambiguation of Features (자질의 범주 모호성 해소를 위한 Naive Bayes 분류기 설계)

  • 유현숙;정영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364-366
    • /
    • 2001
  • 문서 범주화는 전자 정보환경에서 매우 유용한 정보처리 도구로서, 다양한 문서 범주화 기법 및 성능향상을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문서 범주화의 대상이 되는 단어 자질 공간의 차원축소 문제에만 집중되었을 뿐, 학습단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다범주 단어 자질의 범주 모호성은 고려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범주 자질의 범주 모호성을 해소함으로써 문서 범주화의 성능향상을 유도하는 범주 모호성 해소 가중치 W를 제시하고 이를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실험에서는 Naive Bayes 분류기와 가중치 W를 적용한 Naive Bayes-W 분류기를 직접 구축하여 문서 범주화의 성능향상 여부를 비교하는데 사용하였다. 도출된 실험결과를 통해, 가중치 W는 현재의 분류기가 가지고 있는 자질 표현의 범주 모호성이라는 단점을 보완하고 분류기의 성능향상을 유도함으로써 정보검색시스템의 검색효율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일 증명되었다.

  • PDF

Automatic Classification of Patent Documents Using Doc2Vec (Doc2Vec을 이용한 특허 문서 자동 분류)

  • Song, Jinjoo;Kang, Seu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239-241
    • /
    • 2019
  • 지식과 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지식재산권의 대표적인 유형인 특허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고, 그 수 또한 급증하고 있다. 특허 문서의 효과적 검색과 이용을 위해서는 새롭게 출원되는 특허 문서의 체계적인 분류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고, 따라서 방대한 양의 특허 문서를 자동으로 분류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oc2Vec 모델을 이용하여 국내 특허 문서의 특징(feature)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을 바탕으로 한 특허 문서의 자동 분류 모형을 제안한다. 먼저 국내에 등록된 31,495 건의 특허 문서의 IPC(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와 요약정보를 바탕으로 Doc2Vec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Doc2Vec 모델을 통하여 훈련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한 후, 이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분류기를 학습하였다. 마지막으로 Doc2Vec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데이터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분류기의 성능을 실험한 결과, 43%의 분류 정확도를 얻었다. 이를 통해, 특허 문서 분류 문제에 Doc2Vec 모델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sign distributed document classifier based on SVM using Web Services (웹서비스를 이용한 SVM기반 분산 문서분류기 설계)

  • Kim Yong-Soo;Park Young 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501-504
    • /
    • 2004
  •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인터넷 상에서 공유 문서를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자동 분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인터넷은 단순한 문서 제공의 한계를 넘어 어플리케이션간의 통합연동을 위한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SVM 기반의 분류기를 분산 구성하여 설계하였고, 문서로부터 추출된 특성단어 벡터정보를 이용하여 SVM 학습 후 각각의 분류기를 통하여 분산 문서 분류를 수행한다. 특성단어 벡터는 $TF^{\ast}IDF$에 기반한 특성 표현법을 사용하였으며, 분류 범주 별로 SVM 기반의 분류기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특성 단어 사전을 구축하여 분류 기준으로 구성하였다.

  • PD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Fast Text Classifier with Document-side Feature Selection (문서측 자질선정을 이용한 고속 문서분류기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 Lee, Jae-Yun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6 no.4
    • /
    • pp.51-69
    • /
    • 2005
  • High-speed classification method becomes an important research issue in text categorization systems. A fast text categorization technique, named feature value voting, is introduced recently on the text categorization problems. But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is technique is not good as its classification speed. We present a novel approach for feature selection, named document-side feature selection, and apply it to feature value voting method. In this approach, there is no feature selection process in learning phase; but realtime feature selection is executed in classification phase. Our results show that feature value voting with document-side feature selection can allow fast and accurate text classification system, which seems to be competitive in classification performance with Support Vector Machines, the state-of-the-art text categorization algorithms.

A Study On Filtering of Newspaper Article by Using Bayesian Classifier (베이지안 분류기를 이용한 신문기사 필터링)

  • 손기준;노태길;이상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490-49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필터링 문제를 이진 문서 분류 문제로 보고 신문기사 필터링에 베이지안 분류자를 사용한다. 신문 기사 필터링 문제에서 베이지안 분류자를 사용할 경우 학습 문서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베이지안 이진 분류기는 제한된 학습 문서에서 더 나은 성능을 보였고 해당 문서 집합에서 10%이상 비율의 문서를 사용자가 선택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Categorization of Web Documents Using an Ensemble Classifier (복합 분류기를 이용한 웹 문서 범주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이혜원;정영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3.08a
    • /
    • pp.73-8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웹 문서를 분류하기 위해 문서로부터 다양한 자질을 추출하고, 두 가지의 분류기를 통해 여러 개의 분류 예측치를 구한 다음, 그것들을 하나의 결과물로 통합하는 복합분류기를 사용하였다. 먼저 다양한 자질 집합에 대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kNN(k nearest neighbor) 분류기와 나이브 베이즈(Naive Bayes) 분류기를 사용한 범주화 실험을 수행하고, 실험을 통해 나온 범주 예측치를 통합하는 복합 분류기들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또한 단일 분류기들을 통해 나온 모든 범주 예측치를 통합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단일 분류기만을 사용할 경우와 복합 분류기를 사용할 경우를 비교해 더 좋은 성능을 나타내는 분류기를 밝히고자 한다.

  • PDF

A Web-Document Categorization System Using the Hierarchical Information of the Concept (의미의 상하위 정보를 이용한 웹문서 분류시스템)

  • Kang, Won-Seog;Hwang, Do-Sam;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36-39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다양성을 가진 웹문서의 범주를 결정짓는 웹문서 분류 시스템을 설계, 구축한다. 웹문서는 일관된 형식과 내용이 없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문서의 범주를 결정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제안한 웹문서 분류 시스템은 잡음 처리에 적합한 신경망 방식을 적용하여 다양한 내용의 웹문서의 범주를 결정짓는다. 본 시스템은 한국어 문장을 분석하는 한국어 형태소 해석기, 단어의 의미를 획득하는 개념 획득기, 단어의 사용된 의미를 고르는 애매성 해소기, 그리고 문서의 범주를 결정하는 신경망 범주 결정기로 구성된다. 본 시스템은 단어의 의미를 이용하여 문서를 표현하고 분석하는 개념 중심의 문서 분류 시스템이다.

  • PDF

The Classification arranged from Protectorate period to the early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 : for Official Documents during the period from Kabo Reform to The Great Han Empire - Focusing on Classification Stamp and Warehouse Number Stamp - (통감부~일제 초기 갑오개혁과 대한제국기 공문서의 분류 - 분류도장·창고번호도장을 중심으로 -)

  • Park, Sung-Joon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22
    • /
    • pp.115-155
    • /
    • 2009
  • As Korea was merged into Japan, the official documents during Kabo Reform and The Great Han Empire time were handed over to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and reclassified from section based to ministry based. However they had been reclassified before many times. The footprints of reclassification can be found in the classification stamps and warehouse number stamps which remained on the cover of official documents from Kabo Reform to The Great Han Empire. They classified the documents by Section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inistry-Department-Section, stamped and numbered them. It is consistent with the official document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Great Han Empire, which shows the section based classification was maintained. Although they stamped by Section and numbered the documents, there were differences in sub classification system by Section. In the documents of Land Tax Section, many institutions can be found. The documents of the same year can be found in different group and documents of similar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in the same group. Customs Section and Other Tax Section seemed to number their documents according to the year of documents. However the year and the order of 'i-ro-ha(イロハ) song' does not match. From Kabo Reform to The Great Han Empire the documents were grouped by Section. However they did not have classification rules for the sub units of Section. Therefore, it is not clear if the document grouping of classification stamps can be understood as the original order of official document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Great Han Empire. However, given the grouping method reflects the document classification system, the sub section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Great Han Empire can be inferred through the grouping method. In this inference, it is understood that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divided into two such as 'Section - Counterpart Institution' and 'Section - Document Issuance Year'.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took over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Great Han Empire, stored them in the warehouse and marked them with Warehouse Number Stamps. Warehouse Number Stamp contained the Institution that grouped those documents and the documents were stored by warehouse. Although most of the documents on the shelves in each warehouse were arranged by classification stamp number, some of them were mixed and the order of shelves and that of documents did not match. Although they arranged the documents on the shelves and gave the symbols in the order of 'i-ro-ha(イロハ) song', these symbols were not given by the order of number. During the storage of the documents by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the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mps was affected. One characteristic that can be found in warehouse number stamps is that the preservation period on each document group lost the meaning. The preservation period id decided according to the historical and administrative value. However, the warehouse number stamps did not distinguish the documents according to the preservation period and put the documents with different preservation period on one shelf. As Japan merged Korea, The Great Han Empire did not consider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Great Han Empire as administrative documents that should be disposed some time later. It considered them as materials to review the old which is necessary for the colonial governance. As the meaning of the documents has been changed from general administrative documents to the materials that they would need to govern the colony, they dealt with all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Great Han Empire as the same object regardless of preservation period.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destroye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Great Han Empire which was based on Section and the functions in the Section by re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Ministry when they reclassified the official documents during Kobo Reform and the Great Han Empire in order to utilize them to govern the colony.

An Experimental Study on Text Categorization using an SVM Classifier (SVM 분류기를 이용한 문서 범주화 연구)

  • 정영미;임혜영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7 no.4
    • /
    • pp.229-248
    • /
    • 2000
  • Among several learning algorithms for lexl calegoriration. SVM(Snpport Vsctor Machines) has been provcd to ouq~e~fotm other classifiers. Th~study e~~aluales the categarizalion ability of en SVM classifier using the ModApte split of the Reutcrs-21578 dataset. First. an experiment 1s perlormed to test a few feature wetghtlng schemes that will be used in thc calegarization tasks. Second, (he categorization periarrnances of the lulear SVM and the non-linear SVM are compared. Finally. the binary SVM classifier is expanded into a multi-class classifier and thek pcrforrnnnces are comparativcly evaluated.

  • PDF